에이디엘
제13장 관절성형술(엉덩관절, 무릎관절, 어깨관절)
자연치유캠프
2014. 11. 3. 09:39
관절성형술joint arthroplasty
관절성형술 개요
-------------------------------------------
- 인공관절 → 관절 재건 · 통증경감, ROM 회복
- 수술방법 다양 (전체관절성형술 / 부분관절성형술)
- 전체관절성형술 → 퇴행관절 치료에 가장 효과적
- 삽입물 재질 다양 - 티타늄, 크롬코발트, 스텐리스, 세라믹
- 환자(수술) 증가추세
-------------------------------------------
엉덩관절성형술의 적용
-----------------------------------------------
- 수술 목적 = 통증제거 - ADL 방해
- 가능하면 최대한 길게 사용하다 수술(수명과 재수술 관계 고려)
- 수술방법, 재질 다양
- 넙다리뼈목 골절(위 + 앞에 많이 발생 - 체중부하↑ 부분)
→ 모세혈관 손상 - 뼈머리 괴사
→ 합병증(폐, 방광염증) 1년내 사망가능성 25%
→ 76% 집에서 발생(손잡이, 문턱, 전선, 침실, 화장실)
- 퇴행성관절염 치료
- 넙다리뼈머리 무혈성괴사(혈류 ×) ← 스테로이드, 음주 부작용
→인공관절수술의 50% 차지. 양쪽 발생경향(한쪽 보다는)
- 무릎관절보다 하중 3배 더 받음 → 체중관리 중요성 ↑
- 30∼40년 사용가능(플라스틱-종전) → 세라믹(현재, 분홍색)-마모↓
-----------------------------------------------
엉덩관절성형술 THRA
-----------------------------------------------------------------
뒤가쪽접근법 앞가쪽접근법
--------------------------------------------------------------
큰볼기 · 작은볼기근 · 가쪽넓은근 보존 벌림근 손상(악화)
관절불안정(탈구, 불완전탈구 자주유발) Trendelenburg 보행
굽힘 90˚ ↑ 금지 가쪽돌림, 모음 주의
안쪽돌림, 모음주의(벌림, 바깥돌림 유지) 탈구 가능성↓(장점)-수술선택조건
탈구가능성↑ (단점)
-----------------------------------------------------------------
인공 엉덩관절 수술공정
----------------------------------------------
뼈머리 잘라내기 → 비구 다듬기 → 인공뼈 끼우기(뼈머리 + 비구)
→ 인공뼈 고정 → 연결(뼈머리 + 비구) → 길이조정(무릎까지 길이 확인)
----------------------------------------------
수술후 관리(합병증 관리)
----------------------------------------------
1. 다리길이 차이(수술쪽 다리 길어짐)
- 1cm↑ 불편감, 2cm↑- 신발굽 높이 조정,
- 2.5cm↑- sciatic n. palsy 발생가능성
2. 뼈 용해osteolysis
- 인공관절 수명에 영향 ← 재수술 원인 1위
- 인공관절 마모물 → 염증(뼈소실) → 삽입물 이완(헐거워짐)
3. 감염
- 환자(비만, 당뇨, 알코올중독, RA, 스테로이드 · 면역억제제 복용)
- 항생제 투여, 심하면 재치환술
4. 탈구
- 대부분 3개월 이내에 발생(재수술 원인 2위)
- 벌림상태 유지(안쪽돌림 × 01) → 다리사이 베게 끼우기
- 일정기간 엉덩관절 모음, 과도굽힘 제한
- 외상성 엉덩관절 탈구 → 비구 - 후하방 열려있음(후방탈구)
--------------------------------------------
엉덩관절성형술의 ADL 기능훈련
-----------------------------------------------
- 조기훈련(수술후 즉시-발등굽힘, 발바닥굽힘, 돌아눞기, 앉기)
- 보행훈련 - 보행기, 목발, 지팡이 사용 (절룩거림 없을때 까지)
- 12주 이후 운동치료
닫힌사슬운동 (앞, 옆 발판 오르내리기)
체중지지가능 → 환측 보행훈련
-----------------------------------------------
* 넙다리뼈목 골절 수술후 최대보호단계에서 혈액순환 촉진(증가)을 22 위한 물리치료?
→ 발목 펌핑운동 21
엉덩관절성형술의 ADL 활동
----------------------------------------
바로누운자세
뒤가쪽접근법 - 벌림, 바깥돌림유지
앞가쪽접근법 - 벌림, 안쪽돌림유지
----------------------------
옆으로 누운자세
환측눞기 - 의사지시 전까지는 금지(엉덩관절 폄)
건측눞기 - 다리사이 베게(벌림, 바깥돌림)
----------------------------
침상이동 → 환측먼저 올리고/ 건측먼저 내리기
----------------------------
의자 자세
팔걸이, 견고한 의자, 팔걸이 부착 좌변기
엉덩관절 과도굽힘 방지(90˚↑ ×, 60˚ 적당)
환측 다리 폄(과도 폄은 피함)
----------------------------------------
엉덩관절성형술 예후
--------------------------------------------
- 고령환자 유의
- 침상생활 ↑ → 합병증 발생우려 ↑
- 비정상적인 보행 초래 가능성
- 양측성 엉덩관절탈구환자 에서 나타나는 보행 → 오리보행(waddling gait) 02
- 선천성 엉덩관절탈구에서 볼 수 있는 것 00
Ortolani sign-가장 먼저 나타남 Allis sign Trendelenburg sign waddling gait
-------------------------------
무릎관절성형술
무릎관절성형 배경
---------------------------------------------
- 체중부하 → 관절통증 - 관절염 →연골손상
- 안굽이 밖굽이 무릎 → 관절변형 - 무릎 불안정성 또는 제한
- 비수술적관리 실패 - 이전 수술의 실패
---------------------------------------------
수술이후 경과
--------------------------------
- 2∼3일 후부터 근력, 관절 가동운동
- 5∼7일 후부터 걷기운동(보행기 활용)
- 1개월 이후 지팡이 없이 보행 가능
- 2∼3개월(물리,약물치료) 부종, 통증 소실
- 6개월 이후 정상 회복
--------------------------------
무릎관절성형술 기능훈련 · ADL 주의사항
--------------------------------------------------------
- 수술부위 배농, 피부창백, 과도긴장 여부 확인
- 굽힘운동 → 수술부위 이상유무 확인
- 수술후 4∼6주까지 안굽이 밖굽이 스트레스 금지
- 2주부터 초기운동(저강도 저항훈련)
- 초기 근력약화 → 체중지지 어려워-보조기 필요
(무릎관절 안정화-넙다리네갈래, 뒤넙다리 근력 필요)
----------------------------------------
무릎관절성형술 기능훈련
---------------------------------------------
- 수술직 후 CPM / 수동운동
- 무릎뼈 상하 움직운동(무릎넙다리관절 움직임↑)
- Q setting 운동(관절 안정화) p323 그림
오금 아래 ¢20cm 공 끼우고(슬링 이용가능), 발뒤꿈치를 바닥에 붙인상태*,
공 서서히 누르고(무릎폄), 10∼30초 유지후, 천천히 무릎 굽힘
- 보행기훈련 보폭 - 평소의 1/2, 무릎폄, 보행기 - 몸 간격 유의
- 이동훈련 계단오르내리기 훈련(보조기착용후)
------------------------------------------------
*발뒤꿈치가 바닥에서 떨어지면 → 앞십자인대 기능부전 또는 무릎 불안정성 초래 위험
* 무릎관절성형술을 받은 직후에 관절운동범위 회복 및 관절의 치유 호;복을 위해서 73세 여자 환자에게 적합한 물리치료는? → 지속적수동운동 23
퇴행성관절염
퇴행성관절염의 진행정도 구분과 중재
--------------------------------------
1기 가벼운 통증 계단 오르내리기
2기 가벼운 통증 앉았다 일어나기 - 가벼운 운동
3기 통증
4기 극심통증 관절사이공간 × (맞닿음) → 수술
-------------------------------------
활액막 비후 → 연골파괴 → 섬유성 강직 → 골성 강직 02
--------------------------------------
퇴행성관절염 무릎 인공관절 수술여부 판단(종합)
------------------------------------------
- 퇴행성 관절염 4기 → 관절과 관절 맞닿은 상태
- 통증정도 → 극심한 통증
- 나이 → 60 후반(관절수명 약 20년) ← 재수술 회피 이유
- 60 이전 → 절골술(X자 모양 / 관절염 2, 3기 / 10년↑ 사용)
체중부하 조정 목적
------------------------------------------
인공관절 소재
--------------------------------
- 티타늄합금 스테인리스 크롬코발트
- 세라믹 (단점 - 심한 충격 → 깨짐)
- 플라스틱(LDPE) - 연골
--------------------------------
무릎 인공관절 수술 방법
-----------------------------------
전체치환술 - 넙다리뼈 일부, 정강뼈 일부
- 종자뼈일부, 연골(LDPE)
- 골시멘트 - 접착
-----------------------------------
부분치환술 - 맞닿은 편중부위만 잘라내고 치환
- 골시멘트 - 접착
-----------------------------------
퇴행성 관절염 무릎관절 수술 경과
---------------------------------------
- 통증완화, 움직임 ↑, 정렬유지, 무릎관절 안정성
- ROM 확보 · 증진 → 수술당일부터 CPM (굽힘 · 폄), 주변근육 힘 서서히↑ 부종감소
- 목발보행(수술 초기 6개월간 - 인공관절수명↑ 도움)
- 다리들어올리기, 무릎관절 폄 운동(근 위축방지)
- 체중 감소(체중부하 ↓)
---------------------------------------
인공관절 수술 부작용
----------------------------------------
감염(37%, 1위) 인공관절 제거 → 염증치료 → 재수술
---------------------------------
무릎 불안정성
---------------------------------
인공연골 마모 교체필요
----------------------------------------
어깨관절성형술
----------------------------------
- 관절염(변성정도), 어깨관절질환(무혈성괴사)
- 골절(위팔뼈 몸쪽의 불유합)
- 어깨 돌림근띠의 상태
- 부분성형술(위팔뼈 대치)
- 전체성형술(관절오목 위팔뼈 머리 모두대치)
----------------------------------
어깨관절성형술 예후
-------------------------------------
- 자세변화(노화)
→ 등뼈 뒤굽음증, 어깨뼈 내밈 ↑
→ 관절오목 정렬불량(관절 충돌, 통증유발)
←척추폄, 어깨관절 뒤당김 동작필요
-전체관절 성형술 합병증
관절 불안정성 발생( ←관절오목 구조 느슨해져)
돌림근띠 찟김(후기), 패혈증, 신경손상
---------------------------------------
어깨관절성형술 기능훈련
---------------------------------------------
- 바로누운자세 → 팔 약간 벌림지세
- 선자세 → 팔꿉관절 90˚ 굽힘(팔걸이 사용)
- 어깨관절 수평위 벌림, 과다폄 주의
- 수술직후(1일후) 수동ROM 운동
- 수술후 첫 일주일 환측으로 체중지지, 밀기 금지
- 팔걸이 제거후 능동 ROM운동 (손, 손목, 팔꿉 유착방지)
- 4∼5일 후부터 바로누어 건측손-환측 손목잡고, 서서히 머리위로 들어올리기
- 7일후 바로누어서 양손 봉잡고 위로 올리기 진자운동codman exercise
- 8∼10일후 등뒤로 수술쪽 손목잡아 올리기
- 1개월후 양손 깍지끼고 목뒤에 놓고 팔굼치 모음 · 벌림
- 수술후 몇주간 운전 금지
- 12∼16주 가벼운물건 들기, 밀기, 당기기 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