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
제6장 역학
자연치유캠프
2015. 5. 11. 11:21
역학
-------------------------------------------------------
1. 인간 집단(대상)
2. 질병 발생, 분포, 유행 경향 밝히고 (원인규명) ← 가장중요
3. 예방대책 강구 ( 긍극목표 → 질병 예방 · 치료)
- 기술역학 조사(1단계 역학)
→ (인적, 시간적, 지역적, 질병종류)질병발생·분포·경향(빈도) 밝힘
- 분석역학 조사(2단계 역학)(5) → 원인규명
- 이론역학(3단계 역학) → 질병 발생형태, 유행을 수리적으로 분석
-----------------------------------------------
감염병 차단, 확산방지 위하여 질환명을 알아야 함
질병발생의 역학적 인자(3)
-----------------------------------------------------------------------
3대요인설(삼각형모형설) 병인인자 / 숙주인자 / 환경인자의 관계
일반적인 모형(감염병 발생 설명 쉬움)
유전적, 비감염성 질환 발생 설명 미흡
----------------------------------------------------------
수레바퀴모형설 생물학 환경 / 물리 화학환경 / 사회환경
인간 숙주 내적요인(유전요인16) 상호작용
비감염성 질환 발생 이해 쉬움
역학적 분석 개념 이해 쉬움
----------------------------------------------------------
거미줄모형설(원인망설) 다원적(여러) 요인 복잡 상호관계 → 질병 발생
비감염성 질환(암, 당뇨, 고혈압) 발생 이해 쉬움
----------------------------------------------------------------------
질병의 검사(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
타당도 validity (정확성)
민감도 ; 실제 확인된 질병(양성자)을 양성으로 판정해주는 능력
특이도 ; 음성자를 음성자로 판단하는 능력
신뢰도 reliability(정밀성, 일관성)
반복측정에서의 일관성있게 일치하는 것
----------------------------------------------------------------------------------------------
1. 기술역학적 조사(1단계 역학)
----------------------------------------------------------
질병 발생 분포, 경향 파악. 사실적 현상* 기록 15, 21
→ 발생요인 가설 설정
- 인적특성(연령, 성별, 인종, 경제, 직업, 경제상태)
- 지역적 특성
- 시간 특성(주기적, 계절적)
- 질병 발생의 원인적 특성
-------------------------------------------------------------------
2. 분석역학적 조사(2단계 역학)(5) (기술역학 결과) 가설 → ‘why' 규명
2-1 단면조사 연구
특정 시점 → 질병과 인구집단 속성과의 상관관계 찾기
-------------------------------------------------------------------------------
장점 - 단시간에 결과 얻음(시간, 경비 절약)
- 여러종류 질병과 발생요인 관련성 비교조사 가능
- 역학적 특성파악 용이(비교위험도 추정가능)
- 환자대조군 연구보다 편견적고, (자료 정확) → 정확도 ↑
------------------------------------------------------------------------
단점 - 낮은 빈도, 유행기간 짧은 감염병 → 조사 의미 잃기 쉬움(부적당)
- 인과관계 불분명
- 표본의 규모가 커야함
--------------------------------------------------------------------------------
한지역에 어떤 암이 가장 많은지 건강검진 실시 → 단면조사연구
2-2 전 · 후향성 조사연구
전향성 - 현재 현상 → 향후 결과 예상 연구
후향성 - 현재 현상 → 발생원인 규명
-----------------------------------------------------------
전향성 - 표본선정 편견 적고, 위험도 직접산출 가능
- 조사 기간 ↑(대상자 많고, 기간 길어 중도포기 많음) , 경비 ↑
----------------------------------------------------
후향성 - 표본선정 쉽고, 조사기간 ↓, 경비 ↓
- (이미 선정된 표본) 편견 ↑, 위험도 직접산출 곤란
----------------------------------------------------------
2-3 환자 · 대조군 연구
- 환자군 · (건강한) 대조군 → 질병원인 - 속성 · 요인 → 질병과의 인과관계 규명
- 현재의 질병이 과거 어떤 원인때문인지 알아보는 방법
- 만성병, 희귀병 원인규명에 많이 사용
------------------------------------------------------------------
장점 - 적은 대상(환자수) 연구 가능 → 비용 ↓ (시간, 노력 절약)
- 단기간 결론 도출 가능
------------------------------------------------------------------
단점 - 환자, 대조군 선정 어려움(단점)
· 비교성이 높고, 분명 해야 - 환자의 정의, 이환기간(위험도 구하기 어려워)
· 성별, 연령은 같아야
- 과거행위 기억에 의존 → 편견 가능성 ↑
------------------------------------------------------------------
2-4 Cohort(질병발생 동일 역학특성 인구집단) 연구
----------------------------------------------------------------
- 관련 특정 Cohort(같은나이, 흡연자, 감염자 집단) · 관련 없는Cohort 질병 발생 비교
- 희귀병 조사 곤란(발병률 높은 질병에서는 가능)
- 많은 경비, 노력, 시간 필요(장기간 조사에 따른)
- 상대위험도(질병 발생요인에 의한 발병정도)와
기여위험도(위험요인이 질병발생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알수있고, → 발병률 산출가능
- 시간적 전후관계 규명 가능
----------------------------------------------------------------
- 전향성 Cohort17. 현재 현상(질병 폭로집단 · 비폭로집단) → 향후 결과(미래) 예측
- 후향성 Cohort. 현재 현상(기록 근거) → 과거의 원인 예측
- 뇌성마비 발생원인으로 의심되는 특정요인에 노출된 집단을 장기간 추적관찰 후,
특정요인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과 비교하여 비교위험도를 제시하는 연구는? → 코호트연구 23
2-5 실험 역학적 조사
-- ----------------------------------------------------------
- 원인 → (자극 · 조작) 실험적으로 규명 - 가장 확실
- 실험대상 인간 (인체 유해성)→ 윤리적 제한(실험 역학의 어려움)
- (간접적 조사) 동물실험, 안전성 확보된 것으로 제한
- 새로운 치료약의 효과판단, 예방접종에 활용
-- -------------------------------------------------
3. 이론역학(3단계 역학)
----------------------------------------------------------------------------------------
질병의 발생모델과 유행현상을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유행법칙이나 현상을 수식화하는 3단계 역학은?
→ 이론역학 23
- 질병의 발생이나 유행 예측
시간적 현상 (추세 · 순환 · 계절 · 불규칙 변화)
지리적 현상 (기후대 - 한대, 온대, 열대, 지형 - 사막, 대륙, 해안)
생물학적 현상 (숙주특성 - 연령 · 성별 · 종족별)
사회적 현상 (도시와 농어촌, 사회문화, 경제적)
-----------------------------------------------------------------------------------------
역학의 시간적 현상
------------------------------------------------------------------------------------------
추세변화(장기변화) 10년 ∽ 수십년주기 유행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인플루엔자
-----------------------------------------------------------------------------------
순환변화(주기변화) 수년주기 유행 홍역, 백일해, 일본뇌염
-----------------------------------------------------------------------------------
계절적 변화 계절에 따라 유행 소화기계(여름), 호흡기계(겨울)
쯔쯔가무시 · 신증후군출혈열(가을)
-----------------------------------------------------------------------------------
불규칙 변화 돌발적 유행 외래감염병
(신종인플루엔자, 콜레라, SARS)
-----------------------------------------------------------------------------------------
질병용어
--------------------------------------------------------
- 발생률incidence rate
초병률이라고도 하며,
일정기간에 새로 발생한 환자의 수를 그 지역의 인구수로 나눈 값21
- 발병률attack rate
연간 발병자수 / 위험에 폭로(노출)된 인구 × 1,000
- 유병률 prevalence rate
어느 시점(기간)의 (모든 → 새로운 환자-신환 + 앓고 있는 환자-구환) 환자 수 / 인구
유행기간 극히 짧은 급성감염병 → 발생률과 유병률이 같거나 비슷해짐
급성감염병의 역학적 특성 → 발생률↑, 유병률↓
---------------------------------------------------------
Placebo 효과(의약 효과 - 주관적 요인 배제)
--------------------------------------------------------------------
단순 맹검법simple blind test
- 환자와 의사 중 한쪽만 아는 방법
----------------------------------------
이중 맹검법double blind test
- 환자, 의사 알리지 않고 판정자만 구별하는 약효 감정법
- 암시 작용, 심리 효과의 배제
--------------------------------------------------------------------
민감도 sensitivity - 질병 있는 사람을 양성으로 검출하는 정도
특이도 specificity - 건강한 사람을 음성으로 검출하는 정도
역학조사 실례(1) 콜레라 John Snow 영국 1853년 - (콜레라균 발견 1883)
-------------------------------------------
1. 상호 왕래 전파(우물)
2. 환자, 배설물 접촉자 발병
3. 빈곤자, 집단생활과 관계있고
4. 위장계 질병
-------------------------------------------
역학조사 실례(2) Peollagra Goldberger 1914년
---------------------------------------------------------------------------
1. 한센병 일종?(1735년) ← 실험역학 증명 → 영양결핍증
2. 12명 죄수-동물성단백질 무투여 → Peollagra 환자 만듦
3. niacin(nicotinic acid) 결핍증 밝힘
- 목 주위(볕 노출부위-붉은 반점)
- 옥수수 주식 - 나이아신, 단백질과 결합 강해 일부만 체내 흡수
- 알코올 중독자, 트립토판(필수단백질)대사 이상자
- 생선, 동물고기, 콩, 달걀 풍부
- 증상(3D) dermatitis(피부염), diarrhea(설사), dementia(치매)
----------------------------------------------------------------------------
역학조사 실례(3) 흡연과 폐암 관계 Doll 1956년
---------------------------------------------------------------------
1. 통계적 유의성 입증
2. 비교위험도(위험요인 폭로집단과 비폭로집단의 발병률) 매우 큼
3. 흡연량과 폐암 발생 - 비례관계 입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