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제1편 시계
손자병법에 들기전 알아야할 상식
-------------------------------------------------
1. "손자병법" 손자(손무) 2500년전 동양 전쟁의 최고 고전
제1편 시계 ∼ 제13편 용간
2. "전쟁론" 클라우제비츠 서양 전쟁 이론사상 최고 고전
3. 전쟁개념의 변화
· 산업화시대
화력의 한계, 정보 · 통신력↓, 기동력의 제한
통합(단결, 응집력) → 전투력 강화
· 21세기 4차혁명시대
스웜Swarm (개념-분산 배치 →여러방향 동시접근 →제압)
드론 · 로봇 · 화력(강력, 정밀, 원거리 타격)↑
통신·전자기술↑(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실시간, 즉각대응
동시작전 (공군, 육군, 해군, 특수전)
------------------------------------------------
제1편 시계
전쟁전, 전체적으로 여러요소를 신중히 검토하고 시작
(백성의 삶과 죽음, 국가존망)
평화유지 → 힘이 선행되어야(군비경쟁)
오사(五事-도道, 천天, 지地, 장將, 법法)
궤도(詭道 - 유리한 여건 조성을 위한 14가지 속임수)
오사(五事)-전쟁(경영)에서 필요한 대내적 다섯가지
------------------------------------------------
1. 도(道)-도의 도덕
공자 → 인의예지
손무 → 윗사람-아랫사람이 하나되기(전쟁위주 사고)
잭웰치("기업의 핵심가치는 700번 이상 반복해서 부하직원들에게 말하라")
2. 천(天)-하늘의 뜻
(음양, 추위와 더위, 계절변화)
3. 지(地) : 지리적 조건의 이로움
(멀고·가까움, 험준·평탄, 좁음·넓음, 죽는곳·사는곳)
4. 장(將) : 장수의 기본 5요소하나도 빠지면 안되고 다섯요소 균형이뤄야, 일부 충돌→지↔용, 인↔엄
(知지혜, 信믿음, 仁어짊, 勇용기, 嚴엄격함)
지(知)가 아니면 적을 헤아려 결코 기(기)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 산전, 수전, 택전, 육전
- 포정해우(庖부엌 丁解牛) 얼마나 잘 아는가? 숙달되면 마음으로 보고 느낌으로 소를 해체함
신(信)이 아니면 아랫사람을 함부로 가르쳐서 이끌지 말아야 한다
- 지피지기 백전불태
인(仁)이아니면 무리를 이끌때 사사로이 위로하고 달래지 말아야 한다
- 재우고 나서 자고, 먹이고 나서 먹는다
- 순망치한
용(勇)이아니면 잔꾀를 써서 싸움을 하지 말아야 한다
- 솔선수범의 열정
- 책임지는 사람(책임묻는 사람×)
- 문제사병은 없다, 있다면 문제장교만 있다 나폴레옹
엄(嚴)아니면 강제로 굴복시켜서 무리를 다스리지 말아야 한다
- 공평
- 공사 구별
- 읍참마속
-하연석-
5. 법(法) : 곡제(상세 명령계통), 관도(조직편성,규율), 주용(병기,탄약,군량미)
-----------------------------------------------
승패를 예측하는 일곱가지(아·적 비교검토)
-----------------------------------------
1. 어느쪽 지도자가 더 현명한가?
2. 어느쪽 장수가 더 유능한가(다섯조건 갖춘상태, 인재수, 충성도)?
3. 어느쪽이 천시와 지리를 얻었는가?
4. 어느쪽 법령이 더 철저하게 운용되고 있는가?(옳고 그른지 포함)
5. 어느쪽의 군사들이 더 강한가?(기술적으로 우수한가 포함)
6. 어느쪽의 병사들이 더 훈련되어 있는가?
7. 상벌(공평정도, 급여, 대우)은 엄정하고, 공정(불만정도)한가?
-----------------------------------------
궤도(詭道-변하는 전장→유리한 여건 조성을 위한 14 속임수,변덕,임기응변)
전쟁은 속임수다’(兵者詭道也) ←전장 끊임없이 변한다
전략누출×
-----------------------------------------------
판단을 흐리게 함(직접 속임수)
1. 능력이 있으면서도 능력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能而示之不能).
2. 사용하면서도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用而示之不用).
3. 가까이 있으면서도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近而示之遠).
4. 멀리 있으면서도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遠而示之近).
교란, 약화
5. 이로움을 탐하면 이로움을 보여주어 꾀어낸다(利而誘之).
6. 혼란하면 그 틈을 타서 취한다(亂而取之).
9. 상대가 기세등등하면 자극 격분시켜 흔든다(이성잃고 경거망동)(怒而撓之).
10. 상대가 낮추면(신중, 비겁) 교만해지도록 한다(卑而驕之).
11. 상대가 편안하게 있으면 피곤하게 만든다(佚而勞之).
12. 상대가 서로 친하면 이간시킨다(親而離之).
상대 강점 대비 회피
7. 상대 역량이 충실하면 경솔하지말고대비(대등세력↑, 아군충실↑)한다(實而備之).
8. 상대가 강하면 피한다(强而避之).
최종 지향점
14. 준비되지 않은 곳(방비하지못한 곳)을 공격한다(攻其無備).
15. 예상하지 못하는 방법으로 나간다(出其不意).
------------------------------------------------
궤도에 대한 클라우제비츠 생각
- 속임수가 투자 대 효과 측면에서 실용적인 가치가 없다
- “지휘관에게 근본적으로 필요한 자질은 잔꾀를 부리는 재주보다
정확하고 날카로운 이해력이다”
- 베트남전 중국(마오쩌둥), 북베트남(보 구엔 지압)
손자의 가르침에 충실 →교묘한 속임수-전쟁승리
미국-클라우제비츠 영향 →잔꾀 재주 인식(동서양 문화 차이?)
3가지의 거짓말 (토마스 아퀴나스)
------------------------------------------------
1. 악의적인 거짓말Black Lie
위해를 가하기 위한 거짓말-중상모략
2. 이타적(利他的) 거짓말
돕고자 하는 거짓말-(포로)고문에도 동료 이름을 말하지 않는 것
3. 선의적인 거짓말White Lie
배려, 고통에 빠진 사람에게 용기를 주기 위한 거짓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