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호흡생리

자연치유캠프 2021. 4. 21. 22:41

호흡respiration

       -  환기ventilation + 가스교환(공기와 폐속 혈액사이 허파꽈리 벽, 확산)gas exchange → 외호흡

                                       + 산소이용(세포호흡 - 에너지 생성반응)oxygen utilization → 내호흡

       - 가스교환    산소농도  폐 ≫ 혈액 → 혈액속으로 확산 (들숨 - 산소 ↑, 이산화탄소 ↓)

                              이산화탄소  농도기울기  혈액 ≫ 폐 속으로 확산

       - 체내 산소공급(공기 흡입  매회 500mL → 배출 과정 )

               폐 표면적 ↑  ( 허파꽈리 지름 0.25 - 0.50mm,  3억개,  60 - 80m2)

                                    +  혈액과 공기 거리 짧음(0.3㎛)

                                                    +  폐포벽 · 모세혈관벽 두께 얇음(0.15㎛)  →  빠른 확산 가능

      - 허파꽈리세포

              1형 허파꽈리세포(97% 차지 - 혈액과 가스교환) 

              2형 허파꽈리세포 → 꽈리 표면 활성물질 분비 - 표면장력 ↓ 

                                                     Na+ · H2O 재흡수 - 폐포내 체액축적 방지

       - 호흡수  12 - 20회 / 분당,   들숨 · 날숨 반복(빈도 / 깊이 변동가능)

       - 성장 · 생식 · 에너지 생성

             · 외호흡      → 가스교환(공기 ↔ 허파꽈리 모세혈관) - 일반적인 호흡

                                        확산  (폐에서의 산소농도 ↑   혈액의 산소농도 ↓ → 혈액속으로 확산)

                                                  (이산화탄소 혈액 → 폐 속 확산)

             · 내호흡 21 → 가스교환(체액 ↔ 세포)

                                  → 사립체에서 산소사용(에너지 생성),  노폐물로 이산화탄소 생성

 

 

1. 호흡계통의 구조와 기능

      - 상부기도(코nose → 코안nasal cavity →  인두pharynx)

      - 하부기도

          (후두larynx → 기관trachea → 기관지bronchus(세기관지 → 종말세기관지 → 호흡세기관지) 

                  → 허파lung(허파꽈리관 → 허파꽈리 - 주로 호흡)

       - 기관절개술(기관창냄술)tracheotomy

                · 기관 막힘(이물질 · 외상 · 염증)  -  외과적 개방(창냄) + 관 삽입 

                           → 기도확보 + 호흡 · 이물질 제거 · 생검 표본채취

                · 후두아래 삽입(→ 성대 손상 위험) ,   2 · 3 · 4 tracheal ring 수직절개

 

      - 전도부분 (코,  코안,  인두,  후두,  기관,  세기관지, 종말세기관지)

              · 공기전도,   

              · 들숨 가온( 37℃ ) + 가습 (폐 온도 일정, 조직 건조 방지 → 폐 늘임성, 탄력성, 표면장력 유지)  

              · 여과 · 정화  → 점액 · 섬모 (이물질 6㎛ ↑  거름) ↔ (석탄분진 침착) 진폐증(=폐섬유증)

 

      - 호흡부분(가스교환부위 → 호흡세기관지 - 50만개,  허파꽈리관,  허파꽈리 - 800만개)

                           확산 ↑  →  폐 표면적 넓고, 혈액과 공기사이의 확산거리가 매우 짧음

                           대식세포 → 이물질 제거(흡연 → 섬모 · 대식세포작용 감소)

      - 허파 가슴막( 내장쪽 가슴막 / 기슴막안(가슴막액 - 윤활유 역할) / 벽쪽 가슴막 )

                           공기가슴증(기흉) → 가슴막안에 공기 존재 → 폐압 ↑ (폐 유지압력차 상실) 

 

 

 

 

 

 

 

      호흡계통의 기능

           - 혈액속의 산소 / 이산화탄소 분압 유지

           - pH 유지 (인체)

           - 미각 관여(코안 점막 - 후각)

           - 발성 관여(후두)

           - 공기 · 음식물 통로(인두)

 

 

 

 

 

 

 

2. 호흡기능과 호흡운동

 

1) 호흡기능

     ① 외부공기 ↔ 허파꽈리속 공기의 교환

            = 환기ventilation(폐 부피 변화에 따른 압력차,  공기이동 -  압력 높은 곳 → 낮은 곳)

          환기 영향 → 폐 늘임성(신전성)compliance, 탄력성elasticity, 표면장력surface tension, 마찰저항

     ② 허파꽈리속 공기 ↔ 혈액 가스교환(확산, 가스분압차)

     ③ 혈액에 의한 산소 · 이산화탄소 운반(적혈구 혈색소)

     ④ 말초모세혈관 혈액(산소→조직) ↔ 조직(이산화탄소→혈액)사이의 가스교환

 

2) 호흡운동

     - 들숨(흡기inspiration 외부공기 → 허파꽈리)  → 가로막, 바깥사이갈비근 수축(능동적운동)

     - 날숨(호기expiration  허파꽈리 공기 → 외부) → 가로막, 바깥사이갈비근 이완

               (수동적운동 - 근육이완 + 탄력성 반동)

 

     - 호흡근육(4) 가로막, 바깥사이갈비근, 목갈비근, 목빗근

     - 호흡(들숨)보조  목빗근, 앞톱니근 목갈비근(복장뼈 · 갈비뼈 들어올림)

 

       ① 가로막diaphragm

            가슴안 ↔ 배안 경계,  가로막신경

            가로막 호흡 → 배호흡(복식호흡)

           가로막 수축 → 내려감(가슴안 넓어짐 22 - 음압 대기압보다 -3mmHg) → 외부공기 허파 이동(들숨)

           가로막 이완 → 올라감(가슴안 좁아짐 - 내압증가 +3-4mmHg) → 공기 허파밖 밀려남(날숨)

       ② 갈비사이근intercostalis

            바깥갈비사이근 주축 호흡 → 가슴호흡(흉식호흡)

            갈비사이근 수축 → 갈비뼈 위쪽 당겨짐, 복장뼈 앞쪽 이동(가슴안 직경 20% ↑ 증가)

 

3) 호흡막respiratory membrane

     - 허파꽈리 ↔ 혈액 → 가스교환

     - 단층 평평상피

   ① 제1형 상피세포 허파꽈리 96-98% 차지 가스확산(교환)

   ② 제2형 상피세포 허파꽈리 2-4%  표면활성제 합성·분비(공기/물 접촉 표면장력 ↓, 폐포협착 방지) 

       미숙아호흡곤란증후군

         → 임신34주 ↑ 표면활성제 분비 시작 ← (미숙아)표면장력 과도 ↑(허파꽈리 오그라듦-호흡곤란)

       

4) 호흡과 허파내압력 및 가슴막안 압력변화

     - 들숨(허파내압력757mmHg ↔ 가슴막안압력754mmHg =  - 3mmHg → 감압)

     - 날숨(가슴막안압력763mmHg ↔ 허파내압력757mmHg =  + 4-6mmHg → 가압)

     - 보일법칙Boyle's law   주어진 기체의 양에 대한 압력은 그것의 부피와 반비례한다 

 

 

 

 

 

 

 

3. 허파의 용적과 용량(폐활량계 - 호흡곡선 → 허파기능 평가,  질환진단 치료)

     ① 일회호흡용적(tidal volume, TV)         400 - 500mL, = 1회 환기량

     ② 들숨예비용적(inspiratory reserve volume, IRV)  안정들숨상태 + 노력흡입 최대량,

                                                                             2,500 - 3500mL

     ③ 날숨예비용적(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안정날숨상태 + 노력날숨 최대량,

                                                                             1,000 - 1,500mL

     ④ 잔기용적(residual volume, RV) 노력날숨후 남아있는 폐속 공기량 1,000 - 1,500mL

     ⑤ 폐활량(vital capacity, VC) 최대 들숨후 최대날숨 폐기량(배출량)    4,000 - 4,500mL

               성(남▷여),  연령( ↑ - 허파탄력성 ↓, 잔기용적 ↓, 폐활량↓),  키(클수록 폐활량 ↑)

               볼드윈Baldwin예측치 80% ↑ - 정상

     ⑥ 들숨용량(inspiratory capacity, IC) 21 안정시 날숨후 최대한 들숨할 수 있는 공기량)

               일회호흡용적TV + 들숨예비용적IRV

     ⑦ 기능적잔기용적(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

                날숨예비용적ERV + 잔기용적RV             

     ⑧ 총폐용량(total lung capacity, TLC)

                일회호흡용적TV + 들숨예비용적IRV + 날숨예비용적ERV + 잔기용적RV

                남 6.0L,  여 4.8L

 

 

 

 

 

 

 

4. 가스교환

-----------------------------------------------------------------------------------

    1) 가스교환 개요

          - 확산

          - 대기 ↔ 허파꽈리,  허파꽈리 ↔ 혈액,  혈액 ↔ 조직세포

          - 조직  산소소비량 250mL/min,  배출 이산화탄소량 200mL/min

    2) 기체의 분압

          - 달톤법칙 →  가스혼합물의 총 압력은 혼합물내의 각 성분별 분압을 합한 것과 같다

          - 헨리법칙 → 액체에 용해될 수 있는 가스의 량은, 그 액체와 접촉하는 가스의 분압과 비례한다

          - 혈액 가스의 분압이 비정상적으로 ↑,  여러질환이(산소독성, 질소마취 및 감압병) 생길 수 있다

    3) 허파꽈리의 환기량

    4) 허파꽈리와 혈액, 혈액과 조직액사이의 가스교환

          - 허파꽈리막 / 모세혈관벽 장벽 0.1 - 0.5 ㎛

          - 가스분압에 의한 확산(분압차에 비례)

          - 산소분압 (허파꽈리 공기) 100mmHg → (허파꽈리 모세혈관) 40mmHg  분압차 60mmHg

          - CO2분압 (허파꽈리 공기)   40mmHg ← (허파꽈리 모세혈관) 46mmHg  분압차  6mmHg

               산소와 같은비율 확산 (확산능력 - 산소의 20배 ↑)

-----------------------------------------------------------------------------------------

 - 소량의 일산화탄소를 들숨하고 날숨하여 허파꽈리와 모세혈관 사이에 가스교환이 잘 일어나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은? → 폐확산능력 검사 23

 

 

 

 

 

 

5. 가스운반

    1) 산소운반

         ① 혈색소hemoglobin에 의한 운반

                98.5% 운반,   혈색소 1g과 결합할 수 있는 산소량 1.34mL

         ② 산소해리곡선

                산소분압 / 혈색소의 산소포화도(%) 곡선

                혈액 산소분압 ↑ → 산소와 결합하는 혈색소의 량  ↑

                         산소분압 ↓ → 산소화 결합하는 혈색소의 량 ↓

         ③ 급성고산병 acute mountain sickness 

                 낮은 P O2 → 뇌혈관 확장 자극 (혈류와 혈압 ↑)

                                    → 권태감, 두통, 메스꺼움, 현기증 (2,438m 고도에서 25% 발생 ← 순응 ×)

 

    2) 이산화탄소 운반

         ① 적혈구에서 중탄산염(물과 반응, H2CO3) 형태로 운반 - 70% 운반)             

         ② 카르바미노헤모글로빈( ← 헤모글로빈 + 아민기 반응) 형성(22% 운반)

         ③ 혈액에 용해(8% 운반)

 

    3) 혈색소hemoglobin와 일산화탄소CO의 관계

         - 혈색소 친화도 산소보다 200배 ↑ 강함(혈색소와 산소 결합여지 없슴 - 산소부족) 

         - 결합(혈색소 + 이산화탄소) ← 해리 방해(체내조직 산소부족 더욱 심화)

         - 일산화탄소중독

            두통, 구역질, 구토 →  의식상실, 호흡마비(고압산소요법 - 허파꽈리 산소분압 ↑) → 사망

 

 

 

 

 

 

      

6. 호흡조절

    1) 호흡조절중추

          - 숨뇌     → 자동호흡주기 중추

          - 다리뇌 → 들숨 날숨 조절( → 숨뇌중추에 영향)

    2) 화학수용체(혈액 산소 · 이산화탄소 분압 감지 - 산소수용체, 이산화탄소수용체)

          - 동맥혈중 CO2 → BBB통과(뇌척수액 pH ↓) → 중추화학수용체 자극(환기 ↑)

          - 동맥혈 CO2 분압 ↑ → 혈액중 수소이온 → 탄산농도↑ → 혈액pH ↓

                → 화학수용체(목동맥 토리 - 온목동맥이 속목 · 바깥목동맥 으로 갈라진곳 위치 - 혀인두신경,

                                           대동맥 토리 - 대동맥활 - 미주신경) 자극

                     → CO2 분압 · pH 농도 감지 → 호흡중추 자극(환기량 ↑)

    3) 기계수용체 (가슴, 허파의 호흡조절 반사기전)

          - 들숨억제반사(헤링-브로이어반사) 과도한 허파 늘어남 억제

                → 날숨 전환(허파민무늬근 뻗침수용체)

          - 잠수반사 → 물에 수용체 자극(얼굴, 코) - 무호흡, 서맥유발 → 기도내 물 흡입방지

          - 흡입반사 → 인두 수용체 자극 - 강하고 짧은 들숨(인두 흡입물질 삼키든지 뱉음)

                                                                   -  무호흡, 기침, 날숨

                                                                       → (호흡억제, 후두닫음) 하부기도 이물질 흡입방지

 

 

 

 

 

 

 

7. 호흡이상

    1) 호흡형의 이상

          - 호흡곤란dyspnea

          - 빠른호흡tachypnea  → 호흡빈도 ↑

          - 과호흡hyperpnea     → 빠르고 호흡깊이 증가(불쾌 자각증상 없슴)

          - 병적호흡

                체인-스토크스Cheyne-Stokes 호흡 21

                                            → 깊은 무호흡과 과호흡이 번갈아 나타남

                                            → 심부전, 약물로 인한 호흡억제, 신경학적 불안과 관련이 있슴

                                                심장 기능상실,  요독증,  뇌질환,  임종

                                                중추 화학수용체의 CO2 감수성 민감해져 나타나는 호흡

                비오트호흡Biot's respiration → 무호흡과 과호흡의 반복

                쿠마스울Kussmaul's 호흡

                                           → 깊고 긴호흡 비교적 규칙적 일어남(중증 당뇨병, 심장기능상실 산증acidosis)

          - 수면중 무호흡 (수면중에만 뇌줄기 기능장애 → 자동제어 능력 ↓ - 가벼움부터 치명상태 까지)

                  외상(뇌줄기),

                 선천성 중심호흡저하증후군 → 연수 마름모꼴핵에 영향(목동맥토리 PCO2 에 반응하는 곳)

 

    2) 호흡곤란

          - 환기량의 3 - 4배 → 숨참(불쾌감)

          - 숨참 + 호흡 노력하는 상태

 

 

 

 

8. 폐질환

    1) 천식asthma(아토피천식, 알레르기천식)

           - 세기관지를 통과하는 폐쇄될때 발생 → 호흡곤란, 천식음wheezing

                · 기도염증 → 협착에 대한 반응증가 ← 알레르기 반응, 차고 건조한 공기호흡, 아스피린

                · 점액분비 → (면역반응) 히스타민 · 류코트리엔 · 프로스타글란딘(점액분비 + 기관지수축 자극)

                · 기관지협착

     2)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 기도 협착, 폐포 파괴  만성염증(폐기종 포함)

           - 환자의 90% → 흡연자의 10 - 20% 발병 (발병하면 금연으로도 진행을 못막음), 유전적 감수성

           - 폐암의 주요 원인

      3) 폐 섬유증 → 폐 호흡구역에 6㎛ 미만의 입자 흡입, 축적 →  석탄가루증(진폐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