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제3편 모공(謀攻)
손자병법(제 3편) 謀攻(모공)
1. 謀攻이란? ; 공격을 위해 꾀를 짜는 것
----------------------------------------------
* 전쟁수행의 4단계 - 伐謨, 伐交, 伐兵, 攻城
* 피아 전력비별 부대운용 요령
10배-포위, 5배-공격,
2배-적 분산(적을 둘로 나누면 더 약해짐→승산↑),
대등-전력다해 맞섬,
열세-공격중지, 방어전, 시간벌기, 열악-철수(버티면 포로)
* 승리를 위한 5가지 필요요건
(대세판단, 집중과 절약, 상하단결, 신중/대비, 역할분담)
---------------------------------------------
2. 破全(파전) ; 최악의 싸움과 최선의 싸움
------------------------------------------------
* 깨진 상태로 하는 것은 좋지않고, 온전 상태로 목적달성이 최선.
* 피로스(싸움을 잘했던 그리스 왕)의 승리(로마군과의 전투)
- 피해가 많은 승리는 좋지 않음." 상처뿐인 영광은 의미가 없다."
* 필승과 불패의 차이
- 必勝 : 반드시 이긴다 → 무리수를 두게 됨
- 不敗 : 적어도 지지 않는다.(지향해야 함)
* Win-Win 전략 ; 相生(상생) ; 상대와 내가 함께 사는 것
☞. 현대 기업에서 ( 공급자와 공급받는자 와의 가장 이상적인것이며, 한 공급받는자에게 , 둘 이상의 공급자가 있을 경우 이 공급자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지만, 서로간의 신뢰와 도덕성은 너무 중요함.
뒤통수 치는 경쟁자의 조삼모사에 경계심은 늘 필요하다.
3. 不戰勝(부전승)이란?
------------------------------------------------
* 싸우지않고 적을 굴복시킴(최선)
- 부전승은 단순히 그날의 재수가 아닌, 실력이 좌우 한다.
-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 是故 百戰百勝 非善之善者也 ;
백번 싸워서 백번 이기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 아님
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者也 ;
싸우지 않고도 적을 굴복시킬수 있는 것이 가장 좋은것.
* 견훤 ; 신라 침략시 많은 사람에게 해악을 끼침(백성들의 원망)
→ 무력, 힘으로 굴복 (진정한 승리×)
* 왕건 : 어려움을 함께 슬퍼하고, 신라를 받아들여
고려 건국(신라 경애왕) → 마음으로부터의 항복(부전승)
---------------------------------------------------
4. 싸움의 4단계 전략
------------------------------------------------
* 伐謀(벌모) - '꾀를 베어 버린다'는 뜻
- 상대방이 나에게 덤빌 생각조차 못하는 단계
→ 가장 좋지만 가장 어려운 단계 - 가진 것(금력, 권력, 실력)↑ 가능
- 지략으로 적을 이기는 방법(최선의 방법)
* 伐交(벌교) - 적 군대를 죽이지않고 굴복시키는 것
- 상대방 주변(친구, 외교관계)의 동맹을 먼저 끊어버리는 단계
- 주변을 내편으로 포섭(더 바람직한 단계)
* 伐兵(벌병) - 상대방의 병력을 치는 것
- 파괴, 피해가 생김
* 攻城(공성) - 상대방의 성을 공격하는 것(최하의 방법-최후수단)
- 가장 나쁜 단계(수많은 피해)
- 공격측 불리→ 위기 가중 위험 (병력소모 최대)
" 부전승을 시도하지만 최종적으로는 공성을 염두에 둔 전략 단계 "
-------------------------------------------------------
5. 미리 승리를 아는 다섯가지 일
----------------------------------------------
① 대세판단 ; 내가 더불어 싸울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
知勝者有五 知可以與戰 不可利與戰者勝
② 집중과 절약(작전적 숙달) ; 집중과 절약, 대소인원 운영이 묘미
識衆寡之用者用勝(식중과지용자용승)
③ 상하단결 ; 위와 아래가 하고자 하는 것이 같음
上下同欲者勝(상하동욕자승)*
④ 신중/대비 ; 신중하게 대비할때 그렇지 못한 적을 이길수 있음
以虞待不虞者勝(이우대불우자승)
헛점을 보는 마음의 여유
⑤ 역할분담 ; 장수가 능력이 있고 임금이 간섭않으면 이길수 있음
將能而君不御者勝(장능이군불어자승)
임금이 승리를 방해하는 경우(굴레 씌우기)
1. 진격×상황→진격. 물러서기×→퇴각명령
2. 일방명령(군대 질서, 체계, 사정파악 미흡)
3. 상황 전략 발목잡기 (군주 명령, 방침 →혼란, 의심)
------------------------------------------------
6. 상하단결 上下同欲者勝(상하동욕자승)*이 어려운 이유
- 天時 <地利 <人和
돈, 인적 물적자원, 운?
운 運 = 천시-하늘의 때- 순풍↔역풍, 지속×
바람 불면 = 배 나아감
바람무풍, 엔진성능 ↑ = 배 나아감
바람무풍, 엔진성능 ↑, 사람 갈등,반목(딴마음) = 배 못감
- 사람 마음 얻기 = 가장 힘든 것
마음- 무상(항상 움직여)
가화만사성 家和萬事成 가정 안의 사람들 한마음도 쉽지않아
이순신(같은 마음=승리의 리더쉽)
무기↓ 병력↓ 자원↓ , 공감 → 절박감 공유 → 성공
7. 손자병법 중에서 최고의 명구!!
------------------------------------------------
* 知彼知己 百戰不殆(지피지기 백전불태)
- 적과 나를 알게되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 전쟁은 언제나 상황이 변하고 나와 적이 어떻하나에 달려있다
- 전국시대 위나라(방연, 태자 동행) → 조나라 공격 - 싸워도 위태롭지 않는 방법 "태자 몸으로 승리 → 임금 더바랄나위 없슴
→ 패하면 태자지위, 왕의 바탕 다 잃을수 있어 → 모험, 싸우지 않는다면 잃을일 없다" → 방연전사, 태자 포로
* 不知彼而知己一勝一負(불지피이지기 일승일부)
-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번은 이기고 한번은 진다.
* 不知彼不知己每戰必殆(불지피불지기 매전필태)
-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지 못하면, 싸울때마다 위태롭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