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
제3장 환경보전(대기오염, 수질오염, 소음 진동)
자연치유캠프
2016. 3. 22. 16:26
환경오염(공해)의 특성
1. 다양(여러종류의 물질 오염)화 2. 누적(자꾸 쌓여가)화
3. 다발(여러곳에서)화 4. 광역(넓게 오염)화
대기오염 지배요인
--------------------------------------------------------------------------------------
1. 인구증가와 집중 2. 산업장 집결과 확충
3. 주민관심 ↓ 4. 풍력 낮을수록
5. 기온 낮을수록 6. 연료소모 많을수록
-------------------------------------------------------------------------------------
대기오염 중요인자 - *기온역전
----------------------------------------------------------------------------------------------------
방사성 역전 지표면(지상 200m↓)-하부 공기층 먼저 냉각(지열복사)
(복사성역전) (상층기온이 하층기온보다 높을 때 발생)
-------------------------------------------------------------------------------------
침강성 역전 고기압에서 오염물질
- 상부공기층(차가운)으로 상승 못해 발생
- 공기중의 입자 가라앉음
- LA 대기오염
-------------------------------------------------------------------------------------
전선성 역전 한랭전선, 온난전선 통과시 생기는 역전
------------------------------------------------------------------------------------- ------------
* 기온역전 ; 대류권 기류이동 심함. 100m 높아질 때마다 온도 1℃ 하강
↔ 지상고도에 따라 대류권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
대기오염 3대 측정지표 p120
---------------------------------------------------------------------------------------
1. 아황산가스(SO2)
눈, 코자극 / 1시간평균치 0.15ppm ↓, 자외선형광법
--------------------------------------------------
2. 매연 Ringelmann 비탁표(농도표)
2 ↓( = 매연농도 40%)
--------------------------------------------
3. 분진(크기 1mm 이하 고체상 입자)
------------------------------------------------------------ -----------------------
* 산성비의 정의
- pH 5.6 ↑(황산, 질산, 탄산 형태+빗물),
- 원인 - 아황산가스(SO2),
- 피해 - 금속, 석조물 파괴, 토양, 산림 산성화
오존층파괴
-------------------------------------------------------------- -------------------------
- 염소에 의한 파괴설-유력
CFC(chlorofluorocarbon)
성층권 아래층의 질산성 얼음알갱이(구름)에 흡수
→ 온도 ↑ → 알맹이 녹으면서 염소방출 - 오존층파괴
-------------------------------------------------------------
- 지구 온실효과에 의한 대기순환 변화설
-------------------------------------------------------------
- 태양 흑점주기변화에 따른 남극 기후 변화설
---------------------------------------------------------------------------------------
규제 노력 ; 비엔나협약, 몬트리올의정서
오존(O3)경보제도
일산화질소(NO) +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 (산소결합) 이산화질소 → (햇빛) 오존생성
고농도 오존 → 호흡기계, 안과 질환 악화
-------------------------------------------------------------------------------------------
주의보 0.12ppm ↑ / hr - 노약자, 호흡기계환자 실외운동자제
--------------------------------------------------------------------------
경보 0.3ppm ↑ / hr - 유치원, 초등학교 실외운동자제
- 자동차 운행제한
--------------------------------------------------------------------------
중대경보 0.5ppm ↑ / hr - 유치원, 초등학교 휴교
- 자동차운행규제
------------------------------------------------------------------------------------------
대기오염 대표적인 실제사례 (런던형 / LA형)
-------------------------------------------------------------------------------------
항목(발생조건) 런던(London)형 엘에이형(Los Angeles)
-------------------------------------------------------------------------------------
발생시 온도℃ -1℃ ∼ 4℃ 24℃ ∼ 32℃
-------------------------------------------------------------------------------
발생시 습도(%) 85 ↑ 70 ↓
-------------------------------------------------------------------------------
역전의 종류 방사성 역전 침강성 역전
-------------------------------------------------------------------------------
바람의 속도 무풍 5m ↓
-------------------------------------------------------------------------------
스모그 최성시의
시계 100m ↓ 1.6 ∼ 0.8 km ↓
-------------------------------------------------------------------------------
발생하기 쉬운 달 12월, 1월 8월, 9월
-------------------------------------------------------------------------------
주요 사용연료 석탄,석유계(가정공장) 석유계(자동차)
-------------------------------------------------------------------------------
주요 성분 SOX, CO O3, NO2, CO 유기물
-------------------------------------------------------------------------------
반응의 형 열적 광화학적, 열적
-------------------------------------------------------------------------------
화학적 반응 환원 산화
-------------------------------------------------------------------------------
최다 발생시간 이른아침 한낮
-------------------------------------------------------------------------------
인체영향 기침, 가래, 호흡질환 눈의 자극
-------------------------------------------------------------------------------------
미세먼지
(微細-, Particulate Matter(PM) 분진, aerosol)
---------------------------------------------------------------------------------------------------------
정의 - 대기오염물질(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탄소 등 포함)
지름 10㎛ 이하의 먼지(PM10)
- 극미세먼지 (2.5㎛ 이하(PM 2.5)-인체 여과기능 통과)
-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70㎛ ↓ 먼지
---------------------------------------------------------------
- 미국 펜실베이니아 도노라 대기오염사고
(1948년, 18명 사망, 강변분지, 계곡 무풍 - 확산 안됨)
- 런던스모그( 약 12,000명 사망) (1952년)
-------------------------------------------------
발생원인
- 자동차 매연, 공장 분진, 황사
- 화석연료 연소물질
- 모래바람, 화산재, 산불의 먼지, 바다 염분입자
-------------------------------------------------
관리규정
- PM-10 (10㎛ ↓) (2015. 1 부터)
연평균 50㎍/㎥ , 24시간 평균 100㎍/㎥
- PM-2.5 (2.5㎛ ↓)
연평균 25㎍/㎥, 24시간 평균 50㎍/㎥
연평균 15㎍/㎥, 24시간 평균 35㎍//㎥
-------------------------------------------------
질병 노인사망률 (국립환경과학원, 2009)
- 서울 미세먼지(PM10) 농도
10㎍(100만분의 1g)/ ㎥ ↑증가할 때마다 사망률 0.4% ↑.
- 초미세먼지(PM2.5) 10㎍/㎥ ↑ 사망률 1.1% ↑ 추정.
- 과체중 노년여성의 인슐린 저항성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AH)
-------------------------------------------
임산부와 태아
- 미세먼지(PM10)
저체중아 출산 및 사산, 기형아 발생과 밀접 관계 (부산대병원, 2009 )
-----------------------------------------------
기관지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 호흡기 질환의 직접 원인, 몸의 면역 기능 ↓
- 황산, 질산이온 → 백혈구 자극 → 혈관벽 염증 유발
-------------------------------------------------
아토피- 모공으로 침투 아토피, 피부염(여드름) 원인
-----------------------------------------------------------------------------------------------------------------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
- 148베크렐(Bq)/m3 (1m2에 라돈원자 148개)
미세플라스틱(1㎛ - 5mm 먼지상태, 전 지구적 이동 가능)
----------------------------------------------------------------------------
- 구분 ① 1차 미세플라스틱(인공적, 제조) - (대표적) 치약, 화장품 등
② 2차 미세플라스틱(마모, 광분해) - (대표적) 화학섬유, 자동차 타이어
- 혈액, 뇌, 태아태반, PET병 생수(24만개 / ℓ) 등에서 발견
- 유해성 → 아직 밝혀지지 않음 ← 신경, 호르몬에 영향 추측
----------------------------------------------------------------------------
대기오염과 생물지표식물 indicator plant
SOX HF(불산)
---------------------------------------------------------------------
풀 들깨, 사루비아 SO2 - 잎 전체 반점
O3 - 잎 전체 아주 작은 반점
---------------------------------------------------------------------
나무 곰솔(해송) 활력도 저하
---------------------------------------------------------------------
적용 예, 미국 - 알파파alfalfa(소먹이풀) SO2,
일본 - 나팔꽃 O3,
네덜란드 - 글라디올러스 HF
수질오염
수질오염 특성
------------------------------------------ ------------------
1. 광역화 2. 다양화(오염물질 - 질, 량, 종류)
3. 다발 4. 누적
-------------------------------------------------------------
수질오염 4대 검사항목(제2장 하수처리 내용과 중복)
----------------------------------------------------------------------------------------------------
용존산소량 용존산소량 ↓ = 오염도 ↑
DO 수중온도 ↓ = 수중산소량 ↑
(대기압, 20℃ 9ppm → 4℃ 13ppm)
Dissolved DO↑ 조건 → 온도↓ 유기물↓, 유량 · 유속 · 난류↑
Oxygen 생물생존 DO 5ppm↑
------------------------------------------------------
생(물)화학적 유기물 분해(호기성, 미생물) → 소비되는 산소량
산소요구량 산소소비량 ↑ = 오염 ↑
BOD 20℃, 5일간 측정
Biochemical 생물생존 BOD = 5ppm ↓
oxygen demand
하수중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 · 산화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측정해서 알 수 있는 수질오염의 지표는? 22
-----------------------------------------------------
화학적 수중물질 화학적 산화분해에 소모되는 산소량
산소요구량 산소소모량 ↑ = 오염물질↑ = 오염 ↑
COD 공장폐수오염
Chemical 과망간산칼륨KMnO4 소비량(산화제) ↑ = 유기성 오염 ↑ 21
oxygen demand
----------------------------------------------------
부유물질 물의 탁도 영향
SS suspended solid
---------------------------------------------------------------------------------------------------------
수질오염 인체 피해
------------------------------------------------------------------------------------------------------------
미나마타(Mynamata)병 수은폐수 - 어패류오염(식용), 뇌, 중추신경계 마비
--------------------------------------------------------------------------------------------
이타이이타이병 미쯔이 아연제련공장 폐광석 카드늄
→ 농업용수 오염 → 쌀(전이)
전신통증(아프다 아프다)
-------------------------------------------------------------------------------------------------------------
*물고기 서식 BOD 5ppm ↓, DO 5ppm ↑
미나마타병과 관련이 있는 공업중독물은? → 수은 23
소음, 진동
------------------------------------------------- --------------------------------
소음측정 단위 : dB(decibel) - 음 강도
phone - 음의 크기
sone - 감각의 크기(40dB=1sone)
-----------------------------------------------
인간 가청 음역범위 : 20 - 20,000Hz
직업성 난청 유발 소음강도 : 90 - 120dB(corti 기관장애)
통각 일으키는 소음 : 140dB
----------------------------------------------------------------------
소음기준(p138)
(“가”지역-주거전용지역, 종합병원, 학교, 도서관 경계로부터 50m 이내)
-------------------------------------------------------------------------
낮 (06:00-22:00) 밤 (22:00-06:00)
---------------------------------------------------------------------
소음제한 정도 50 dB 40 dB
-------------------------------------------------------------------------
레이노병 raynaud's phenomenon 21
-----------------------------------------------------------------------------------------------
- (갑작스런 추위, 스트레스 노출) 팔다리의 작은 동맥이나, 세동맥의 간헐적인(과도한) 수축
- 혈관경련에 의한 허혈, 청색증, 둔감(손가락 창백해지고 점차 푸르스름해지고, 저리고 아픔)
- 말단부위 찬 느낌
- 불안과 흥분에 대한 정서적 변화에 반응함
- 정신적 스트레스나 추운 환경에 노출 시 손가락 일부에 색의 변화가 나타날 때 물리치료교육은?
→ 약간 헐거운 장갑 착용 23
---------------------------------------------------------------------------------------------
생활소음 규제(p140)
생활진동 규제(p140)
환경영향평가와 건강영향평가
- 목적 : 사전예측으로 피해최소화
환경영향평가(환경영향평가법)
- 일정규모이상 개발사업(17개 분야, 74개 사업)
-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와 경제환경에 미치는 영향
건강영향평가(환경보건법)
- 일정규모 이상 소각장, 매립지, 화력발전소, 산업단지,
분뇨처리시설
- 국민건강영향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