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세포생리

자연치유캠프 2021. 1. 5. 19:57

세포의 구조와 역할

      - 세포막(단백질 + 인지질 = 이중층) 둘러싸여 내 · 외부 경계, 세포활동 필요물질 교환

      - 유전물질 내장(DNA → RNA → 유전암호 해독)

      - 단백질 합성

      - 에너지 전환장치

         ATP adenosine tripohosphate, 아데노신3인산 → 생산 · 저장 · 전달 · 사용

 

 

 

1. 세포막(일반적으로 지질35% + 단백질60% + 탄수화물5%)의 구성

 

      1) 막지질

             - 인지질(막의 주요 지질, 양친매성, 이중 중층 형성)     

                      친수성(머리)부분 / 소수성(2개 지방산 꼬리) = 양친매성 분자

                      반액체상태,  끼인 단백질 → 운동성.

                      돌출단백질 - 당지질 부착 → 동종세포구별, 결합

                      물, 이온 이동 - 장벽역할.  호흡가스(O2, CO2) - 자유통과.  지용성 ↑물질 → 통과성 ↑

             - 콜레스테롤 

                      인지질머리밑에 존재, 막 유동성 조절(물질 - 세포막 통과 · 이동 속도 조절)

                      양 ↑→유동성 감소(탄화수소사슬과 상호작용하기때문)

             - 당지질

                      막 표면 다당류 사슬.  호르몬 특이작용(열쇠-자물쇠) → 결합부위 형성

 

      2) 막단백질(막표면단백질 / 막관통단백질 = 막수송단백질 → 물질 운반체carrier, 통로channel형성)

             - 세포 위치 고정anchor

             - 다른세포들의 정상 · 비정상 → 식별자identifier 역할(면역계 세포들)

             - 세포외 · 내액 반응촉매 효소enzyme역할

             - 특정호르몬, 용질에 대한 민감성↑↓ (수용체receptor 역할)

             - 특정용질과 결합 → 세포막 통과 운반체carrier 역할-용질분리되면 되돌아감, ATP 필요or불필요

             - 무기이온(친수성)통로ion channel - 수송속도 → 운반체 이동보다 1,000배↑

 

      3) 막탄수화물

             - 막관통단백질 · 인지질층에 부착 → 당단백질, 당지질 형성

             - 세포들의 인지기능 담당

             - 가지사슬구조 무한변경 → (막수용체)기질특이성 다양하게 대처

 

 

      4) 세포막의 기능

             - 물리적 장벽physical barrier(세포외액 / 세포내부)

             - 물질 운반작용 조절

                    확산diffusion,                    여과filtration,            삼투osmosis,

                    능동운반active transport, 포음작용pinocytosis

             - 인접세포들 인지recognition,  세포를 기질에 세포를 고착

             - 인접세포와 연결

                · 데스모솜desmosome - 세포막표면에 조밀한 단백질에서 튀어나온

                                                         단백질(카데린) 간(간격 20um)의 연결

                · 밀착tight junction       - 세포막 사이에 간격이 없이 부착(상피세포)

                · 간극연접gap junction - 막단백질간의 연결, 연결통로(1.5um) 생김

                                                         이온이동(단백질 이동 어려움)

             - 효소작용(여러 효소 보유) ATPase(Na+ - K+ 펌프활성화 → Na+ 능동운반)

                            → 삼투질 농도조절, 세포용적유지, 당 · aa · 물 운반 원동력,

                                 전기신호 발생 근원

             - 수용체recepter  신경전달물질(신경섬유 말단 분비) 결합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노르에피네프린noreepinephrine,

                                 세로토닌 serotonin,            GABAgamma amino butyric acid 

              

   

 

         

2. 세포질(핵 제외 부분)

 

      1) 사립체(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 호흡생리 담당

             - 에너지 생산(이화작용 · 동화작용 - TCA Cycle (산소소모→이산화탄소·물·열 배출)+전자전달계)

                      → ATP 생산-세포에 필요한 에너지 ←발전소

             - 사립체 DNA 보유 → 모계로만 유전(정자 사립체 → 꼬리-수정중 떨어짐)

 

      2) 세포질그물(내형질세망endoplasmic reticulum, ER)

             - 세포내부 / 외부 교통로(생체 분자의 합성, 저장 · 수송)

             - 과립(거친)세포질그물(리보솜 부착) → 물질수송, 단백질합성(효소 · 핵산), 펩티드호르몬 합성

             - 무과립(매끈)세포질그물(리보솜 미부착) → 지방산 · 스테로이드 · 지질 합성

                   · 간세포 → 해독작용, 글리코겐 합성 · 분해 · 저장.   

                   · 위 벽세포 → 염산분비

                   · 고환 · 난소 · 부신겉질세포 → 스테로이드H. 합성.  

                   · 뼈대근육 · 심장근육세포 → 세포내부 Ca++ 농도조절

 

      3) 골지체Golgi's apparatus 세포질 그물에 연결되어 샘 분비 기능, 1개. 핵근처에 위치)

             - 세포질그물 생산물질(단백질) - 가공 · 저장 · 농축 · 분비 → 세포 내외 분비

             - 탄수화물 + 단백질 결합(가공) → 당단백질glycoprotein 생산

             - 항체antibody 생산.   용해소체lysosome 형성.   결합조직(뼈, 연골) 세포생산촉진

 

      4) 용해소체lysosome

             - 과립세포질그물(생산)

                      → 골지체(일차용해소체-비활성) → 용해대상물과 결합(이차용해소체-활성)

             - (백혈구 · 큰포식세포 다량존재)포식작용phagocytosis 

                      → 세포성분, 영양성분, 세균, 세포파편

             - 자가융해autolysis → 세포손상 · 쇠퇴세포소기관과 결합

 

      5) 리보좀ribosome(rRNA + 단백질로 구성)

             - (DNA정보에 따라)여러개 리보솜 → mRNA에 붙어 단백질 합성

      6) 과산화소체peroxisome

             - 카탈라아제 효소 보유

                       → 대사과정 생성 독성 과산화수소H2O2 → 물+산소 분해

             - 간 · 콩팥세포에 많음

      7) 미세관microtubule

             - 세포분열시 염색체에 연결 → 염색체를 세포양극으로 이동 역할

             - 콜히친colchicine 처리(투여)

                   → 미세관형성× ←세포분열 중기metaphase에서 정지(씨없는 수박)

                   → 콜키쿰속 식물에서 추출 (통풍치료약물 성분 - 알칼로이드)

 

      8) 중심체(중심소체 + 주변물질)centrosome

             - 유사분열 초기 → 분열한 염색체를 양극으로 끌어당기는 역할(분극유도)

             - 신경섬유(중심소체 없는 세포) → 분열 않슴

      9) 편모flagella와 섬모cilia(세포 뼈대계통)

             - 편모 정자 운동기관

             - 섬모 

                   점막 · 호흡기관 조직 표면 → 이물질 · 노폐물 제거작용.

                   여성생식기 표면 → 난자 이동 담당

 

 

 

3. 핵nucleus(모든세포 존재.  적혈구 · 혈소판 제외)

         DNA(유전물질) 보유

         세포분열 → DNA복제replication, 유전정보 전사transcription, RNA 합성(유전암호 해독translation)

      1) 핵막(고분자물질 핵 ↔ 세포질사이 교통 - 핵구멍)

      2) 핵소체(RNA 합성부위 - rRNA 들어있슴)

      3) 염색질(세포분열시 염색체로 응집,  DNA이중나선 + 히스톤histone 단백질)

             - 23쌍(46개) 염색체(500만개 유전자 - 염기서열 A4용지 인쇄 550,000쪽에 해당 )

             - 염색체 이상(돌연변이) 대표적인 유전병

                     · 다운증후군Down's syndrome - 21번 염색체 3개(47개 염색체) ← 95%

                                  신체 전반 기형

                                        둥글고 납작한 얼굴, 눈꼬리 올라감, 입 · 귀 · 코작고 낮음, 혀 큰편

                                        둥글고 뭉툭한 손 · 발(짧고 과도유연), 안쪽으로 휜 새끼손가락,

                                        홍체 흰반점 , 1자손금(50%), 신체기능이상(성장장애)

                                  지적장애, 수명 ↓

                                  산모연령 ↑ - 밀접관련

 

                     · 터너증후군Turner's syndrome

                                 여아, X 염색체수 1개(45개 염색체) or 비정상XX 

                                 목짧고 두꺼우며(80%),

                                 성적발달지연(사춘기 난소발달지연 - 여성H. 분비 ↓)

                                 양수검사 - 검출가능                                                          

                     · 클라인펠터증후군Kleinefelter's syndrome - 성염색체 XXY(47개 염색체)

                                 남아, 고환작고, 정자발달(생식기형)×(불임)

 

 

 

 

 

4. 핵산nucleic acid

      1) DNA deoxyribonucleic acid = 유전자gene

             - 1개 염기 + 5탄당(데옥시리보오스deoxyribose→중합→데옥시리보핵산DNA) + 인산

             - (상대편 사슬과 질서정연한 염기서열) 상보성

             - (극성 반대)두사슬 꼬여(수소결합) 이중나선double helix 구조

             - (유전언어 구성)염기(4개)

                        → 아데닌A, adenine 구아닌G, guanine 시토신C, cytosine *티민T, thymine 

                        → 염기 4개중에서 3개 조합(코돈 64개)에 의해 aa 서열 결정

                               (TAC-Met, AAA-Phe CCA-Gly ···)

             - 체세포 분열(이중나선구조) → DNA중합효소(수소결합분리) → 복제

             - 반보전 복제semiconservative replication

               (기존가닥 · 새로합성 가닥 + 기존가닥 · 새로합성 가닥)         

      

      2) RNA ribonucleic acid

             - 3개 형태

                      ·  messenger ·RNA(mRNA) - 단백질 합성순서 정보 전달

                      · transfer RNA(tRNA)          - 아미노산 → 리보좀(단백질합성 장소)까지 운반

                      · ribosomal RNA(rRNA)      - 펩티드 합성(펩티드 연결 효소제공), 리보좀 구조 일부 형성

             - 1개 염기 + 5탄당(리보오스ribose → 중합 → 리보핵산RNA) + 인산

             - 염기(4) → 아데닌A, adenine 구아닌G, guanine  시토신C, cytosine *우라실uracil

             - 단일 사슬single chain 구조

 

 

 

5. 단백질의 합성

      1) 전사transcription (DNA(암호정보) → (RNA중합효소) RNA로 복사되는 과정, 두가닥중 한가닥만 전사

             -  RNA중합효소 DNA서열 인식 + 결합 → DNA풀기(수소결합 분리) → 전사

                    → DNA + RNA(5' → 3' 방향) 이중중합체 형성

                         → 원래DNA 나선 다시형성 → RNA와 교체(새로운 RNA)

             - 화학적 양상, 염기쌍 형성법칙  DNA중합효소와 비슷하게 작용

      2) mRNA(암호화 메시지 → 리보솜으로 운반)와 유전암호

             - 암호 코돈codon(4 × 4 × 4 = 64개, RNA코돈표(시작1 + 정지3 + 아미노산 지정61)  

                4개 염기중 3개염기 조합 → 아미노산 20종 중 지정(GAG = Glu, glutamic acid)

             - 시작암호(1) → AUG(해독시작 - methionone),  

             - 정지암호(3) → UAA UAG UGA

             - 61개 코돈 20개 아미노산 지정

             - 어떤 아미노산은  하나이상 코돈으로 암호화

                (GGU GGC GGA GGG- 모두 glycine = 동의코돈)

      3) tRNA와 아미노산 결합

             - 뉴클레오티드(DNA) 언어 → 아미노산 언어로 해독

             - 아미노산과 공유결합(20여종 효소 · tRNA 존재 → 3' 말단 CCA에 부착)

             - anticodon → 유전암호내 특정코돈 인식

             - tRNA 한쪽 끝 → (mDNA) 코돈 인식,

                          다른끝 → 코돈(DNA)과 매칭되는 아미노산 인식  운반

 

      4) 유전암호 해독-리보좀에서 아미노산 + 아미노산의 조립(시작, 연장, 종료)

             - 시작

                    mRNA - 정보 전달

                         (시작코돈AUG-메티오닌-1차코돈GUU-2차코돈UGU-) + 리보솜(1,2) 결합

                    rRNA    - 펩티드 합성(1차코돈GUU + tRNA-CAA aa 장착, 결합 = 쌍 · · ·) 

             - 연장(aa 순서에 따른 연결과정)

                    2차코돈UGU + tRNA - ACA aa장착, 결합 = 쌍 · · ·

                    장착 aa + 장착 aa 연결

             - 종료

                   · · · 정지코돈(UAG or UAA or UGA) - aa 연결중지

                   완성 폴리펩티드 유리, 리보솜(1, 2) 분리

 

 

 

 

 

 

6. 세포주기cell cycle(세포분열시작 → 분열끝 → 반복)

            - 빠르면 8시간(표피 종자층, 창자 상피세포)  느리면 100일↑(콩팥세포)

            - 적혈구 · 신경세포 → 성숙(분열멈춤)

      1) 사이기interphase(DNA복제 수행기간)

            - 3단계(G1기 → S기 → G2기) 세포주기의 약 90% 차지

            - G1기first gap phase          새로운 세포 성장에 필요한 효소, 구조단백질 합성,

                                                           소요시간-세포종류마다 차이

              S기 synthesis phase(DNA합성기) 세포분열준비. DNA합성(핵)-염색체 복제

              G2기second gap phase  세포분열 마지막 준비-방추섬유 구성단백질 조립(핵분열 준비)

 

      2) 유사분열mitosis(새로운 세포 만들어지는 기간) (체세포분열 - 세포핵이 2개로 나뒤는 분열방법)

             - 4단계(전기 → 중기 → 후기 → 종말기).  핵물질이동 + 재배열. 

                분열 - 약2시간 소요.  분열소요시간 초과 생성세포 → 암cancer 세포

             - 전기  염색체 → 염색분체(2개로 나뉨) - 핵막 사라짐 시작

                   ↘ 중기  염색체 → 적도equator에 나열되고, 핵막 사라짐 

                     ↘ 후기  염색체 → 분리되어 반대편 극으로 끌려감

                         ↘ 종말기 새로운핵막 형성(분할구), 핵소체 다시 출현

 

      3) 감수분열meiosis

           (번식 - 두번의 핵분열에 의해 4개의 반수체 생식체 또는 성세포가 생성되는 과정)

             - 염색체(2배체diploid, 2n)가 세대 거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 ← 감수분열-반수체(n).

                    (유성생식)자식 두벌의 유전정보(정자23개+난자23개 = 46개 =23쌍) 받음

                    정자 → 상염색체 22쌍(44개) + 성염색체 1쌍(XY) = 23쌍(46개)

                    난자 → 상염색체 22쌍(44개) + 성염색체 1쌍(XX) = 23쌍(46개)

                    수정 → 정자 염색체 23쌍(46개) + 난자 염색체 23쌍(46개) = 92개(염색분체)

            - 염색분체(46+46=92)

                   → 제1감수분열(92÷2=46)

                          →제2감수분열(46÷2=23) → 23개 염색체(반수체haploid)

           

 

            - 성 결정 → 성염색체   X + X = 여    X + Y = 남

            - 유전병

                   · 색맹(색각이상)

                              전全색맹 · 부분색맹(적 · 녹 · 청중 1 ∽ 2가지 색(적 · 녹) 식별×).

                              색맹부모 → 자색맹,    색맹부 · 정상모 → 자 색맹형질

                   · 혈우병(혈액응고 지연) → 남 - 환자,  여 - 무증상보인자

                   · 근위축증(근이영양증) → 성염색체(X)의 열성유전자 유전

 

       4) 성의 결정

             - X-Y 체계(포유류)

             - X-O 체계(곤충류)  암 - XX,   수 - XO (정자 X염색체 보유여부)

             - Z-W 체계(조류 · 일부 어류와 곤충류) 난자 성염색체 암 - ZW,   수 - ZZ

             - 반수체(이배체)체계

                       (벌 · 개미. 난세포 성염색체가 자손의 성 결정) 

                       암 - 수정수컷(이배체),  수 - 무수정수컷(반수체)

             - 환경영향    

                       거북 · 도마뱀 배양온도↑ - 암컷,   

                       악어 배양온도↑ - 수컷

                       성전환(흰동가리, 무지개송어)  젊을때-수컷,  나이들면-암컷

                       청소놀래기, 일부 열대어  수컷사라지면 우두머리 암컷 → 수컷(성전환)

 

       5) 세포예정사 programmed cell death, PCD

              세포 외부 · 내부 신호자극에 반응하여 스스로를 파괴하는 기전

            - 괴사necrosis

                    세포막 터짐(주변세포 오염피해)

            - 자멸사apotosis

                    유전자제어에 의한 능동적인 세포의 죽음

                    DNA 단편화fragmentation, 원형질막 수포blebbing발생, 부피감소, 핵응축

                    내부물질의 외부 유출없이 대식세포 포식작용으로 제거

            - 자가포식autophagy

     

         

 

 

7. 세포주기의 조절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1) 물질의 수동적 운반Passive or spontaneous transport

               에너지공급 없이 농도경사concentration gradient(단순분자들의 운동)에 의해 발생

 

             - 확산diffusion 분자농도 높은곳 → 낮은곳 (농도경사) 이동(평형될 때 까지)

                   · 허파꽈리 가스교환(공기 - 산소분압 / 탄산가스분압 차이)

                          ↘ 산소 → 모세혈관 속으로, 탄산가스 → 허파꽈리 속으로 이동

                   · 확산속도 영향인자 → 거리, 농도 경사, 분자 크기, 온도, 전기력(양극, 음극)

                   · Overton 법칙

                          ① 비극성 용질의 세포막의 투과성은 용질의 지질용해성에 정비례

                          ② 세포막 투과성은 용질의 분자크기에 반비례

                             ∴ 크기 작고, 지질용해성 ↑ = 단순확산 ↑

                   · 픽스의 확산법칙Fick's law of diffusion

                            확산속도 = 막 표면적, 물질농도 기울기, 막 투과성에 비례

                             ∴ 막표면적 넓을수록, 농도기울기 ↑, 분자 크기 ↓,

                                막 두께 얇을수록 → 확산속도 ↑

                   · 인지질 이중층을 통한 확산

                            높은 투과성 ↑(지질용해성 ↑, 비극성)

                                      → 산소 , 질소, CO2, 물, 요소, 벤젠, 일부 aa, 글리세롤

                            중간 투과성(크고, 극성, 비전하성) 

                                      → 포도당, 설탕, 일부aa

                            낮은 투과성

                                      → 이온성aa H+, Na+, K+, Ca2+, Mg2+, Cl-, HCO3-, SO4- 

                            세포막밖=양극, 세포막안=음극

                                ∴ 음이온=막안 → 막밖(양극) 이동 수월,  양이온(전기적 반발) 

                   · 막 통로 확산

                            이온(전하를 띤 Na+, K+) , 극성물질 세포막 직접확산 불가능

                                      → 통로channel(0.7nm) 이동

 

             - 촉진확산faccilitated diffusion

                   · 지질불용성, 크기 ↑ → 운반단백질carrier이용하나,  에너지사용 ×  →  ∴ 정방향 이동 

                  · 운반율  → 단순확산(불포화) < 촉진확산(포화)

                  · 운반단백질의 수 → 운반량에 영향

                  · 경쟁적 억제에 의한 운반율 → 용질B 에 용질A 가 경쟁적 억제에 의해 용질B의 운반율 ↓

  

             - 삼투osmosis

                  · 반투막 통한 용매(물)확산(농도 낮은 용매 → 높은쪽 이동 → 평형)

                  · 반투막에 미치는 압력 = 삼투압

                  · 삼투압의 크기는 두 용액의 농도차에 비례(Van't Hoff 식)

                         ① 등장액isotonic solution → 세포안팎 물 농도 같아 - 쭈그러들지도 부풀지도 않음

                                       · 생리식염수 0.9%NaCl (1mol 분자가 1L 물에 녹아있을 때 삼투압)

                                       · 5% 포도당(5g포도당/100ml)

                         ② 저장액hypotonic  → 적혈구 팽창(물 흡수), 파열(0.5%) ← 삼투적 파열

                         ③ 고장액hypertonic → 적혈구 수축(적혈구 내부 물 → 식염수 쪽 스며나감. 수축)

                  · 세포내외 삼투적 평형상태(비투과성용질 농도차 평형)

 

             - 여과filteration(중력 압력차(막)액체이동)

                  · 콩팥 토리(사구체) 혈액 여과

                  · 모세혈관내 물질-혈압 → 혈관밖 이동

 

 

 

       2) 물질의 능동적 운반active or energy requiring transport

                · 에너지이용 운반(농도경사, 전압경사 역행이동) = 에너지효소계운반(Na+ - K+ ATPase)

                · Na+ - K+ 펌프 (K+ 세포안으로, Na+ 세포밖 이동) ← 가장 활동적이고 일반적

                · 능동운반 특성(4)         

                          ① 포화현상

                                         운반체량 일정 → 용질농도 ↑(모든 운반체 결합 = 포화상태)

                                           → 용질농도 높이더라도 이동속도 빨라지지 않는다

                                                (그 물질의 최고 이동속도)

                          ② 에너지(ATP, 간접에너지) 이용 ← 농도경사 거슬러 물질운반

                                          온도 ↓ 또는 2,4-dinitrophenol,DNP(대사억제물질)

                                             → 능동운반 억제(혈액저온저장)   

                          ③ 운반체의 특이성(선택성)

                                          Na+ 운반체 / aa 운반체 / 당류 운반체

                          ④ 유사물질들의 운반체와의 결합 경쟁성

                                          유사물질(구조,작용)들 간에(포도당과 과당) 운반체와의 결합 → 경쟁적,

                                          단독운반보다 운반속도 지연현상(경쟁적 억제competitive inhibition)

                                           

             - 1차 능동운반(운반단백질 - ATP 이용)

                            ① Na+ - K+ ATPase(Na+ - K+ pump) 전기 · 화학적 경사에 역행하여 이동

                                           안정시 세포내 K+ 농도↑,  Na+ 농도 ↓

                                           Na+(세포내) → 세포외액 이동,    K+(세포외액) → 세포내 운반

                                          이동 억제물질 → 와베인ouabain 디지탈리스digitalis

                            ② Ca2+ ATPase(Ca2+ pump)

                                           근세포질그물(SR)이나 세포막에서 Ca2+ 운반(전기, 화학적 경사 역행)

                            ③ K+ - H+ ATPase(Proton pump)

                                          벽세포(위) → H+ → 위샘관 내로 운반(전기, 화학적 경사 역행)

             - 2차 능동운반(간접 에너지 이용) → 2개이상 용질운반에 연관

                            · 개요 - 용질(1, Na+) 농도경사 순응 운반 → 다른용질(2) 역행성 운반에 간접 에너지 제공

                            · 동향 운반(용질 1, 2) - 둘다 같은방향으로 운반(둘다 들고 또는 둘다 나고)

                                  작은창자 Na+ - glucose,  콩팥 Na+ - K+ -Cl-

                            · 역방향 운반(용질 1, 2) - 각각 반대방향으로 운반(하나는 들고, 하나는 나고)

                                  Ca2+ - Na+,    Na+ - H+

 

         3) 용적bulk운반( =소포vesicular운반) → 거대분자(박테리아, 단백질, 지방입자, 이물질) 운반

             - 세포내 이입endocytosis 세포막으로 둘러쌈 → 소포형성 → 세포내 흡수

                              → 포식작용(백혈구 포식세포) 박테리아 포식작용, 면역작용              

                              → 포음작용 - 지단백, 면역복합체, 효소, 호르몬, 난황단백질, 독소

             - 세포외 유출exocytosis 세포의 물질 분비기전

               (과립형태 → 고농도 축적, 자가소화방지, 일정량 효과적 분비)

                             호르몬 분비 - 카테콜아민(부신속질), 항이뇨호르몬, 옥시토신(뇌하수체 뒤엽)

                             소화효소 분비(침샘),        

                             신경전달물질 분비(신경말단)

                             히스타민 분비(비만세포),   

                             효소분비(백혈구, 혈소판)

                             세포내 노폐물 배출

 

 

8. 체액body fluid(인체내 모든 수분)및 체액환경

           - 성인 남성 체중의 60%, 여성51% - 지방함량차이, 어린이 72%

           - 세포내액 40%(단백질, 유지방, 탄수화물, 무기질)..., 세포외액 20%(사이질액15%, 혈장5%)

           - 끊임없는 이동과 전신순환(세포 내 · 외액 이동 / 혈장과 조직액 사이의 이동)

           - 스탈링가설starling's hypothesis

             (①+②+③+④ 상반된 힘 작용 → 모세혈관벽 끊임없이 체액이동)

                   ① 액압fluid pressute, FP = 혈액정수압blood hydrostatic pressure,BHP

                        = 모세관혈압capillary pressure,CP → 혈액 액체성분을 모세혈관밖으로 여과시키는 힘

                   ② 혈장콜로이드삼투압plasma colloidal osmotic pressure,PCOP - 단백질에 의해 생김

                        = 혈액삼투압blood osmotic pressure→모세혈관 밖 액체의 혈관내로 이동 시키는 힘 

                   ③ 조직압tissue pressure,TP = 사이질액정수압interstitial fluid hydroststic pressure,IFHP

                        → 세포사이 조직액압 0mmHg (조직액을 모세혈관 안으로 이동시키는 힘)

                   ④ 조직콜로이드삼투압tissue colloidal osmotic pressure,TCOP

                        = 사이질액삼투압interstitial fluid osmotic pressure,IFOP

                        → 조직속의 소량 단백질에 의해 생기는 압력 6mmHg(혈장 액체를 조직쪽으로 이동시키는 힘)

 

            - 순여과압NFP    +8mmHg(세동맥 끝-동맥쪽모세혈관 - BHP > PCOP → 혈관밖 유출)

                                        → NFP 0mmHg(모세혈관중간 - BHP = PCOP → 이동없슴)

                                             → -7mmHg(정맥쪽모세혈관-세정맥 시작 - PCOP > BHP → 혈관내 유입)

 

            - 체액조절

                   · 수분조절중추 사이뇌 시상하부 → 효과기(콩팥)

                   · 심방나트륨이뇨펩티드 aterial natriuretic peptide, ANP

                            (수분, 전해질 배설촉진 ↔ ADH 분비억제) 

                   · 항이뇨호르몬antidiuretic H., ADH

                            - 수분회수(먼쪽곱슬세관,집합세관), 혈관벽 축소(탈수-혈압유지)

                   · 탈수dehydration(체액부족, 체액 1% 소실 - 실혈, 요붕증, 구토, 설사 → 갈증)

                           - 체중감소, 산증acidosis, 맥박증가, 심박출량 감소, 체온상승, 갈증, 피부건조

                           - 허탈collapse(심하면)

                   · 부종(부기)edema(사이질액 과다-사이질액 정수압 0mmHg보다 높아짐)

                           - 원인 → 모세혈관내 액압 ↑, 혈장 단백질 ↓, 모세혈관 투과성 ↑,

                                          나트륨 저류, 림프관 폐쇄

                           - 인체 영향 → 체중 ↑, 체온 ↓, 구토, 경련, 혼수상태

                                      

  

 

 

 

 

9. 세포신호 전달cell signaling

             - 세포들 사이의 정보이동

                      ① 세포 → 틈새이음(교통반 gap junctoin) → 세포

                      ② 신경세포 → 전기신호 전달 → 신경전달물질-틈새이음(교통반 gap junctoin) → 효과기 세포

                      ③ 신경세포 → 신경호르몬 분비 → 혈액이동 → 표적세포(효과기)

                      ④ 호르몬분비 세포 →호르몬 분비 → 혈액이동 → 표적세포(효과기)

                      ⑤ 세포 → 분비물질의 세포외 확산(파라크린paracrine) → 인접세포에 신호 전달

                                   사이토카인cytokines - 면역반응 특성, 강도, 기간조절

                                   인터루킨interleukin(백혈구에서 생산 - 사이토카인의 종류중 하나)

                                          - 면역세포 증식, 분화, 성숙, 이주부착 유도

                                          - 세균침입 → 백혈구(세균인식-인터루킨방출) → T세포활성화 → 세균공격              

                      ⑥ 세포 분비물질 → 자신이 흡수(오토크린autocrine) = 표적세포 → 분비세포(자신) 

 

 

              - 세포내 정보(신호)전달과정

                    1) 1차전령first messenger(리간드ligand - 표적세포에 정보전달하는 물질)

                             종류 - 효소 → 기질, 조효소,  수용체 →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기능 - 작용제(효능제agonist-반응) ↔ 대항제(길항제antagonist-반응차단)

                    2) 수용체receptor

                        (특징 - 특이성specificity, 친화성affinity, 포화성saturation, 경쟁성competition)

                            ① 이온통로연결수용체 - 빠른 신호전달(직접 이온채널 개폐)          

                            ② G단백질연결수용체 - 일차전령과 결합

                                     → 세포속 효소 활성화(이차전령 생성) ← 간접결합

                            ③ 효소연결수용체

                     3) 이온통로(분자량 큰 단백질, 세포막 가로질러 있슴)

                            ① 전압 의존성통로(Na+ K+ Ca2+ 이동 → 막전압변화 → 문gate 여닫음)

                            ② 리간드 의존성통로(신경전달물질, 호르몬 → 문gate 여닫음)

                            ③ 기계적자극 의존성통로(물리적 자극-압박 → 문gate 여닫음)              

                     4) G단백질GTP, bonding regulatory protein, G protein 

                            수용체의 자극을 효소성단백질이나 이온통로에 전달하는 변환기transducer로 작용

                     5) 이차전령second messenger

                        - 분자량 큰 수용성물질(세포막통과 불가능) → (세포표면)표적세포 수용체와 결합

                           → 세포내 생리반응물질 생성(효소활성-이차전령 형성) → (이차전령)생리효과

                        - 대표적 이차전령물질

                                           cAMP → 혈당상승

                                           cGMP → Na+, 물 배출 증가

                                           IP3 · DAG · Ca2+ → 민무늬근 수축

                                           NO(일산화질소) → 세포내 Ca2+ 이온농도 감소 → 혈관 민무늬근육 이완

                                               - 민무늬근육 이완  → 혈관확장유도 - 혈압 ↓

                                               - 단백질(아르기닌) 변형하여 제조

                                               - 니트로글리세린 → 몸속에서 NO로 변환

                                               - sildenafil → (자극) 해면체 NO 방출

                                                                     → cGMP분해효소 억제(cGMP수치 ↑)

                                                                          ↘ 민무늬근육 이완 → 혈관내 혈액유입 ↑

                      6) 인산화phosphorylation

                         - 인산기 결합 · 분리 → 전하변동(특정 이온에 대한 친화력 변동), 에너지 변동(생산,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