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
제8장 급성 만성 감염병관리
자연치유캠프
2015. 5. 27. 18:56
소화기계 감염병
-------------------------------------------------------------------------------
장티푸스, widal test(진단반응) 환경위생 개선
환경위생의 개선으로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화기계 감염병22
파라티푸스 경구감염
-----------------------------------------------
콜레라 제2급 감염병 / 해외유입, 검역 / 대변 토사물 오염수15
감시기간 120시간 snow
-----------------------------------------------
세균성이질 면역 가장 약함
-----------------------------------------------
폴리오 virus, 감염원 - 음식물. 옮길가능성 - 파리
감염지수 - 가장낮음(0.1%), salk vaccine
중추신경계 손상
-------------------------------------------------------------------------------
호흡기계감염병
--------------------------------------------------------------
디프테리아 1935년까지 미국어린이 가장 많이 죽게 한 질병
diphtheria 균 감염후 독소분비(상부호흡기 급성감염, 주로 어린이)
←디프테리아 감염동물 혈액의 항독소 작용)
(항독소antitoXin → 혈청요법 - 독소중화)
약한면역 schick test (면역유무)
* 썰매리더견 balto 엥커리지 → 알라스카 놈(질병발생지)
1000Km 눈보라속 개썰매 이어달리기
-----------------------------------------------
백일해 순환변화 (2 - 4년마다 유행반복), 예방접종
pertussis
-----------------------------------------------
홍역 제2급 감염병중 가장 많이 발생, 감수성 95%
감염성 가장 큰 때 - 잠복기, 자연능동면역 - 영구
--------------------------------------------------------------
*DPT 백신(diphtheria, pertussis, 파상풍tetanus)
절지동물(이, 벼룩, 모기, 진드기) 매개 감염병
------------------------------------------------------------------------
발진티푸스 병원체 - Rickettsia, 전파 - 이
-----------------------------------------------
말라리아 - 원인규명(도널드로스 1902) · 치료제 개발 → 노벨상 2회 수상 질병
- 원충→모기 위 안에서 유성생식→흡혈(포자감염) → 혈액 →간(원충화)
→적혈구(2, 3일에 한번씩 파괴 →포자유출, 3일열)
- 전파 - 중국얼룩날개모기(만연지역, 1 - 5% 모기 원충에 감염)
- 중국 주호비급방
(개똥쑥(청호) 찬물에 갈아서 복용 ← 열에 약해서, 유효성분 소량함유)
-----------------------------------------------
일본뇌염 전파 - 작은빨간집모기, 병원소 - 돼지 → 기계적탈출
대부분 불현성감염(임상증상없는 감염상태)자, 혈액검사 - 확진
-----------------------------------------------
신증후군출혈열 늦봄(5-6월)과 늦가을(11-12월), 급성감염병 한탄바이러스
전파 - 들쥐 배설물과 들쥐에 기생하는 좀진드기 21
-----------------------------------------------
쯔쯔가무시병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혈관염 유발
물린부위 피부발진, 가피 발생
가을철 급성발열성 감염병22
------------------------------------------------------------------------
만성감염병
---------------------------------------------------------------------------------
결핵 영아기 - 가장 감수성 높음, 병인성 병독성(병원체의 독성) 낮음
tuberculin → 72시간후 발적부위 직경 10mm이상 - 양성
소아 검진 - tuberculin 검사 → X ray 직촬 → 객담배양검사
성인 검진 - X ray 간촬 → X ray 직촬 → 객담배양검사
어린이(집단검진) - BCG접종 → 6개월후 tuberculin 검사
-----------------------------------------------
한센병 가장 효과적 예방법 - 초기 환자격리
감염유무 - lepromin 반응검사
-----------------------------------------------
임질 전세계적 가장 많이 발생
-----------------------------------------------
트라코마 감염자, 개달물(마스크, 수건-감염자가 쓰던 물건)
-----------------------------------------------
후천성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자
면역결핍증 (체액, 혈액, 정액, 질액) - 성접촉, 수혈
AIDS HIV 감염 → 면역기능파괴 → 2차적 질병발현(AIDS)
------------------------------------------------------------------------
결핵 발병 인구(한국 - OECD 1위) / 10만명당
-----------------------------------------------------------------
한국 78명 (특히 20대 대부분 - 면역력↓ ← 먹거리, 스트레스 ?)
중국 74명
일본 15명
미국 5명
----------------------------------------------------------------
기생충 질환 (기생충 감염 줄어든 이유 - 환경개선)
------------------------------------------------------------------------------------
회충증 알 사멸 좋은 조건 - 일광
분변 완전 부숙처리(여름 1개월, 겨울 3개월)
----------------------------------------------------
구충증 유충 - 노출피부 침입, 빈혈, 소화장애, 채독증
포화식염부유법 검사
----------------------------------------------------
요충중 집단감염, 자가감염 가능성 높음. 항문부위산란 - 소양증
산란과 동시에 감염능력. 충란감별 - 스카치테이프법
----------------------------------------------------
말레이사상충 모기, 기생부위 - 림프관
----------------------------------------------------
간흡충 낙동강, 제1중간숙주 - 쇠우렁, 제2중간숙주 - 담수어
소화장애, 황달 - 쓸개관기생 폐쇄
----------------------------------------------------
폐흡충 제1중간숙주 - 다슬기, 제2중간숙주 - 가재, 게
진단 - 객담검사
---------------------------------------------------
조충류 유구조충 - 돼지, 무구조충 - 소 (알 오염 풀 섭취 - 감염)
----------------------------------------------------
광절열두조충중 제1중간숙주 - 물벼룩, 제2중간숙주 - 송어, 연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