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뇌졸중
뇌졸중 cerebral vascular accident, CVA
WHO 혈관성 원인에 의해
24시간 이상 지속하거나, 사망을 초래하는
갑자기 발생하는
부분적, 또는 전반적 뇌기능 장해를 보이는
임상적 징후
뇌졸중 stroke 이란?
뇌에 혈액 공급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Infarction, Ischemic stroke-주로 중간대뇌동맥)
터짐(뇌출혈 Hemorrhage, Hemorrhagic stroke-거미막아래)으로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
현황
1. 선진국 목동맥 경화(기름진 식습관) - 뇌경색 ↑
2. 후진국 치료☓ - 뇌출혈 ↑
3. 우리나라 뇌경색 60 ∼ 70%, 뇌출혈 30%
4. 3대 사망원인, 손상 → 회복☓
5. 여자 뇌출혈 ↑
뇌졸중 원인(순위)
1. 나이↑ 2. 고혈압(발생 4-5배)
3. 심장질환(2-4배) 4. 음주 흡연
증상
갑자기 한쪽 팔다리 힘 빠짐(운동중추☓)
갑자기 말 못하거나, 발음 나빠짐(혀기능↓)
갑자기 잘 보이지 않음
(뒤통수엽 기능↓, 대개 반쪽)
갑자기 어지럽고, 넘어지려함
(소뇌기능↓, 물건잡기☓)
갑자기 심한 머리아픔
(지주막하출혈-뇌졸중의 6%정도)
갑자기 의식 흐려짐(심하면)
글쓰기, 젓가락질☓ 이해☓(횡설수설)
→언어중추(왼쪽뇌)
혼동 쉬운 질병과 관련 질병
일과성 허혈발작(TIA)
- 혈관 급성,일부,신경적, 수분∼24시간내 호전
편두통 - 월 2회정도, 심한 통증
어지럼증(이석증,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
- 고개 좌우 돌림☓)
갑자기 어지럼(회전감) 1분정도 지속
정상 반복(귓병/뇌질환 없음) - 체위 영향
이석 분리 - 반고리관속 림프액내 떠돎 - 붙음 - 신경과도자극
이석 분리(추정) - 충격, 바이러스감염, 약물부작용
경미 - 심함, 1분내 멈춤, 심하면 구토
기상, 돌아눕기, 천정보기, 고개돌리기
진단
중이염 유무
딕스 홀파이크(Dix-Hallpike)검사 - 어지럼 유발자세
눈 움직임 관찰(안구하방안진-앞반고리관. 상방안진-뒷고리관)
불분명시 청력, 평형기능, MRI 검사
어지럼 지속 - 뇌졸중 의심
수주내 호전
후유증 거의없고, 재발 특징
물리치료
가장 널리 사용 변형 에플리(Epley) 방법,
머리의 위치를 변화시켜, 석회 부유물을, 반고리관의 관 내를 따라
반고리관 공통각(common crus)으로 이동시켜 전정(vestibule)으로 유도.
효과 70~90%,
만약 한 번으로 반응이 없으면 몇 차례 반복 실시
1. 앉은자세에서 45도 옆으로 틀고 그대로 (빠르게) 누워서
뒤로 20도 정도 뒤로 젖히고 자세유지(30초)
2. 1번 상태에서 그대로 90도 돌려서(반대쪽 45도) 자세유지 (30초)
3. 바닥을 보고 몸을 옆으로 틀어서 자세유지 (30초)
4. 몸을 그대로 세우고 자세를 바로하고,
턱을 당긴 상태로 15분간 그자세 유지
5. 현훈(어지럼증)이 사라질 때까지 하루에 한번씩 반복
안면마비(구안와사) - 제7뇌신경(얼굴신경) 마비
바이러스-신경감염병증 추정, 중년이후, 찬바람 맞은후
갑자기 발생
미각상실 / 눈물감소 / 청각과민 동반
환자 70-80%, 4주 몇개월 이내 회복. 10% -마비
우울증(뇌졸중환자 30% 생겨) - 뇌졸중 ↑
우울증 고령자 전조증상 가능성 ↑
수면무호흡증 - 뇌졸중↑ (대사증후군 많아)
진단
뇌혈류 초음파 - 혈관 좁아진 부분 검사
CT - 뇌경색, 뇌출혈 구분용이 (명암)
MRI, MRA - 동시에 볼수 있음
MRI - 뇌 상태 정확히 촬영 (손상위치, 손상정도)
MRA - 혈관 촬영
혈관조영술 - 부풀거나 꼬였을 때
→사타구니동맥 삽입확인
치료
골든타임 3∼6시간
(10분 지연 → 콩알 만큼씩 죽어가)
초기 치료
- 혈전용해제(TPA) → 환자들 수의 30% 효과
- (너무 늦게 처방 - 뇌출혈 가능성 더↑)
혈관 뚫기 - 뚫기 / 혈전용해제+뚫기 / 뚫기+스텐스삽입 시술 → 80%
동맥 우회술 시술 → 20%
치료후 3 ∼ 6개월까지 회복속도 ↑,
이후 완만 회복(속도 못느껴)
합병증
욕창 - 12시간 이상 고정☓ (2시간 이내 자세변경)
폐렴 - 삼킴근육기능↓ → 식이 폐로 들어가
→ 중요사망 원인
삼킴장애 검사 기능저하 → 물 수저로 먹이기
기능불량 → 코, 목으로 식이투입
1년내 10% 재발, 3년내 30% 재발
예방 노력 → 재발 1/3 정도 줄일 수 있어
재활치료
빨리, 적극적.
삼킴장애 → 얼굴, 혀, 후두, 인두 근육운동
혀 운동 - 내밀기, 돌리기
손상뇌 - 불활성 부분 활성화,
좌우뇌 → 서로 도와줘
기타
혈압 - 완치☓, 조절병
혈압약 - 혈압, 심장병, 당뇨까지 조절,
끊으면 뇌졸중 발생가능성 ↑
가정에서 감당 어려운 질병중 하나
(국가 배려 필요) → 건강할때 건강지켜야
원인
-------------------------------------
출혈성 뇌내출혈 고혈압 활동중 발병 사망률↑
뇌졸증 ------------------------------
거미막밑 윌리스고리의 주머니꽈리 파열
출혈
-------------------------------------
허혈성 혈전증 혈관내막 상처, 좁아짐+혈전
뇌졸중 thrombosis 죽상동맥경화증
활동않거나 잘때 발생
------------------------------
색전증 가는 뇌혈관 +혈전, 혈전성물질
embolism 활동중 발생, MCA
------------------------------
열공성 작은 관통혈관(바닥핵,대뇌겉질)
뇌졸중 고혈압, 죽상동맥경화증-원인
미미한 운동, 감각장애
의식소실, 언어, 시야, 정서장애×
-------------------------------------
뇌졸중환자의 일반적인 문제점
------------------------------------
지각장애 신체도식장애- 신체 각 부위에 대한 내적지각
장애. 눈 감고 한쪽 팔 들어 어깨와 평행
올렸다 내리기 3번 반복, 측정 차↑ →문제
촉각지각
시야결손
편측무시-시야에는 이상이 없으나 자신의
affected side의 시각, 청각, 촉각 자극을
무시하고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시각적 이해의 장애와 신체구조화의
기능 장애로 추측.
도형과 배경지각
인식불능증
------------------------------------
인지장애 기억, 판단, 추상적 사고, 순서개념
시작, 문제해결
------------------------------------
감각장애 환자의 53% 발생,
손상뇌 반대측 얼굴, 사지에 나타남
고유감각, 위치감각, 촉각 등
------------------------------------
언어장애 환자의 30∼36% 발생
전실어증, *베르니케 언어상실증
*브로카언어상실증
------------------------------------
정서장애 우측반구 병변자-심하게 나타남
------------------------------------
*근긴장 변화
------------------------------------
언어상실증 aphasia
------------------------------------
베르니케 청각연합피질 손상(감각언어영역)
언어상실증 왼쪽관자엽 위관자이랑의 뒤쪽
(22, 39, 40).
언어에 대한 청각, 시각정보 이해하는 곳
언어 이해력↓(단어 의미파악×)
동문서답, 상황에 대한 이해×
-----------------------------------
브로카 이마엽 가쪽고랑앞(44, 45) 운동언어영역
언어상실증 감각언어영역 언어정보 →조정, 전환
→운동영역으로 보내는 곳
MCA 경색시 손상(언어 이해능력은 보존)
전보문스피치(telegraphic speech)
-간단, 생략
비슷한 발음의 뜻 다른 단어로 말하기
전혀 다른 단어로 바꿔 말하기
------------------------------------
근긴장도의 변화(brunnstrom 운동기능 회복 6단계)
1. 이완(근육긴장 저하)
2. 경련
3. 경련 최고조, 시너지운동(공동) 나타남
4. 경련↓, 시너지운동→개별 분리운동
5. 협응운동
6. 근육 톤 정상, 협조운동 정상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