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디엘
2장 ADL의 평가와 평가방법
자연치유캠프
2015. 8. 27. 13:22
일상생활활동의 평가
평가의 의의와 목적
-----------------------------
- 환자의 전반적인 기능적 상태 제공
- 치료 중재방향 설정, 가이드 제공
- 진행정도와 중재 평가
- 재활의 결과 측정(보고, 데이터 관리)
- 퇴원 이후와 미래에 대한 계획
------------------------------
평가 시 고려사항
--------------------------------
1. 평가방법
- 면담 → 기능적 독립수준 파악 어려움
- 수행평가
- 자기평가
2. 평가도구의 선택
3. 평가도구의 기본지침, 정확한 수행방법 숙지
4. 활동시간, 활동장소에서 평가 - 이상적
5. 간단하고 안전한 것 → 복잡하고 어려운 것 순 진행
6. 수치심, 가치관, 습관
-------------------------------------
평가의 종류
---------------------------------------------------------------
1. 기본평가 - 자료수집 - 환자와의 인터뷰
---------------------------------------------
2. 수행평가 - 설문조사 - 측정 및 평가
---------------------------------------------
3. 재평가 - 초기평가(입원 평가) - 입원중 평가 - 퇴원전 평가 - 퇴원후(일정시간 경과 후) 평가
---------------------------------------------------------------
평가도구 선택 기준
------------------------------------
1. 환자의 진단, 연령대, 환자군 등을 고려한 적절한 평가도구인가?
2. 신뢰도 · 타당도 등이 검증된 평가도구인가?
3. 기대하는 차이(변화)를 찾아내기에 충분한(민감도 수준) 평가도구인가?
4.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인가?
5. 검사방법을 완벽하게 숙지한 평가도구인가?
------------------------------------
평가 시 유의사항
------------------------------------
1. 평가부분에 적절한 평가방법인가?
2. 평가도구 사용방법은 정확히 숙지하였는가?
3. 환자에게 더 적합한 평가방법은 없는가?
--------------------------------------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
1. 수정바델지수 Modified Barthel Index, MBI 22
-----------------------------------
- 가장 많이 알려진 객관화된 ADL평가도구
- 만성질환자 독립수준 측정 위해 개발(1965), 1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
- 평가결과 0 - 100점 까지
- 완전독립, 최소도움, 중간도움, 최대도움, 수행불능 단계로 구분
- 7개 수정판(한국 K-MBI, 5판 표준화, 2007)
- 뇌병변장애 등급판정기준*
----------------------------------
MBI의 기능적 의존 정도(5점 척도)
------------------------
- 완전독립
- 최소 도움필요
- 중간 도움제공
- 상당한 도움필요
- 과제수행 불가
------------------------
MBI 평가항목(10 항목), ( 총 100점, 가중치 부여, 점수↑, 점수 ↑ - 독립적) *휠체어 제외
----------------------------------
개인위생(5) 목욕하기(5),
식사하기(10) 화장실 사용(10),
계단오르기(1층정도)(10) 옷 입기(10),
대변조절(10) 소변조절(10)
의자 / 침대이동하기(15) 보행(15),
*휠체어 사용(걷기 ×, 휠체어 사용 시)(5)
-----------------------------------
MBI의 단점(?)
-------------------------------
- IADL(가정관리, 여가, 의사소통 등 ×)
- 수행정도 알 수 있으나, 이유 표시 어려움
- 만성질환자 / 성인 - 주로 적용
-------------------------------
우리나라 MBI-뇌병변장애 ADL 등급판정기준*
------------------------------------------
1급 전적인 도움필요 (32점↓)
2급 대부분 도움필요 (33점∼53점)
3급 부분적 도움필요 (54∼69점)
4급 간헐적 도움필요 (70∼80점)
5급 수행하나 완벽수행 못할 때도 있음 (81∼89점)
6급 완벽수행, 간혹 느리거나 비정상일 때도 있음 (90∼96점)
-------------------------------------------
MBI 독립성에 따른 주당 필요한 보조 시간
----------------------------------------
분류 점수 합계 의존 수준 주당 필요 보조 시간
--------------------------------
1 0-24 완전의존 27.0
2 25-49 심한의존 23.5
3 50-74 중등도 의존 20.0
4 75-90 경도의존 13.0
5 91-99 최소의존 〈10.0
-----------------------------------------
2. 기능적 독립 측정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22
------------------------------
- (바델지수 ← 기본개념 / 성인)
- 환자의 사회적 인지기능, 의사소통 항목 추가(1983)
- 총18개 평가항목 → 기능영역(운동성 13개) / 인지영역(비운동성 5개)
- 7점 척도 평가 (최대 126점 - 완전독립, 최소 18점 - 완전의존)
- 신뢰, 타당도↑, 바델지수보다 민감도↑
- 실제로 가정에서의 수행력 측정 (보호자 가족의 도움 정도 점수화)
------------------------------
FIM 평가 세부항목(18개, 신체영역, 인지영역) - 바델지수보다 구체적, 세분화, IADL내용 일부 추가
---------------------------------------------------------------
신체영역(13항목) - 자기관리 식사하기(1) 꾸미기(2) 목욕하기(3)
옷입기(상의)(4) 옷입기(하의)(5) 화장실 사용(6)
- 대소변조절 소변관리(7) 대변관리(8)
- 이동 침상, 의자, 휠체어 이동(9) 화장실 이동(10) 욕조, 샤워실 이동(11)
- 장소 옮기기 걷기 / 휠체어 이동(12) 계단(13)
인지영역(5항목) - 의사소통 이해력(청각, 시각, 둘 다)(14) 표현력(말, 행동, 둘 다)(15)
- 사회적 인지 사회적 상호작용(16) 문제해결(17) 기억력(18)
--------------------------------------------------------------
FIM 점수 체계 (7점 척도) 보호자의 도움 정도 → 완전독립 126점, 완전의존 18점
----------------------------------------------------------------------------------
독립 완전독립(시간, 안정성) 7점
부분독립(보조도구) 6점 보호자 ×, 시간 지연
약간의존 감독 또는 준비 5점 신체접촉 ×, 격려 감시 필요
최소보조 4점 스스로 75%↑ 수행
중등도보조 3점 스스로 50%↑ 수행
완전의존 최대보조 2점 스스로 25%↑ 수행
완전의존 1점 스스로 25%↓ 수행
----------------------------------------------------------------------------------
FIM의 측정 시간(3)
------------------------------------
- 입원 admition data 입원 후 72시간 이내
- 퇴원 discharge data 퇴원 전 72시간 이내
- 추수지도 follow up data 퇴원 후 80∼180일
------------------------------------
FIM 측정 유의사항
---------------------------------------
1) 환자수준을 가장 정확히 기술하는 점수 기록
2) 능력보다 실제 가능한 수준을 점수화
3) 측정환경, 측정시간 따라 수행능력 달라지면 → 가장 낮은 점수 기록
4) 준비(SET UP), 감독 - 5점
5) 다칠 우려, 수행 불가, 2명 보조필요 - 1점
6) 빈칸 항목 / A/N(not, applicable) ×
7) 걷기 / 휠체어 사용 또는 의사소통은 →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에 표시
----------------------------------------
3. 아동용 기능적독립수준 평가 Wee FIM
-----------------------------------------
- 6개월∼7세 모든 아동 대상 → 건강, 발달, 교육정도 평가 (뉴욕주립대, 1987)
- 보호자 보호정도 7단계(18점∼126점)
- 발달지연 아동 → 12세까지 사용 가능
- 인지수준 7세 이하 사용 가능
- 6개 영역, 18개 항목 (p20)
- 7점척도 평가(총점 126점)
-----------------------------------------
4. Katz 지수 (Katz index, 1963년 개발)
-----------------------------------------------------------
-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엉덩관절골절 노인환자
- 면담과 관찰 (소요시간 5 ∼ 10분)
- 6개 영역 목욕하기, 옷 입고 벗기, 화장실 이용, 이동, 대소변 조절, 식사
- 3점 척도 (6점∼18점)
독립적 수행 1점
보조받아 수행 2점
수행불능 3점
---------------------------------------------------------------
- 환자 등급 메기기
------------------------------
A 모든 항목 독립
B 하나를 제외하고는 독립
C 목욕하기와 다른 하나를 제외하고는 독립
D 목욕하기, 옷 입고 벗기와 다른 하나를 제외하고는 독립
E 목욕하기, 옷 입고 벗기, 대소변 처리와 다른 하나를 제외하고는 독립
F 목욕하기, 옷 입고 벗기, 대소변 처리, 이동하기와 다른 하나를 제외하고는 독립
G 6개 활동영역 의존
other 2개 활동영역에서 의존이지만 C, D, E, F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
5. 척수독립성지수 spinal cord injury measure, SCIM
-----------------------------------------------------------------
- Katz 등이 FIM 단점 보완(1996)
- 척수손상 환자(손상 형태에 따른 적용 가능) 사용
- 최고 점수 100점(검사항목(16개) 별, 수행 항목별 점수 다름)
- 4개 항목 자기관리 / 호흡과 괄약근 조절 / 이동(방 ↔ 화장실) / 이동(실내 · 실외)
-----------------------------------------------------------------
6. PULSES profile
----------------------------------
- Moskowitz·McCann 개발(1957년) Granger 개정(1979년)
- 6개영역 신체상태(physical condition) 팔기능(upper limb function)
다리기능(lower limb function) 감각요소(sensory coponents)
대소변조절기능(excretory function) 지원요소-인적물적(support factors)
- 4점척도
정상 1점 장애 더해질수록 1점씩 더함
총점 6점(모든 항목 독립적 수행), 24점(완전의존)
- 개인 재활 과정
기능 향상 정도 기록, 재활 목표 설정에 유용
----------------------------------
7-1 한국형 일상생활활동(K-ADL)
---------------------------------
- 3점 척도- 노인 대상 한국 실정에 맞도록 개발(원장원)
- 7개 문항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이동, 화장실 사용, 대소변 조절
- 3점 척도(7점∼21점)
도움없이 혼자 가능하다(완전독립 1점)
부분적으로 도움을 받는다(부분의존 2점)
전적으로 도움을 받는다(완전의존 3점)
----------------------------------
7-2 한국형 수단적일상생활활동평가(K-IADL)
---------------------------------- ------
- 10개 문항 몸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하기 근거리 외출
교통수단이용 물건사기 금전관리 전화사용하기 약챙겨먹기
- 안하는 경우 대비 추가 질문(점수 산정 남녀 다름)
- 3점∼4점 척도(총점 37점)
-----------------------------------------
8. 클인벨 일상생활활동척도 Klein Bell ADL scale
----------------------------------
- Klein, Bell(1982)
- 다양한 환자집단에서 사용 가능
- 직접 관찰과 면담에 의한 평가
- 수행 여부로 점수 부여 (보조 형태, 정도 관계없이)
- 성공(수행) 시 2점(백분율 환산 최고 점수 313점)
---------------------------------
9. Kenny self care 일상생활활동 평가 Kenny self care evaluation
----------------------------------
- 노인환자 평가 목적 개발(1968)
- 침상운동, 이동, 보행, 옷 입고 벗기,
- 위생활동, 식사활동 (6개 영역, 17개 항목)
- 5점 척도(0∼4점) 최고 24점 (0점 - 의존적, 4점 - 독립적)
-----------------------------------
10. 부엌과제 평가 kitchen task assessment, KTA
----------------------------------
- Baum(1993)
- 부엌활동 → 조직화 능력, 계획능력, 판단기술 평가(간단 음식 만들기 과제)
- 6개 영역 평가(0∼3점, 4점 평가, 15분 소요)
시작하기 능력 조직력 단계적 수행능력
적절한 순서 판단력 안전성 과제 완성 능력
- 치매 의심환자 평가-적용 가능
---------------------------------
11.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
- 캐나다작업치료협회(1998)
- 만 7세 이상, 치료 초기 평가
- 자신(가족)의 문제점, 원하는 우선순위 정함
- 수행 정도, 만족도 측정
- 환자, 가족중심적 접근
- 치료사들의 인터뷰 형식(점수 형식) 평가
(문제 확인 → 우선순위 선정 → 수행 정도, 만족도 측정 및 계산 → 재평가)
----------------------------------------
COPM의 점수
----------------------------------------
-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5종류의 문제를 선택 (융통성 있게)
- 중요도 항목에서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점수를 알아낼 수 있게 의미 있는 질문
- 우선순위가 높은 활동이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앎
- 치료 전후의 변화된 작업 수행 성과측정
- 재평가 점수 - 평가점수 = COPM 점수
--------------------------------------
COPM 시행 4단계
------------------------------
제1단계 : 작업 수행의 문제 결정 (하고 싶은 것, 필요한 것)
제2단계 : 중요도에 대한 평정 → 10단계 척도 (scale)로써 평정
제3단계 : 점수의 결정
제4단계 : 재평가 반복
-----------------------------
12. Franchay 일상생활활동 자기평가지수 Franchay activity index
---------------------------------
- 뇌졸중환자
- 자가 보고 형식
- 발병 이전과 이후 참여 정도 빈도수를 비교 → 세탁하기, 외출하기, 정원 가꾸기 등
---------------------------------
13. Lawton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평가 Lawton IADL evaluation
-----------------------------------
- Lawton (1969)
- 너싱홈, 정신과, 가정 서비스 대상 노인 평가
- 8개 항목, 2점 척도, 항목별 가중치 부여
----------------------------------
14. Arnadottir 작업-일상생활활동 신경행동학적 평가(A-ONE)
-----------------------------------
신경행동학적 손상 종류, 장애정도와 ADL 관련성 확인 목적 개발
----------------------------------
15. Kohlman evaluation of living skills, KELS
---------------------------------
- IADL 면담(자가보고) + 수행력 평가(관찰)
- 정신과적 환자 위해 개발
- 노인의 IADL 수행평가도구로 사용
---------------------------------
16. 임상치매척도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
- Hughes(1982년 개발, 번역 한국판)
- 치매 인지 · 사회기능 정도 등급 척도
- 6개 영역
기억력 지남력 판단 및 문제 해결 사회활동 가정생활 및 취미 개인 ADL
- 7점 척도(0, 0.5, 1∼5등급)
- 검사 소요시간 길고, 교육 · 훈련 필요한 검사
- 질병 · 사회적 · 정서 문제로 인한 기능 저하 고려 ×
-----------------------------------
17. 단일화된 파킨슨병 등급척도(UPDRS) unified parkinson'disease rating scale
----------------------------------------------
- 1987 발표
- 운동증상 · ADL능력-점수 표현
- 4 part
partⅠ 의식 · 행동 · 기본(정신검사) 4 항목
partⅡ ADL 평가 13 항목
partⅢ 운동기능 검사(의사 평가 부분) 14 항목
partⅣ 운동기능 관련 합병증(치료 부작용) 11 항목
- 최고 점수 199점
---------------------------------------------
18. 근위축가쪽경화증 기능평가척도 (ALS functionnal rating scale, ALAFRS)
-------------------------------
- 한글 번역판
- 12개 항목
- 5점 척도(4점∼0점, 48점∼0점)
--------------------------------
근육위축가쪽경화증 22
- 위, 아래 운동신경세포의 징후와 증상이 나타남
- 초기에 강직성 마비가 나타나고, 이후 이완성 마비가 나타남
- 괌, 뉴기니아, 일본 기이반도 에서 발병율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