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관리
조직관리 = 인적물적자원 + 능률적 운영행위
1. 인적물적자원 (4M + 2M = 6M)
4M Man Material Machine Method
6M Market Money
2. 능률적 운영행위 (3S)
Standardization 표준화
Specialization 전문화
Simlification 단순화
3. 조직관리의 순서
Planning Organization Actuating Controlling
4. 조직의 7대 원칙
① 목적의 원칙 principle of objective
② 조정의 원칙 principle of coordination
③ 분업의 원칙 principle of the division of work
전문화 → 지식 굳어져있거나 굳어짐
지식의 탈바꿈 - 복수전문화(주제중심변화)
모든조직의 지도자 → 복수 전문화 필요
④ 명령통일의 원칙 principle of the unity of command
⑤ 계층화의 원칙 principle of hierarchy
순기능
- 피라미드 정점에서 하부로 명령의 통로역할을 수행한다.
- 하향적 상향적 의사소통 역할을 수행한다.
- 계층적 통로를 통하여 권한 위임 → 업무분담 결정.
- 행정의 목표설정기능을 수행한다.
- 할거주의에 의한 조직 내의 분쟁(수평적)을
수직적(권위적)으로 조정하고 해결하는 기능 수행.
할거주의(Sectionalism) (지역주의 파벌주의 분열주의 )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기관과 부서만을 생각 → 배타적 · 편협한 태도 의미.
조직이 복잡해지면서 일부 집단에게 일정한 권한이 부여되고
이 과정에서 권한을 독점한 집단은 다른 집단으로부터의 간섭을 배제하려는 경향이 생김.
출신 지역이나 학교, 개인적인 친분 등을 기반으로 , 파벌이나 세력권을 형성
역기능
- 계층제의 집권성 → 동기부여에 부정적 기능.
- 귀속감 · 참여감 감소 → 강력통제에 의존하는 악순환 야기
- 성숙한 퍼스낼러티의 욕구와 조화되지 않슴.
- 수직적 질서 강조 → 경직성 초래, 하위층의 창의력 저해.
- 계층의 수가 많아 의사소통의 왜곡현상 발생.
- 안정지향적인 수직적 구조상,
환경에 신축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보수성을 띰.
- 합리적 권한의 상하관계가
비합리적인 인간지배관계로 변질될 수 있슴.
⑥ 일치의 원칙 principle of correspondence
⑦ 통솔범위의 원칙 principle of of the span of control
안정에 체질적으로 고정된 조직(사회) 특징
-----------------------------------
1. 경직성 ↔ 신축성
2. 획일적
3. 원칙
- 극대화(적정화)
- 효율성 → 인간이 필연적으로 희생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