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자원,재배자료

토양비료(질소/인산/가리/석회Ca/고토Ma마그네슘/황S/붕사).웃비료. 옆면시비/유박/과수

자연치유캠프 2018. 10. 4. 19:56

식물과 토양

 

토양 산성화 원인

-----------------------------------------------

1. 우리나리 토양 산성(화강암-규산55%↑, 화강편마암) 평균 pH4.3

2. 물만 줘도 토양→산성화(석회, 고토용탈, 수소이온 증가, 산성비)

3. 미생물 활동으로 분비되는 유기산

4. 암모늄태 질소 → 질산태 질소(질산화)

5. 산성화학비료 사용

6. 식물의 양분흡수

    (양이온-질소, 칼슘,마그네슘,칼륨 흡수시 식물-수소이온 방출)

-----------------------------------------------

 

 

토양산성화의 폐혜

--------------------------------

1. 칼슘, 가리, 마그네슘의 결핍(작물 흡수↓)

2. 미량요소의 과잉, 중금속 가용화(알미늄 흡수)

3. 인산 고정 → 인산 결핍

4. 미생물 활동 억제(양분 흡수불량, 토양경화-떼알구조→낱알구조)

5. 토양병원균 감염증가

----------------------------------------------

 

 

pH에 따른 토양의 분류

---------------------------------------------

적정토양(논밭) 6.0∼6.5                          

    - 경우에 따라 칼슘, 미량요소(킬레이트) 추가공급

    - 옆면시비, 관주

 

산성토양   6.0∼5.5(과수원)

    - 대부분 양분(칼슘, 질소, 인산, 칼리)흡수율↓

    - 칼슘제, 마그네슘 4종복비 옆면시비

 

알칼리토양   6.5∼7.5

    - 철, 망간, 아연 흡수저하

    - 미량요소(킬레이트) 관주, 옆면시비

    - 4종복비 옆면시비

-------------------------------------------

 

 

노지토양 대비 시설하우스 토양의 다른점

------------------------------------------------

1. 염류 집적 농도 ↑(비료 스며듦 → 건조 → 표면으로 되돌아 올라옴)

      - 토양 표면 하예짐(시설재배지 적정농도 2.0ds/m이하)

      - 생육저조

      - 잎(오전-생생, 낮-시들)

      - 뿌리 갈변화(갈변화정도=집적정도), 잔털 줄어듦

2. pH↑(알칼리화) - 비가림

      - 철, 망간, 붕소, 구리, 아연 결핍

      - 인산 + 칼슘의 유효도 떨어짐

      - 비닐맺힘 물방울(아질산 녹아있슴 - 맛?)

         → 잎끝 아질산(잎속 칼슘빼냄) → 잎끝테두리 노랗게 탐

3. 통기성 ↓

4. 연작장해 ↑

------------------------------------------------

 

 

시설하우스비매관리

-----------------------------------------------

1. 물 알맞게 줄것(고랑 물고임 × → 토양 공기함유량 ↓)

    - 이상적인 토양조건

       무기물(흙)45%.

       공기25% - 곱게 로터리치기 ×(떼알구조 파괴→낱알구조화)

       물 25%   - 겉흙 5cm 걷어내고, 속흙 한웅큼 쥐면 송편처럼 뭉쳐짐

       유기물 5% - 점토 0.002mm 지문사이에 끼이는 크기, -전하

                      - 점토역할 대체=퇴비 -전하띄어 +전하 비료 잡슴)

                      - 퇴비(점토보다 20배 이상 비료 붙잡는 힘 있슴)

    - 토양과습 = 환원상태(↔ 토양건습 = 산화상태)

       토양속 질소 → 공기중 흩어짐

       토양속 인산 → 불용성화(작물이용성 ↓)

       작물뿌리 → 칼륨(칼리) 빠져나옴 

2. 복합비료사용 ×(단비사용 ○)

     - 필요한 비료만 사용

     - 밑거름으로 NPK 불필요→액비 질산칼리, 인산칼리=NPK

3. 칼리비료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 사용(pH ↓ 역할)

4. 미숙퇴비 사용 ×(가스방출 → 완숙퇴비사용) 

5. 가급적 맹물주지말것(양분용탈, 흙 떼알구조 파괴) - 액비로 줄것

6. 토양 pH 6.5∼7.0 유지

7. 수용성 인산 공급(액비)

    - 과인산석회 1kg / 물 1톤 용해→1일 숙성→뜬물 사용

    - 질산칼리 1.2kg + 인산칼리 1.8kg / 물 1톤 용해 사용

8. 휴경시 녹비작물(호밀, 옥수수) 재배(토양개량)

    - 생물 - 로터리 → 가스방출 ↑

    - 건조후 로터리 → 가스방출 ↓

----------------------------------------------

 

 

알칼리 토양 교정

---------------------------------------------

pH 7.0 미만 → 산성비료 사용(유안, 질산암모늄, 황산가리)

pH 7.0 이상 → 유황사용(유황75g/1평, 깊은 로터리)

                      - 최소 정식, 파종 3개월전에 사용

                         (pH 3개월에 1씩 서서히 낮춤)

                      - 토양 경화문제→유기물 충분히 투입

                      - 인삼, 블루베리 경작예정지(산성토양 생육 ↑)

---------------------------------------------

                

 

 

토양, 식물과 비료

 

 

비료 사용 원칙

-----------------------------------------------

1. 최소양분율의 법칙(최소인자 결정의 법칙)-리비히

     - 한가지 성분이 부족하면, 식물은 부족성분에 의해 영향받음

     - 품종, 수분, 햇빛, 토양, 양분, 온도

     - 필요인자 10가지중 1가지 부족 → 90% 성장×, 50%↓성장○

2. 수확량 점감(漸減)의 법칙

     - 비료주는 량 점차 늘리면 어느 한도까지는 수확량 증가하나

        그 이상은 효과 없슴(적정사용○, 과사용×)

     - 과사용 → 비용(비료값, 농약값)↑, 질소↑-진딧물, 흰가루병↑ 

3. 우세의 원리

     작물별로 생육필요 성분명과 요구량이 다름

4. 분할사용 원칙

     - 한꺼번에 다량비료주면 웃자람, 연약, 병충해↑

     - 적절히 배분하여 사용(조금씩, 자주, 먹을수 있을때, 먹을량만)

------------------------------------------------

    

 

 

식물체내에서의 양분(비료)의 이동

-------------------------------------------------

쉬운이동        일반비료(질소, 인, 칼륨, 황, 염소)-웃거름 가능

                    *마그네슘(체내흡수이후에나 약 30분이내)

 

 

좀어려운이동  미량원소(구리,철,아연,망간,몰리브덴)-밑거름

 

어려운이동     미량원소(칼슘,붕소,*마그네슘-흡수에 어려움)-밑거름

--------------------------------------------------

 

 

 

 

 

 

 

과일 당도 영향물질과 당도↑ 방안

-------------------------------------------

1. 햇빛↑

2. 물 · 질소 줄이기

     - 당도↑되나 수량 감소

     - 질소↑ - 당으로 몸 키우고, 시고 떫은 유기산 생성↑

3. 전기전도도 높이기  3∼4 ds/m

4. 유기물 투입 ↑

5. 인산의 유효화 필요(광합성에 직접 영향)

     - pH 6∼7 개량

     - 유기질 비료 + 인산비료 혼합시비

     - KH2PO4  1.8kg + KNO3  1.2kg 용해 시비 / 물 1Ton

-------------------------------------------

 

 

영양장애와 병해충 증상 구별 방법

--------------------------------------------

1. 시듦음 ×(시듦 - 물 ↓, 뿌리 손상, 병충해)

2. 전염 ×

3. 증상부분이 습윤상태 보이는 일이 적다

4. 냄새 ×

5. 한쪽에만 이상증상 나타나는 일은 적다(전체에 나타남)

6. 도관이 갈변하는 일이 적다(절단 확인, 영양장애 - 초록색)

-------------------------------------------

 

 

석회비료 사용시 유의사항

-----------------------------------------------

1. 퇴비와 질소비료 혼용금지

    - 퇴비는 질소비료 살포 최소 2주전 시비

        → 가스발생(암모늄태질소 → 암모니아 NH3 가스발생)

        → 퇴비 비료 비분 손실

2. 토양 pH 개량 목적 → 3∼4년 마다 작물심기 2∼3개월 전에 시비

3. 칼슘공급 목적 → 최소 정식 2주 전에 시비

-----------------------------------------------

   

 

 

 

1. 질소(N)

- 질산태(요소) 질소 46%

     · 밭(산화층) 사용

     · 염류집적(양분 흡수방해) → 빗물씻김(용탈)

     · 비닐하우스 - 염류용탈 목적 → 장마정도 뿌리기 

- 암모니아태(유안) 질소 21%(황 포함)→ 물=논(환원층) 사용

     · 땅 산성화 → 수확후 석회로 중화시켜야

- 체내(토양내)이동 소멸속도 빠름(N 〉K 〉P)

     · 빨리흡수-과잉(짙은녹색).   

     · 빨리소멸/소멸 1달정도-부족 잘나타남

         → 직물 생육기간 따라 웃비료 필요성, 횟수↑

     · 속도조절 → 표면코팅(완효성)

- 과잉 꽃눈 안옴(열매×) 마디 길어짐, 잎 커짐(무성)

   시설재배에서 잘 나타남(빛투과율↓-질소+빛→amino acid)

- 부족 아랫잎 노랗고 꼭대기 잎 파람(위로 올림)

 

2. 인산(P. 용성인비/과인산석회/용성인비+과인산석회=용과린)

- 뼈, 계분(인산 ↑)

- 어린나무 뿌리발육비료   

   다큰나무 꽃눈, 열매(맛 ↑, 저장성 ↑)비료

- 작물 흡수, 용탈 속도 느림(토양 약 2∼3년간 잔존) → 밑비료로 줘야

    · 토양 축적 잔존 - 마그네슘 흡수방해

    · 웃거름 복합비료사용 안됨 → NK비료 출시이유

- 용성인비  구연산에 녹아, 과수용

- 과인산석회(용성인비보다 흡수, 용탈속도 약간빠름)

- 용과린(용성인비 + 과인산석회, 수용성) 채소류

- 뿌리 가까이 시비(나무 1m이내, 조금 파고 시비후 흙 덮슴)

- 과잉 안나타남(흡수속도 느려)

- 부족  꽃눈 안옴 → 엽면시비

- 염화가리 1:1 시비(가리가 인산을 위로 올려줘)

 

 

3. 가리(K)

- 열매비료(역할1)

       · 잎, 줄기 튼튼-열매(영양소저장) 커짐 = 영양소 운반작용 

       · 맛 ↑(고추, 마늘), 과일 당도 ↑

- 수분조절(역할2)

       · 물을 꼭대기까지 올리기, 펼쳐 가지마다 보내줌 

       · 가뭄 → 수분증발 억제 - 봄가뭄 직전 시비

       · 장마 → 수분 적게 흡수 - 장마직전 시비

- 종류

      · 염화가리

      · 황산가리 사과 6∼7월 시비(장마 수분 조절)

- 과잉 안나타남(먹을만큼만 먹음)

- 부족  잎끝 탐(물 올리기 부족)

- 이동용탈속도 질소 다음으로 높아 생육기간 긴 작물 웃비료로 줘야

 

 

 

4. 석회(Ca)

- 산성토양 개량(중화)

- 부족 → 세포막형성 부족(껍질흡집병-궤양 초래)

          → 잎끝마름 질산칼슘 엽면시비(흡수느려서)

- 수용성 질산칼슘(성장기) / 인산칼슘(성숙기) 

 

 

5. 마그네슘(Ma, 고토)

- 엽록소 만듦(광합성에 필요) 부족- 잎 누래짐 → 엽면시비

- 토양 P(인산) 많으면 → 마그네슘 흡수 방해

 

 

 

6. 황(S)

 - 단백질 / 비타민 만듦, 생리조절작용

 - 황산가리, 황산암모늄(유안)에 섞여 있슴

 - 맛 ↑ - 양념작물 필수

- 토양 산성화 → 수확후 석회 시비(중화)

 

 

7. 붕사( = 붕소)

- 영양분 꼭대기까지 보내는 작용 / 꽃가루비료(수정능력 ↑)

- 나무 수지흐름(나옴) 멈춤

- 붕사(자연존재상태) = 붕소 → 토양 시비

- 붕산 (붕사 - 황으로 정제) → 옆면시비용

- 부족(체리) 꽃눈 말라버림, 축화병  년3회시비

- 부족(사과) 신초마름, 축화병(쪼그라든 열매) 년1회 시비

                   꽃피는데 열매 안열림(붕사 시비 3월중)

- 300평 / 1kg 시비

 

 

 

웃비료주기

 - 질소 / 가리 (인산제외-흡수, 용탈속도 느림 - 땅속에 있슴)

- 재배기간 긴 작물( 1개월 이상-고추, 마늘, 양파, 감자, 가지, 토마토)

- 시기

     · 밑비료(NPK,고토,석회, 퇴비, B붕사)

       부족분 생기면(특히 질소 가리-비료효력 기간 짧음-1개월)

     · 해뜨기 전후

     · 밑비료 준지 20일이후 부터(밑비료 작물흡수시간 감안) 

       1차 - 질소,

       2차 질소 + 가리 + 작물따라 Ca, Mg, 붕사(일반적)

       3차

- 방법과 량

     · 노지재배 - 뿌리기 

     · 작물과 작물사이 파고 묻어주기(작은한줌, 소주잔1컵)

     · 점적호스(관주)  500배 희석

     · 옆면시비(효과 가장 빠름) 500배 희석(일반적)

       (20ℓ-10㎖, 약수저 4∼5 숫갈)

     · 여러 성분 혼합-장애예방 → 혼합배율 낮춰야함(500배 일반적)

     · 웃비료량

        가장 많이 줌(NPK) > 다량원소(Mg,Ca,S) >미량원소(B,Fe,Cu)

- 웃비료 횟수

     · 생육기간 길수록 늘어나야 함

     · N,K - 가장 자주 가장 많이 줌

     · 특히 N 용탈속도 가장 빨라 1차N, 2차부터 N+K(일반적)

     · 작물따라

         Ca(산성중화+열매뿌리튼튼+대사호흡차단-녹말소모 막아줌)

              -옆면시비(마늘-질산칼슘-이른봄 잎끝마름-Ca 부족)

         고토(Mg 엽록소만듦-광합성 작용 왕성-열매잘큼)

              - 고추, 마늘, 감자 성장기 부족하기 쉬워 옆면시비

         붕산(B 광합성 → 녹말생산 -이동촉진→열매 잘자람)

              - 따뜻한 물에 용해, 옆면시비

              - 붕사(토양시비), 붕산(옆면시비)

         황(S) 황산가리와 황산암모늄(유안)에 섞여있슴

         미량요소(철, 구리,망간, 몰리브덴) - 다른 비료에 포함

         인산(P) - 필요시 옆면시비

              - 수용성인산, 수용성인산칼슘, 수용성인산가리

     

    

 

 

 

 

 

광합성작용 · 호흡작용과 비대비료 

 

1. 광합성작용(낮-엽녹소)

    · 빛 + CO2 + H2O → 포도당 + O2

       - 결실기 H2O 다량 필요

       - 짧은기간 비대 식물(감자,마늘,양파) 특히 더 필요

       - 엽록소구성 성분중

               C·H·O·N →큰 결핍없슴,

               Mg(마그네슘) 공급 → 수용성 고토 옆면시비

 

2. 호흡작용(밤)

     · 온도 ↓ → 호흡작용 느려짐(호흡의한 영양분 손실 적어짐)

        = 일교차 ↑= 열매 커짐 = 맛 ↑

     · 영양분 손실줄임 → Ca 옆면시비(비대기 Ca 부족)

        그외 껍질 단단, 광택 역할 → 인산칼슘

3. 광합성성분(포도당) → 줄기체관 → 저장소 이동

     · 가리, 붕산

     · 비료의 길항작용(혼합사용시)

          - 칼슘 ↔ 붕산

          - 칼슘 ↔ 고토(마그네슘)

          - 붕사 ↔ 가리

 

옆면시비(비료+물 용해 → 잎 뿌림) 손바닥농장

1. 목적

     - 작물 허약 → 응급으로 필요영양소 공급

     - 생육 과정중 특정 영양소의 공급필요성

     - 웃비료(토양내) 주기 곤란할 때 (멀칭 등)

     - 상품성 ↑ (크기↑, 당도↑)

 

2. 원리

     - 영양분 흡수(농도차이 고농도 → 저농도)

     - 뒷면 기공 흡수, 새잎 많이 흡수

     - 100기준   새잎 97,        오래된잎 67(Wax층 두꺼워 흡수↓)

                      과일열매 71,  줄기 33

 

3. 사용되는 비료

     - 수용액 조성 가능비료 (황 함유량 넢으면 유의)

4. 옆면시비 흡수속도(비료의 종류별 흡수속도와 비슷) 

     - 질소 4시간,   인산 6∼15일,    가리 1∼4일

        Ca      4일     Mg        1일      망간,아연 1∼2일

 

5. 옆면 시비량(제한적/임시처방)

     - 다량요소(질소,인산,가리,Ca,Mg) - 모두 공급받기 어려움

                                                      (부족분만 공급)

     - 미량요소 - 옆면시비효과 ↑(적게 흡수해도 효과↑)

 

6. 옆면 시비농도(농도차 흡수) / 농도조절 빨리보기표

     - 비료종류, 혼용성, 기온과 일사량, 작물의 조건---차이많슴

     - 진한농도 - 흡수량 ↑(더 잘 흡수됨) ↔ 안전성 확보에 문제 가능성 ↑

     - 연한농도 - 안전성 확보 가능성↑,  시비효과 ↓

     - 500∼1,000배(일반적)

     - 기온 20℃ 에서 300배 → 30℃ 에서는 00배(2배 ↓) 묽게 시비

     

     농도조절 빨리보기표(20L 분무기 기준)

      -----------------------------------------------

      농도(배)       ×100     ×200    ×300    ×500    ×700   ×1,000

      -----------------------------------------------

      CC                 200       100       66.7       40       28.5        20

      10CC약수저      20         10         7           4         3            2

       (스픈)

      -----------------------------------------------

       20L(20,000CC)*500배 = 액체 40CC(고체 10CC 약수저로 4스픈)

 

7. 다른비료, 농약과의 혼용

      - 따로 치는것 - 가장 안전

      - 혼합치기 잇점 - 혼합가능여부 검사

           → 투명PET병에 혼합- 혼탁, 거품, 침전 생김 = 혼합금지

 

8. 옆면시비 방법 

      - 효과 ↑ = 잎에 장시간 머뭄 + 진한농도

      - 이른아침(이슬 없을때)와 일몰후(공기내 습기 ↑)

      - 날씨 온도 20℃ 전후

      - 한낮 시비 = 효과 ↓, 일소 피해가능성 ↑

      - 전착제 섞어치기

      - 일시적 시비(2∼4회 일반적)

      - 7∼10일 간격(일반적)

      - 시비횟수 2→3→4 증가때마다 농도 조금씩 높여줌(효과적)

      - 분무입자 작을수록(굵으면 굴러떨어져) 좋음,

      - 골고루 줄수록(잎 앞,뒤, 열매. 흠뻑) 효과 ↑ 

 

 


유박발효 ×(가스피해 가능성 ↑) - 밑비료로 사용아주까리(피마자) 유박 수입사용(사료 사용× - 독성) 독성 ricin(알려진 식물독성중 가장 강함) → 닭, 개, 고양이 주의성분비(종류따라 다르나) N(4) P(2) K(1) 비율비료 효과 - 퇴비(6개월∼1년) 〉유박(2개월) 〉비료(NK) 1개월밑비료로 주로사용(경우에 따라 웃비료로 사용)다른 밑비료와 혼합사용(성분결핍 보완, 퇴비+석회 혼합)습기유의 보관(썩을수도-썩은냄새)

 

 

 

과수 시비방법

 

- 과용 = 잎(가지) 무성, 과실비대 ↓, 당도 ↓, 병충해 ↑

- 시비량 계산 종류차이(화학비료/퇴비/유박) 성분합산 계산

- 대표적인 과수시비량(사과/자두) 대비 결정

 

   · 사과나무 수령별 년간 표준시비량(농진청)

     -----------------------------------------

                      질소(1)            인산(1/2)        가리(2/3)

     수령          --------------------------------

      (년)           비옥-척박        비옥-척박        비옥-척박

     -----------------------------------------

      1-4           2                     1                    1

      5-9           2-4                  1-2                2-3

      10-14       5-8                  2-5                 3-5

      15-19       10-15               5-8                 8-12

      20↑          15-20               8-12               12-20

     -----------------------------------------

 

· 자두나무 수령별 년간 표준시비량(농진청)

 

-----------------------------------------

                      질소                인산                가리

     수령          --------------------------------

      (년)           비옥-척박        비옥-척박        비옥-척박

     -----------------------------------------

      1-4           2-6                   1-3               1-4

      5-8           3-12                 4-6                6-9

      8 ↑           12-18                6-9                9-15

     -----------------------------------------

 

과수 시비방법

   - 밑거름(낙엽후 겨울 접어들때)

        · 얼기전 서서히 흡수 → 이듬해봄 효과

        · 질소               년간시비량의 60-70%

        · 인산               년간시비량의 100%

        · 가리(황산가리) 년간시비량의 60%

        · 칼슘

        · 마그네슘

        · 붕산 2-3 / 2∼3년 마다

        · 토양개량제 퇴비 2톤

        · 석회 200 / 2∼3년마다

        · 유박

   - 웃거름(5-6월)

        · 질소  필요에따라 년간시비량의 10-20%

        · 인산   없슴

        · 가리  년간시비량의 40%

   - 가을비료(10월, 잎 푸를때)

        · 너무 일찍 시비 = 새순 발생

        · 잎 지고나면 흡수 × (효과 ↓)

        · 옆면시비하기도(사과)

        · 월동, 새싹틔움, 개화의 양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