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지 보조기
의지, 보조기 정의 / 절단 / 절단단 관리
자연치유캠프
2016. 3. 7. 09:39
의지, 보조기란?
---------------------------------------------------------------------------
의지 전부 · 부분적으로 상실된 팔다리나 기관을,
대치하기 위한 인공적 기구
--------------------------------------------
보조기 신경, 근육, 뼈대 장애환자에게 공급되는
체외 보조 골격 기구
--------------------------------------------
의지 보조기학 인체의 어느 지절의 운동을 보조하거나 ,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외 골격 기구를
계통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의지와 보조기의 역사(요약)
- 의지의 역사 = 절단의 역사와 동일 선상
- 이집트 문명 발굴중 엄지발가락 보조기(나무) 발굴
- 1815 프랑스 jacques lisfranc
발목발허리관절 이단술 tarsometatarsal joint disarticulation 고안
- 1842 영국 james syme 발목관절 절단 성공(syme 절단)
- 1561 pare 다리의지
넙다리 절단자의 철로 만든 인공관절을 포함한 의지 고안
- 1696 네덜란드 pieter andriannszoon
넙다리 코르셋thigh corset형 종아리 의지 도입
- 1917 의지제작연합 설립
(세계 제1차대전 10만명 이상 절단장애인 발생)
- 1949 미국 의지보조기협회 AOPA
의지보조기기사 교육기준, 자격시험 기준 마련
- 한국전쟁(육군 의지창)
우리나라 의지보조기 산업 발달의 바탕이 됨
- 교통사고, 산업재해, 질병, 노인인구 증가, 질병기중 활동성 보장 목적
→ 의지 보조기 수요 증가(특히 보조기)
- 세브란스신촌병원, 강동보훈병원 → 의지보조기 많이 적용
절단 amputation
-----------------------------------------------
절단 amputation
이단 관절 부위 절단(disarticulation)
절단단 잘리고 남은 부분(stump) → ? 그루터기, 수주대토守株待兔
mitt 절단 손가락 모두 절단
폐쇄성 절단 / 개방성 절단(감염에 의해, 일시적 open상태)
절단단 ↑ - 환자에게 유리 ↔ 치료적 관점 · 의지 공간 확보(의료관계자)
-----------------------------------------------
절단 원인
----------------------------------------
말초혈관 질환(당뇨) > 외상 > 감염 > 종양 > 선천적 기형
다리 절단(거의 10배 ↑) > 팔 절단
----------------------------------------
절단의 일반적인 합병증
------------------------------------------------------------
1. 궤양 형성 ulceration
2. (절단 신경) 신경종 neuroma
(결절)으로 성장 → 신경자극 → 뇌 전달(통증) / 국소 통증 local pain
3. 환각지 phantom limb / 환상통 phantom pain
(16세기 프랑스 의사 앙브루아지 파레 발견)
- 절단된 사지가 있다고 느끼는 통증 없는 감각
- 환자 70% 경험(매우 심하고, 장기간 지속)
4. 관절 구축 joint contracture
---------------------------------------------------------
*환각지 환상통 치료(mirror box)
- 운동수행 담당 뇌 영역 (손상안됨) 자극
→ (절단) 팔다리가 아직 있는 것처럼 감각과 통증을 느낌
- (왼팔상실) 오른팔 거울에 비치면 왼팔처럼 보임(거울반사특성)
→ (환자) 양쪽팔이 다 있는 것처럼 보임
→ 뇌에 팔다리가 있다고 인식시켜(← 움직임, 운동으로) 통증 없애는 치료법
- 정신치료
정신적 고통 느낌 → 원인이 무엇인지 돌아보고, 심리적인 대체제를 마련
팔 절단
------------------------------------------------------
손 절단 엄지 - 가장 중요(운동성)
-------------------------------------
손목관절 이단 노손목관절radiocarpal j.
아래팔 엎침, 뒤침 가능
상대적인 긴 지레팔 보유(하중 들어올림에 유리)
길이에 따른 의지부품선택에 제한
-------------------------------------
아래팔 절단 BE(below elbow)
긴아래팔 절단 스텀프stump 80% 이상 잔존
아래팔 중간절단 55% ∼ 80% 잔존
짧은아래팔 절단 35% ∼ 55% 잔존
--------------------------------------
위팔 절단 AE(above elbow)
긴위팔절단 위팔뼈 길이의 50 ∼ 90% 잔존
*짧은 위팔절단 위팔뼈 길이의 30 ∼ 50% 잔존
*위팔뼈 1 / 3 골절 - 겨드랑신경 손상 가능성 ↑
--------------------------------------
전사반부 절단 빗장뼈, 어깨뼈까지 절단
-------------------------------------------------
- 아래팔 절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잘린끝의 길이가 길수록 의지 사용능력이 좋다 23
다리 절단
-------------------------------------------------------------------------------
발 절단 리스후랑 Lisfranc's 발목발허리tarsometatarsal j.
꿈치들린휜발가능성 ↑
----------------------------------------------------
초파 Chopart 목말뼈, 발꿈치뼈 남기고 절단
목말발배관절 / 발꿈치입방관절이단
꿈치들린휜발가능성 ↑
---------------------------------------------------
피로고프 Pirogoff's 발꿈치뼈 끝부분 / 정강뼈 원위융합
체중부하 잘됨
다리 길이 짧아짐(안 짧아짐 - 대학서림)
--------------------------------------------------
보이드 Boyd's 발꿈치 / 정강뼈, 종아리뼈 고정
-------------------------------------------------------------------------------
발목관절 이단 Syme's
정강 / 종아리뼈 - 관절 위에서 절단
0.5cm 위(다리 길이 5∼7cm 단축) 17
→ 외관 둥글고 투박 단점 보완
체중부하 바로 할 수 있음
정상에 가까운 보행능력 (스텀프 길이 길어 지렛대 작용)
-------------------------------------------------------------------------------
종아리 절단 BK(below knee)
우리나라 가장 많은 절단
종아리뼈가 정강뼈 보다 2∼3cm 짧아
사임 위에 있고 무릎절단 아래에 있음
주요 근육 rectus femoris(무릎 폄)
최적 길이 15cm
-----------------------------------------------------------------------------
넙다리 절단 AK(above knee)
넙다리의 중간 1 / 3 이상적
최적길이 무릎 가까운 방향 10cm → 의지 장착 공간 확보
최소 길이 큰돌기에서 5cm ↑
변형 가능성 ↑ - 엉덩관절 벌림, 가쪽돌림, 굽힘
엉덩관절 굽힘 구축 근육 iliopsoas m.
절단근육 quadriceps femoris, gracilis, sartorius
semitendinosis semi membranosus
-------------------------------------------------------------------------------
특수 기능 위한 절단
------------------------------------------------
Krukenberg 노뼈, 자뼈 분리
시각장애인+아래팔 절단자
-------------------------------------
회전성형술 rotation plasty 무릎관절, 넙다리뼈 원위부 절단
종아리 180˚ 회전 → 넙다리뼈에 연결
발 뒤꿈치 - 체중지지 역할,
발가락 dorsi f. plantar f. 역할
----------------------------------------------
소아기 절단(원인, 장단점)
-----------------------------------
선천적 원인(선천성 사지결핍증)
합병증 ↓, 정신적으로 잘 적응(의지 착용 쉬움)
성장에 따른 의지 점검, 교체 문제 발생
-----------------------------------
- 주로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뼈 몸통의 한 쪽은 부러지고
다른 한 쪽은 구부러진 상태의 골절은? → 생목골절 23
절단 상처의 치료 wound care
---------------------------------------------
혈액순환 잘린 끝 반점 mottling문제 징후 서늘한 부위
괴사 딱지 eschar(봉합 조임 ↑ 가능성)
치유 지연 (정상치유 기간 - 외상 3주 / 혈관성 4∼6주)
------------------------------------
감염징후 평상과 다른 온기 / 홍반 erythema
장액 serous, 고름 purulent (혈종 / 재료 감염) → 배출필요
현재 - 염증지수 확인(혈액검사)
-------------------------------------------
의지 착용 전 절단단 관리 stump management
-------------------------------------
탈감작 desensitization
치료적 마사지 - 흔들기vibration, 두드리기tapotement
주무르기 petrissage, 쓰다듬기 effleurage
문지르기 friction m. (유착 예방)
점진적 체중부하,
협조 운동 (8자, 그림 그리기 등)
-------------------------------------
절단단 성형 축소
연성 드레싱 (탄력붕대)
반경성(공기 부목) / 경성드레싱(석고)
원추 성형
*절단 끝의 축화, *부종 감소, *조기 의지 착용, *혈액순환 증진
일정 압력 유지 감기(혈액순환 유의)
먼 쪽을 더 압박하여 감기(원추 성형위해)
-------------------------------------
문지르기(friction)22 → 유착성 흉터조직 제거
→ 피부 아래까지 강한 압력을 주어 시행
수술 직후 의지장착(임시의지pylon) IPOF(immediate postoperative fitting)
--------------------------------------
수술 후 2주 이내 적용 (*가능한 한 빨리, 2∼3일 후 착용 추세)
빠른 절단단 성숙 / 동통, 환상통의 감소 / 심리적 안정
여러 의지 사용과 함께 다양한 의지부품 선택 경험 기회
상처 치유 경과에 따라 socket 계속 바꿔줘야
--------------------------------------
ROM 유지 및 변형 방지 / 근력 유지
절단 부위와 변형(구축)
------------------------------------
아래팔 팔꿈치 관절 굽힘
윗팔 어깨관절 굽힘 21, 모음, 안쪽돌림
발목관절 꿈치들린휜발증
종아리 무릎관절 굽힘
넙다리 엉덩관절 굽힘, *벌림, 가쪽돌림
------------------------------------
*넙다리 벌림 구축 방지 - 가쪽에 베개를 고임
*gluteus medius
*adducter magnus, adducter longus
Stump 부종 방지
-----------------------------------------
- Early mobilization - Posture change
- Elastic bandage - Massage
----------------------------------------
K-level(한쪽 종아리, 넙다리 의지처방 기능적 수준 1995 USA)
------------------------------------------------
K-level 기능적 수준
------------------------------------------------
K0 걸을 수 없는 사람
K1 집안에서만 걸을 수 있는 사람
K2 지역사회에서만 제한적으로 걸을 수 있는 사람
← 다축발 의지 적용 수준
K3 직업, 치료, 운동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보행속도로 걸을 수 있는 사람
← 에너지저장발 적용 수준
K4 활동적인 성인, 운동선수 수준의 활동이 가능한 사람
------------------------------------------------
환각지 phantom limb / 환상통 phantom pain 관리
--------------------------------------
- 실제 증상 인정(상상 감각 아니라는 것) ← 치료사
- 시간 경과 → 통증 ↓ 사라짐 인식 ← 환자
- 잘린 끝 자주 보고, 마사지(탈감작)
- 거울 앞 → 건축 사지 근력운동(환각지 움직임 상상)
- 의지 사용
- 진통제, 침, 국소 캅사이신, 전기자극, 신경차단제, 심리치료
--------------------------------------
의지의 구조에 의한 분류
--------------------------------------------
외골격식 내부가 빈 구조 - 가볍다(나무, 플라스틱)
재정렬, 조절이 어렵다
--------------------------------------
내골격식 조립식 구조 - 제작 시간 단축,
재정렬, 조정 간편, 타사 부품 호환 가능
의지부품 추가 - 무게 증가
(스틸 →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탄소섬유)
-------------------------------------
신체작동식 / 외부동력식. 기능성 의지 / 미관용 의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