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과 경영

손자병법 제12편 화공

자연치유캠프 2018. 2. 28. 11:06

손자병법(12) ; 火攻(화공) - 불로 공격하는 방법

        불과 물은 누구를 가리지 않고

        적은 인원으로 큰 효과 낼수 있는 전술(다양하게 이용)

        손자병법 - 수공 언급없슴

  


 

1. 화공의 5가지 방법

 

    孫子曰, 凡火攻有五

     一曰火人, 二曰火積, 三曰火輜(), 四曰火庫, 五曰火隊

 

사람을 태우는 것(막사)

쌓아놓은 식량과 땔감을 태우는 것

보급품 수레를 태우는 것

군수창고를 태우는 것

적의 교통로와 보급로를 태우는 것

   

  




 

2. 火攻 ; 다양한 상황에 맞춰 공격하라!

 

    凡火攻 必因五火之變而應之

 

     - 화공법에 따라 나타나는 적의 변화에 따라 대응해야 함.

     - 조건이 매우 까다로움

 

* 수공법과 화공법의 차이

 

故以火佐攻者明, 以水佐攻者强, 水可以絶, 不可以奪()

 

- 수공법보다 화공법이 더 어려움

- 불로 공격을 도우려면 현명해야하고(인간이 만든 전략/전술),

   물로 공격을 도우려면 강해야 함(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전략/전술).

- 특수 공격으로서는 동일하지만 목적의 차이가 있음.

  



 

* 이순신장군의 명량해전, 빠른 물살을 이용한 세계최고의 해전.

   

  

* 적벽대전 

- 화공전의 대표적 전례

- 손권과 유비가 연합해 조조에 대항하여 양자강에서 벌어진 전투(연합군 승)


  

* 이릉대전(222. 6) 

- 오나라 육손의 화공전 ; 유비 패배


  

* 왕건의 나주포구 화공전  

- 견훤을 무찔러 승리

- 나주를 거점으로 남해안 장악

- 고려를 세우는 기초를 쌓음

  

 

* 장개석의 하원구 결제, 수공전

    - 1938년 중일전쟁때 일본군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황하를 막고있는 화원구의 제방을 터뜨림

    - 일본군 저지 실패, 무한피탈

    - 이재민 1,250만명, 사망자 89만명

    - 지도자의 수공에 대한 지식부족 →실패

 

  




3.  싸움의 3원칙


   ① 非利不動 : 유리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마라!

   ② 非得不用 : 얻는 것이 없을때는 군사를 사용하지 마라!

   ③ 非危不戰 : 위태롭지 않으면 싸우지 말라!

  

   현명한 군주는 전쟁을 매우 신중히 생각하고 明主愼之,

    훌륭한 장수는전쟁을 경계하는 것 良將警之

   나라를 안정되게 하고, 군대를 보전하는 길! 此安國全軍之道也 

 

    분노와 기쁨은 다시 얻을수 있지만 怒可以復喜 

   망한 나라는 다시 보존할수 없고, 亡國不可以復存

   죽은 사람은 다시 살아날수 없다. 死者不可以復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