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법 36가지 계책
병법 36가지계책(손자병법36계×, 단공36계? 송나라 단도제?)
여러곳에서 / 해년을 건너 모아 쓴 것
각각의 계 의미를 상세히 아는 사람 적어
승전계(勝戰計, 제1계∼제6계)
충분히 승리할 조건을 갖췄을때 적을 압도하는 작전
제1계. 만천과해(瞞天過海) : 하늘을 가리고 바다를 건너다.
- - 주도면밀하게 준비를 하면 나태해지고,
- - 자주 보면 의심하지 않게 된다.
- - 음(陰)은 양(陽) 속에 있는 것이지.
- 양의 대립편에 있는 것이 아니다. 태양(太陽)은 태음(太陰)이다.
- - 상대의 시야에서 벗어난다
제2계. 위위구조(圍魏救趙) : 위나라를 포위하여 조나라를 구하다.
- - 적을 공격하는 것은 분산시키느니만 못하고,
- - 공개적으로 공격하는 것은 비밀리에 공격하느니만 못하다.
- - 위나라의 공격을 받은 조나라가 제나라에 구원요청하자,
- 손빈이 위나라의 수도를 빈집털이-손 안 대고 조나라를 구원한
- 것이 유래(전국시대)
제3계. 차도살인(借刀殺人) : 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해치다.
- - 적은 분명하고 친구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을 때,
- 남의 힘을 빌려 적을 치는 것은 자신의 힘을 쓰지 않고
- '각출'로써 일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 - 직접 싸우지 말고 타인을 이용하라
제4계. 이일대로(以逸待勞) : 쉬면서 힘을 비축했다가 피로에 지친
적을 맞아 싸우다.
- - 적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것은 꼭 싸움으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 - 효과적인 방어는 강한 자를 약하게 만들고 약한 자를 강하게 만든다.
- - 지칠때를 기다려라
제5계. 진화타겁(趁火打劫) : 남의 집에 불난 틈을 타 도둑질하다.
- - 적이 중대한 위기에 처해 있을 때,
- 그 기회를 이용하여 적을 패배시킨다.
- - 불난 틈에 때려잡는다. 기회가 오면 재빨리 공격해라
제6계. 성동격서(聲東擊西) : 동쪽에서 소리치고 서쪽을 공격하다.
- - 적의 지휘가 혼란에 빠지면 앞 못보는 장님과 같다.
- 이는 홍수가 범람하는 상이나,
- 적이 자아 통제를 할 수 없는 틈을 타서 그를 멸망시켜야 한다.
적전계(敵戰計, 제7계∼12계) 전쟁에서
(아군과 적군의 세력이) 비슷할 때 (묘한 계략으로 적군을 무너뜨리는)계략
제7계. 무중생유(無中生有) : 무에서 유를 창조하다.
- - 기만하면서 기만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 전선에 무언가를 배치하여 적을 이중의 혼란에 빠뜨리는 것이다.
- 즉 기만적인 외형은 종종 다가올 위험을 감추고 있다.
- - 없어도 있는 척 하라
- -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 천하 모든 존재는 유에서 나오지만,
- 유는 결국 무에서 나온다(도덕경)
- -전술 사용시 주의점 2가지
- · '더이상 잃을 것이 없다' 생각할 때가 가장 좋은 조건이다(확신)
- · 기회를 잡으면 신속하게 허(虛)를 실(實)로,
- 거짓(僞)을 진실(眞)로, 무(無)를 유(有)로 전환해야한다
제8계. 암도진창(暗渡陳倉) : 한고조가 은밀히 진창으로 진군하여
항우의 기선을 제압하고 한나라를 세우다.
- 적을 제어하기 위해 행동을 고의로 노출시키고
기습공격을 통해 주도권을 장악하다.
- -한신명령(1군사 3개월내 불탄 잔도 보수-번쾌)→(1만군사-3년걸려) 적 방심→진령산맥 우회-진창점령, 관중차지(≒성동격서)
제9계. 격안관화(隔岸觀火) : 강 건너 불보듯 하다.
- - 적의 연합군 내부에 심각한 내분이 발생했을 때,
- 조용히(끼어들지말고) 그 혼란이 극에 달하기를 기다린다.
- 적의 내부의 투쟁이 격화되면 적의 연합군은 붕괴를 자초하게
- 되기 때문이다.
- - 거기서 비롯되는 유리한 형세를 면밀히 관찰하여
- 행동으로 옮길 준비를 한다.
제10계. 소리장도(笑裏藏刀) : 웃음속에 칼날을 품다.
- - 적으로 하여금 우릴 믿게 안심시킨 후 비밀리에 일을 도모한다.
- 주도면밀하게 준비한 후 행동하며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 부드러운 외형에 강한 내면을 숨기는 것이다.
- - 비장의 무기는 숨겨라
제11계. 이대도강(李代桃僵) : 오얏나무가 복숭아나무 대신 말라죽다.
- - 운세는 반드시 기울기 마련이니, 작은 것을 희생시켜 전체의
- 이로움을 구해야 한다. → 살을 주고 뼈를 취한다.
- - 작은 손실을 역이용해 큰 승리를 노려라
- - 대(大)를 위해 소(小)를 희생한다
제12계. 순수견양(順手牽羊) : 기회를 틈타 양을 슬쩍 끌고 가다.
- - 적의 미세한 틈이라도 받드시 장악해야 하며,
- 조그만 이익이라도 반드시 얻도록 해야 한다.
- - 작은 이익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 - 적의 작은 실수를 최대한 이용한다
공전계(攻戰計, 제13계∼제18계) 자신을 알고 적을 안다음, 계책을 모의하여 공격하는 전략
-전쟁에서 (자신을알고, 적을 안다음) 적을 공격할 때 (사용하는) 계략
제13계. 타초경사(打草驚蛇) : 뱀을 찾기 위해 풀밭을 두드린다.
- 한쪽을 징벌해서 다른 한쪽을 경계하도록 하는 것
- 적정을 미리 살피는 것
어떤 의심이 생기면 반드시 가서 살펴보아야 한다.
자세한 정찰 후에 비로소 행동해야 한다.
반복하여 정찰해야만이 적의 숨겨진 음모를 발견할 수 있다.
- 가벼운 도발이나 간단한 미끼로 상대방의 본색을 드러내게 하라
- 가만히 있는 상대를 괜히 겁을 주거나 압박해서 궁지에 몰린
뱀에게 물리는(대비하게 하는) 화를 자초한다.
당(唐)나라 왕로(王魯)가 당도(當塗)의 수령으로 있을 때 온갖 비리로 독직을 하자,
백성들이 고발장을 써 주부(主簿)가 비리를 저지른다고 고발했다. 왕로는 다음과 같이 판결을 했다.
“그대는 풀을 쳤을 뿐이지만 나는 이미 놀란 뱀이 되었다.”
(王魯爲當途宰, 瀆物爲務, 會部民連狀訴主簿貪. 魯乃判曰, 汝雖打草, 吾已驚蛇.)」
왕로는 백성들이 자기 부하들의 비리를 고발한 것은
우회적으로 자신의 비리를 고발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지레 겁을 먹은 것이다.
제14계. 차시환혼(借屍還魂) : 죽은 사람의 영혼이
다른 사람의 시체를 빌려 부활하다.
- - 강한 자는 이용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약한 자는
- 도움이 필요하니,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빌어서 이용한다.
- 내가 약한 자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약한 자가 나에게 구한다.
- -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뭐든지 이용해서 원하는 바를 실천하라
제15계. 조호리산(調虎離山) : 범을 산 속에서 유인해내다.
- - 자연조건이 적에게 불리해지기를 기다리고
- 기만으로 그를 유혹한다.
- 적이 커다란 위험을 무릅쓰고 당신을 공격하도록 유혹한다.
- - 상대방이 유리한 지형에 있으면 지형 밖으로 꺼내라
제16계. 욕금고종(欲擒姑縱) : 큰 것을 얻기 위해 작은 것을 풀어주다.
- - 적을 지나치게 몰아세우면 적이 도리어 맹렬하게 반격한다.
- 적을 달아나게 놓아두면 그 기세가 꺾일 것이다.
- 적을 쫓되 다급하게 쫓지 않고, 적의 힘을 고갈시키고
- 전투의지를 쇠약하게 만들어 적을 분산시킨 후 사로잡아야 한다.
- 그러면 칼에 피를 묻히지 않고도 적을 진압할 수 있다.
- 즉 공격을 주도면밀하게 지연시킴으로써
- 적을 스스로 자멸하게 만드는 것이다.
- - 상대가 최후의 저항을 하지 못하도록
- 완전히 외통수로 모는 것을 금하는 계략이다
제17계. 포전인옥(抛磚引玉) : 돌을 던져서 구슬을 얻다.
- - 지극히 유사한 것으로 적을 미혹시킨다음 공격한다.
- - 작은 것을 미끼로 써서 큰 것을 노려라
제18계. 금적금왕(擒賊擒王) : 적을 잡으려면 우두머리부터 잡는다.
- - 적의 주력을 궤멸시키고, 그 괴수를 사로잡아 적을 와해시킨다.
- - 용(龍)도 물을 떠나게 되면 어쩔 도리가 없다.
혼전계(混戰計, 제19계∼제24계) 적의 혼란을 틈타 승기를 잡는 전략
제19계. 부저추신(釜底抽薪) : 솥 밑에 타고 있는 장작을 꺼내
끓어오르는 것을 막다.
- - 강한 적을 만났을 때는 정면으로 공격하지 말고
- 가장 약한 곳을 찾아내 공략하라.
- - 이것이 부드러운 것으로 강한 것을 이기는 법이다.
제20계. 혼수모어(混水摸魚) : 흐린 물에서 고기를 잡다.
- - 적의 내부가 혼란한 틈을 타서, 그 약자를 당신의 편에
- 끌어들여라. 그러면 적은 자멸하게 될 것이다.
- - 혼란에 빠트린 뒤 공격한다
제21계. 금선탈각(金蟬脫殼) : 매미가 허물을 벗듯
감쪽같이 몸을 빼 도망하다.
- - 적이 행동하지 못하도록, 진지의 원형을 보존하고
- 군대가 여전히 주둔하고 있는 것처럼 하라.
- 그러면 적이 감히 공격하지 못할 것이다.
제22계. 관문착적(關門捉賊) : 문을 닫아 걸고 도적을 잡다.
- - 세력이 약한 소규모의 적에 대해서는 포위하여 멸망시켜야 한다.
- 퇴각하게 놓아두면 섬멸하는 데 불리하다.
제23계. 원교근공(遠交近攻) :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하다.
- - 멀리있는 적보다는 가까이 있는 적을 공격하는 편이 유리하다.
- 멀리있는 적과는 정치적 주장이 다를지라도 잠시 연합하라.
- - 가까운 적부터 잡아라
제24계. 가도벌괵(假道伐虢) : 기회를 빌미로 세력을 확장시키다.
- - 두 개의 강대국 틈에 끼인 소국이 적의 위협을 받게 되면
- 즉시 군대를 보내 구해줌으로써 영향력을 확장시켜야 한다.
- 곤란한 지경에 빠졌을 때 단지 말만 앞세우면 신뢰받을 수 없다.
- - 진나라때 순식이 길을 빌려 괵나라를 멸한 것에서 유래
병전계(竝戰計, 제25계∼제30계) 상황에 따라서는 언제든지 적이 될수 있는 우군을 배반 이용하는 전략
-전쟁에서 (적을) 밀어낼 때 (사용하는) 계략
제25계. 투량환주(偸樑換柱) : 대들보를 훔쳐내고
기둥으로 바꾸어 넣다.
- - 연합군으로 하여금 진영을 자주 바꾸게 하여
- 그 주력 부대를 빼내게 한다. 그들이 스스로 붕괴하기를 기다려
- 그 틈을 타 적을 공격한다.
- 이는 마치 수레의 바퀴를 빼는 것과 같다.
- -대들보를 빼돌려 기둥과 바꿔친다
- 주력을 눈치채지 못하게 뒤바꿔 약점을 찔러라
제26계. 지상매괴(指桑罵槐) : 뽕나무를 가리키며, 홰나무를 욕하다.
- -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려면 경고를 해야 할 것이다.
- 강한 기세로 나아가면 충성을 바칠 것이고,
- 단호한 태도를 취하면 순종하게 될 것이다.
- - 적의 동맹을 뜨끔하게 만들어라
제27계. 가치부전(假痴不癲) : 어리석은 척하되, 미친 척하지 말라.
- - 총명한 척하며 경거망동하지 말라.
- 기밀을 누설하지 말고 조용히 계획하라.
- 천둥번개가 순식간에 치는 것처럼.
- - 어리석은 척하되 (정말로) 미치지는 않는다
- - 사마의(司馬懿)
- 위(魏)나라 명제(明帝) 조예(曹叡)는 병이 위급해지자 사마의(司馬懿)와 조상(曹爽)에게 여덟 살밖에 안 된 아들 조방(曹芳, 폐제(廢帝))을 부탁하였다. 조상은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여 처음에는 사마의를 어른으로 대접하였다. 그러나 얼마 후 그의 주변에 명사들이 모여들고 동생들이 조정의 핵심 위치에 서게 되자 태도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그는 먼저 조방에게 사마의를 태부(太傅)에 임명하도록 건의하였다. 태부란 세자의 스승이니 사마의를 존대한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그의 병권을 박탈한 것이다. 그 후 조상은 사마의를 더욱 배척하려고 들었다.
사마의는 병을 핑계로 조정에 나아가지 않고, 그의 두 아들 사마사(司馬師)와 사마소(司馬昭)도 관직을 사퇴하고 물러나도록 했다. 이들 부자는 집에서 쉬면서 정변을 일으킬 구상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아들 사마사에게 명하여 비밀리에 망명자 3천 명을 낙양성(洛陽城) 근처에 모아 놓고 필요할 때 즉시 소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상은 이승을 형주자사(荊州刺史)로 파견하면서, 사마의의 집에 가서 작별 인사를 하는 것처럼 하고 동정을 살펴보라고 지시했다.
사마의는 이승이 왔다는 말을 듣자 즉시 머리를 풀어 헤치고 이불을 덮은 채 누워 버렸다. 그리고 목이 마르다는 시늉을 하면서 일부러 옷깃에 죽을 흘렸다. 그러고는 이승에게 헛소리를 해 댔다. “자네가 병주(幷州)로 발령이 났다며? 병주는 오랑캐 땅과 가까우니 잘 수비하게. 나는 목숨이 다한 것 같아 아마 다시 보기 어려울 걸세. 조상장군에게 앞으로 내 아들 좀 잘 돌봐 달라고 전해 주게.” “병주가 아니라 형주입니다.” “글쎄, 병주에 가거든······.” “형주라니까요.” “늙으니까 머리가 잘 돌아가지 않아서 자네가 뭐라고 하는지 잘 못 알아듣겠네.” 이승은 돌아가 사마의가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고 조상에게 보고했다. 조상은 사마의를 더 이상 경계하지 않게 되었다.
249년 정월, 조상이 아버지 명제(조예)의 무덤을 참배하였다. 사마의는 이때를 놓치지 않고 정변을 일으켜 조상과 그 일당들을 반역죄로 몰아 모조리 죽이고, 다시 조정의 대권을 장악하여 승상의 자리에 올랐다.
이처럼, 바보 같은 척하는 술수로 상대방을 속이는 것을 ‘가치부전’이라 한다.
제28계. 상옥추제(上屋抽梯) : 지붕으로 유인한 뒤 사다리를 치우다.
- - 고의로 약점을 노출시켜 적을 그대의 진영 안으로 들어오게 하라.
- 적의 응원부대를 차단하여 적을 사지로 몰아 넣어라.
- 판단착오 때문에 적은 해를 당하게 될 것이다.
제29계. 수상개화(樹上開花) : 나무에 꽃을 피우다.
- - 허위로 진영을 배치함으로써 실제보다 세력이 강대하게 보이게 만든다.
- 기러기가 날아오를 때 날갯짓으로 위용을 더하는 것과 같이.
- - 나무에 (엉터리) 꽃을 피게 한다.
- 일부러 세력을 크게 부풀려 적을 물러나게 한다
제30계. 반객위주(反客爲主) : 주객이 전도되다.
- - 기회를 엿보아 발을 들여놓고, 관건을 파악한 다음, 차츰차츰
- 영향력을 확대하게 되면 마침내 주도권을 장악하게 된다.
패전계(敗戰計, 제31계∼제36계) 열세를 우세로 바꾸어
승리로 이끄는 전략
제31계. 미인계(美人計) : 미녀를 바쳐 음욕으로 유혹하다.
- - 세력이 강한 군대는 그 장수를 공격하고
- 지략이 뛰어난 자는 색정을 이용한다.
- 장수가 약해지고 병사가 퇴폐에 흐르게 되면 전투의지가
- 꺾이는 법이다. 이렇게 적의 약점을 이용하여 아군을 보전한다.
- - 월나라왕(구천)이 서시(西施)라는 미인을 오나라왕(부차)에게
- 보내 그가 서시에게 빠져 국사를 돌보지 않는 틈을 타
- 전에 맛보았던 패배를 승리로 이끈 데서 나온 말이다.
제32계. 공성계(空城計) : 빈 성으로 유인해 미궁에 빠뜨리다.
- - 아군의 군대가 열세일 때, 방어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 적을 혼란에 빠뜨린다.
- 적이 강하고 아군이 약한 상황에서, 이 계책은 교묘하고 또 교묘한 것이다.
- - 아군의 전력을 고의로 허약한 척 위장해 적군을 끌여들여
- 포위섬멸하는 경우.
- - 정말로 병력이 허약할 때, 더 허약한 척 위장해서
- 상대가 계락으로 의심하게 만드는 것.
- - 삼국지연의-제갈량의 공성계
- 가정(街亭)을 잃었다는 소식을 들은 제갈량은 즉각 대군을 철수시킬 계획을 마련한 다음, 직접 5,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서성현(西城縣)으로 가서 식량과 말먹이 건초를 운반한다. 이때 갑자기 사마의가 15만 대군을 거느리고 서성으로 쇄도한다는 보고가 들어온다. 그러나 제갈량의 신변에는 거느린 군사 5,000명조차 절반은 건초 운반에 동원된 터라 성안에는 겨우 2,500명만 남아 있을 따름이었다. 그야말로 싸우려하나 싸울 수 없고 물러서려하나 물러설 수도 없는 처지에 빠지고 말았다.
이에 제갈량은 깃발을 감추고 북도 울리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각 성문마다 20명의 군사를 배치하여 백성 차림으로 분장한 채 물을 뿌리며 길거리를 깨끗이 청소하게 한다. 그리고 제갈량 자신은 학창의(鶴氅衣)를 입고 관건을 쓴 다음, 성 위 적루(敵樓)에 올라 난간에 기대고 앉은 채 향을 피워놓고 거문고를 탄다. 옆에는 단지 동자 두 명만을 두었다. 한 아이는 보검을 받쳐 들고, 다른 한 아이는 주미(麈尾: 고라니 꼬리털로 만든 먼지떨이)를 들게 했다. - 성 아래까지 도착한 위군의 사마의는 제갈량이 평생토록 신중하여 위험한 계략을 쓴 적이 없음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매복이 있지나 않을까 의심이 들어 철수명령을 내린다. 제갈량은 그 덕분에 위험한 상태를 벗어난다. 나중에야 이 사실을 안 사마의는 하늘을 우러러 탄식한다. “나는 제갈량을 따라갈 수가 없구나!”
제33계. 반간계(反間計) : 적의 간첩를 이용하다.
- - 적에 대한 기만전술 중 으뜸가는 것이다.
- - 적의 첩자를 역이용함으로써 적은손실로(돈)
- 적을 물리칠 수 있는 법이다.
- - 적들이 서로 반목하게 만드는 계략.
- 진평 → 항우(초왕)·범증(책사) 사이 이간질 작전 능력 꺾음
- 진평은 무력만으로는 항우를 물리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반간계(反間計)를 계책했다.
진평은 황금 4만 근을 마련해 항우의 장수들을 매수하고, 첩자를 파견하여 항우의 장수들이 반란을 계획한다는 소문을 냈다. 다소 즉흥적이고 의심이 많던 항우는 자신의 장수들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항우의 진영에서 유방에게 사자를 파견했을 때 유방은 호화로운 연회를 베풀었다. 그런 다음 사자의 얼굴을 보면서 제법 놀란 듯이 “범증의 사자인가 했더니 항우의 사자였던가?”라고 말하며 산해진미를 모두 물리고 형편없는 요리를 가져오게 했다.
항우의 진영으로 돌아온 사자는 이 일을 빠짐없이 전했고, 항우는 그 후부터 범증을 믿지 않게 되었다. 결국 항우는 자신의 최고 참모이자 최고 전략가였던 범증을 내치는 우를 범했고, 그로 인해 유방에게 전세를 역전당하고 말았다.
제34계. 고육계(苦肉計) : 자신을 희생해 적을 안심시키다.
- - 사람은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는 법이므로,
- 상처를 입었다면 그것은 사실일 것이다.
- 이 점을 이용하여 적으로 하여금 자신의 말을 믿게 만든다.
- 진실을 거짓으로 가장하고 거짓을 진실로 꾸며 행동한다.
- - 황개 - 주유와 짜고 자신의 몸을 채찍질 당하게 하여,
- 조조가 거짓 투항인지 간파하지 못하게 했다.(삼국지연의)
- 적벽대전 중에는 화공을 실행하자는 건의를 한다.
- 그와 동시에 조조에게 거짓 항복을 하고 기회를 틈타 불을 질러 조조군을 크게 깨뜨린다.
제35계. 연환계(連環計) : 여러 가지 계책을 연결시키다.
- - 적의 병력이 강할 때는 무모하게 공격해서는 안된다.
- 적의 내부를 교란시켜 그 세력을 약화시킨다
- - 여러 계략을 사슬 묶듯 연결하여 불리한 상황에서
- 역전을 도모하는 것.
제36계. 주위상(走爲上) : 도망치는 것도 뛰어난 전략이다.
- - 강한 적과 싸울 때는(승산×) 퇴각하여
- (창피, 자존심, 치욕감) → 얼굴 두꺼워야(웃으며 도망가라)
- 다시 공격할 기회를 기다리는 것도 허물이 되지 않는다.
- 도주는 자주 사용되는 군사전략의 하나이다.
- 초패왕 항우 하해성전투(한나라 유방) 패배
오강에서 사면초가 → 적토마×, 부인(우희)×
→ 죽지말고 도망갔어야(31세, 유방에 뒤지는 하나 - 사람보는 눈↓)
- 패왕별희(覇王別姬)-초패왕 항우와 우희 이별을 노래한 애틋한 작품
경극 여성출연 금지규정-장국영(남자배우 여성분장 우희 역)
경영자의 마음가짐이란?
"직원존중,
인재를 적재적소에,
쉼없이 배우고,
자유로운 의사개진이 가능한 환경,
중지를 모아야,
경영의 가치관을 인간중심에 두고,
인재를 육성,
경영은 살아있는 종합예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