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 이론
정지전정 기본 법칙01054816409
1. 정부우세성

위 그림에서 한가지중 잔 가지가 위쪽에 난것 일 수록 세력이 강하게 된다는 것.
예) 1, 2, 3, 4번 순서로 세력이 강하다.
그래서 1, 2번 가지를 방치하면 원가지 이상 자랄 가능성 있다고 본다. 3번(측면 중심선 아래)이 가장 적정하다.
따라서 1, 2, 4번 가지는 수시로 신조전정 적심 유인 등 으로 관리가 필요하다.
2. 리콤의 법칙

가지는 바로 세울수록 세력이 강하다는 법칙
위 그림으로 볼때 1, 2, 3의 순서대로 세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1) 번은 부주지를 만들지 않는 한 경쟁지가 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유인해야 한다.
특히 측지로 활용시 60도 이상 벌어지게 유인하면 좋다.
(4) 번은 처진 가지를 일부 절단하여 위로난 잔가지를 남겨둔 것이다.
리콤의 법칙 : 나무가지는 수직으로 설수록 가지의 생장이 강해지고 꽃눈 형성은 불량해 진다. 반대로 주지가 수평으로 있을때는 꽃눈형성이 강해지며 열매가 달린다. 하지만 블루베리(관목)의 경우, 일반 나무(교목)과 달리 상단 위쪽에 좋은 열매가 달린다. 따라서, 보통 교목은 ③,④번 가지를 남기지만 블루베리는 ①, ② 번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출처] 블루베리 전지, 전정교육|작성자 행복한 농부
3. C/N율
C는 탄소를 말하고 나무에 축적된 탄소화물을 말한다. N은 흡수한 질소를 말한다.
유목은 N >C 이다 따라서 C의량이 적으므로 강정지를 하지 않는다.
성목은 반대로 C의량이 많아 질소 비료관리와 전정시 유목보다 전정 량이 많이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