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생리
생식reproduction
- 종족번식(생물체 기본본능)
- 고환 · 난소 → 생식샘(정 · 난자 생성), 남 · 여성호르몬 합성 분비
- 정 · 난자 → 보존 · 이동 → 수정 · 착상 기관
남성 생식기관
- 생식기관 → 고환(정자생성 · 내분비샘-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부고환(정자성숙, 운반, 사정), 정관, 음경
- 부속샘 → 정낭, 전립샘, 방울요도샘
1. 남성 생식기관 구조
- 고환testis → 정삭spermatic cord에 의해 음낭(주머니)안에 매달림
복막뒤(콩팥가까이) 생성 → 고환내림(태생2달전부터→아랫배→음낭) ← 촉진(테스토스테론)
잠복고환증 - 남성불임(배안온도 2-3℃ ↑ → 정자생성↓)
→ (고환속) 정세관 (정자생성 근원, 분화 - 정모세포 → 정자세포 →정자)
→ (정세관 · 정세관 사이) 사이질세포 → 호르몬 생산
- 부고환epididymis → 정자생명유지, 정자 성숙물질 분비(글리코겐, 단백질---)
- 정관ductus deferens
- 정낭semlnal vesicle → 주름진 주머니 - 알카리성 액체분비
· pH 조절,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함유 - 여성생식기근육 수축운동자극(정자→난자 이동 도와줌)
- 전립샘prostate gland → 요도시작부 감싼 기관
· 우유빛 알칼리성 액체분비 - (정자 대사산물, 질 분비액)산성액 중화
· 전립샘비대증 암
- 망울요도샘 → 전립샘아래, 요도옆 위치 2개 - 성적자극 분비, 귀두 윤활작용
- 음경penis · 발기성 조직(음경해면체 · 요도해면체)
· 포경phimosis - 표피가 귀두 덮은 상태 → (위생, 종교적 신념) 음경꺼풀절제술circumcision
- 음낭(음낭근, 민무늬근) → 고환, 부고환, 정관(일부) 싼 주머니 - 외부온도에 민감(수축-몸가까이, 이완)
2. 정자세포의 형성(75일 소요, 체온보다 고환온도 낮아야)
- 정조세포(염색체46개)
→ 1차정모세포 → (1차감수분열)2차정모세포-염색체23개 → (2차감수분열) 4개 정자세포(정자)
3. 정자Sperm
- 머리(핵 + 첨단체-난자바깥막 용해효소 함유 + 사립체-ATP 생산) + 꼬리(편모운동)
- 정자 이동(정세관 → 부고환 → 정관 → 사정관 → 요도)
4. 정액semen
- 정자 + 분비액(정낭 · 전립샘 · 방울요도샘 · 프로스타글란딘 - 정자 생존,운동성↑) - pH7.5 약알카리성
- 방출량 2-5mL(정자 1억2,000만개 / mL)
5. 발기erection · 극치감orgasm · 사정ejaculation
- 성적자극 → 민무늬근 이완, 부교감신경 흥분 → 동맥 확장 → 정맥압박(나가는 정맥혈액 감소) → 음경팽창
- 신경자극 → 시상하부 → 척수 엉치분절 제어 → 부교감신경 활성화
- 극치감(생리적 즐거운기분 + 정신적 안정, 남 - 정자방출과 사정-민무늬근 꿈틀운동)
- 성반응주기(4단계) 흥분기 → 고조기 → 극치기(남-사정, 여-사정×, 극치감 반복가능) → 해소기
- 몽정nocturnal emissions(남, 수면중 자발적 방출과 사정 ← 성적 성숙)
6. 남성 생식기관의 호르몬 조절
1) 시상하부와 뇌하수체호르몬
- (시상하부)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 (혈액) 뇌하수체앞엽
→ 황체형성호르몬(LH = 사이질세포자극호르몬ICSH-테스토스테론 분비),
+ 난포자극호르몬(FSH-정자생성세포 자극) 분비 (혈액)
2) 남성호르몬
- 테스토스테론 → 고환 사이질세포 - 합성
- 태아 발육기부터 13 - 15세 급속 분비증가
- 남성생식기관 형성 자극, 고환 음낭하강 자극
- 사춘기 2차 성징 발달(체모성장, 변성-후두 증대 · 성대주름 증가, 피부두께 증가, 근육뼈대 증대 · 비후)
- 혈중 테스토스테론↑ → 시상하부 분비 억제
→ (생식샘자극호르몬GnRH,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 뇌하수체 압엽자극감소
→ 뇌하수체 LH분비 감소 → 테스토스테론 합성감소
- 혈중 테스토스테론↓ → 시상하부활성화 → 생식샘자극호르몬(GnRH) 분비 증가
→ 뇌하수체 LH분비 자극 → 테스토스테론 합성증가
여성 생식기관
- 생식기관 → 난소, 자궁관(난자 자궁으로 운반), 자궁, 질
난소 - 난자생성 · 내분비샘
- 에스트로겐estrogen→자궁속막에 수정난 착상 환경조성, 2차성징 발달.
- progesterone→(난자배출한)황체에서 분비, 자궁속막 분비액↑, 임신유지(자궁근 수축억제)
- 부속샘 → 큰질어귀샘(바르톨린샘Bartholin's gland)
1. 여성 생식기관 구조
- 난소ovary 난자, 성호르몬 생산
- 자궁관uterine tube 섬모운동 + 근육 꿈틀운동 → 난자 자궁쪽 이동
- 자궁 uterus 속빈 서양배모양 → 수정난자 착상 · 성장
(자궁관 연결)자궁바닥, 자궁몸통, 자궁목(질 연결)
자궁속막 / 자궁근육층 / 자궁바깥막
2. 난자 발생
- 난조세포 → (유사분열)1차난모세포(염색체46개)
→ (난포자극호르몬 FSH 자극) 분열 증식(1차난포세포)
→ (1차 감수분열)2차난포세포(염색체23개) + 1차극체(퇴화) →
→ (2차감수분열)난자(염색체23개) + 2차 극체(퇴화) ∴ 1개 난모세포에서 1개 난자 발생
3. 난소주기
- 무수 원시난포 → 28일 주기 → 성숙(10-14일)난포(난자배란 - 400개 정도/일생 · 황체형성) → 백색체 반복)
- 배란(14일경)과 황체(수명 14±2일 → 임신유지 관여, 퇴화(백색체))
4. 발기, 윤활, 극치감
- 음핵 · 질입구(발기성조직) → 성적자극(부교감신경) → 동맥확장(혈액유입↑, 유출↓) → 질 길어짐 · 확장
- 부교감신경 흥분 → 큰질어귀샘(바르톨린샘Bartholin's gland) 점액분비(촉촉+매끄럽게 → 음경삽입 용이)
- 극치감 → 샅근육 수축, 자궁+자궁관근육 활성화
5. 여성 생식기능의 호르몬 조절
- 사춘기 → 사상하부 GnRH(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 시작
→ (뇌하수체앞엽 자극) FSH(난포자극H), LH(사이질세포자극H) 분비(생식세포성숙, 성호르몬 생산)
- 난소 · 부신 · 태반(임신중) 분비호르몬
에스트로겐(난소 생성) → 질, 자궁, 자궁관, 난소, 외부생식기관 - 성장촉진, 2차성징 발달 유지
프로게스테론 → 생리주기(자궁내 변화) 촉진, 젖샘 영향, GnRH(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조절
6. 여성의 생식주기(월경주기 = 생리주기, 13세경 - 중년)
1) 난소주기의 변화
(1) 난포기(난소주기 1-13일) FSH 분비-자극 → 난포발육(성숙난포)
(2) 배란기(난소주기 14일) FSH(난포성장) + LH(성숙난포벽 파열) 급격증가
(3) 황체기(난소주기22일경)
-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분비 → FSH, LH 분비+작용억제 ← 난포발생, 배란억제
- 황체 퇴화 →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난소주기28일경 최저)
2) 자궁속막의 주기
(1) 월경기 (월경주기 초 1-4일 = 난소주기 황체기 말기 = 배란후 14일경)
- 자궁속막 기능층(치밀층/해면층) 탈락(50mL) 출혈
- 월경직전 - 배란기 기초체온 0.2 - 0.5℃ 하강
- 월경전증후군(PMS) 긴장고조 · 흥분 · 두통 · 가슴통증 · 손발 부종(원인-호르몬 불균형)
(2) 증식기 (월경주기 5-14일 + 난소주기 난포기)
- 자궁속막 기능층의 재생 · 증식
(3) 분비기(월경주기 15-26일) = 난소주기 황체기)
- 자궁속막 두텁고 해면화, 자궁샘-글리코겐 충만(수정란 수용 · 양육 가능)
- 기초체온 0.3 - 0.5℃ 상승(프로게스테론 영향)
(4) 월경전기(월경주기 27-28일)
- 혈관파열(출혈)
- 수정 자궁속막 → 증식상태 유지, 임신
7. 폐경
- (40 후반 - 50초반)월경주기 불규칙 → 멈춤(폐경기) ← 난소퇴화
- 뇌하수체 GnRH(생식샘자극호르몬) 자극 → 원시난포 무반응
- 에스트로겐 농도감소 + 프로게스테론 결핍 = 2차성징 변화, 질 · 자궁 · 자궁관 크기 줄어듦
- (에스트로겐 농도감소) → 뼈엉성증osteoporosis / 비뇨생식계통 상피세포 얇아짐 발생
- 폐경여성 50% → (얼굴, 목) 홍조 - 더운느낌의 불유쾌한 혈관운동 경험
8. 임신pregnancy과 출산
1) 생식세포의 이동과 수정
- 난자 방출 → 난관 이동 + 정자 → 자궁 → 자궁관 이동-1시간 소요(편모운동+자궁관근육 수축운동)
- 수정부위 자궁관팽대 ← 난자막 용해(첨단체-단백질분해효소 트립신)
→ 정 · 난자 원형질막 결합 ← 난자막-효소분비(막 딱딱해짐 - 다른정자 차단, 수정난자 보호)
→ 정자핵 / 난자핵 결합 - 핵막 사라지고, 염색체 합쳐짐(수정완성, 23개+23개염색체 = 46개)
2) 초기배아의 발생
- 수정난 → 분할세포(수정 30시간 2개→4→8→16(오디배)) --- 유사분열
→ 이동(3일정도) → 주머니배(3일정도)→ 자궁속막 착상(태반)
- 딴곳임신(자궁외 임신) - 자궁관 · 난소 · 자궁목
자궁관임신(가장 많음) → 외과적 배아 적출, 손상 자궁관(배아성장→파열) 치료 또는 제거
3) 임신중 호르몬의 변화
-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 황체유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계속분비(자궁벽 지속 발달)
· hCG - 임신 2개월동안 높은수준 분비 → 소변배출(임신여부 소변검사)
- 뇌하수체앞엽 FSH, LH 분비억제(월경주기 멈춤)
- 에스트로겐 → 락토겐lactogen(젖샘자극호르몬) 분비 - 유방발육촉진
- 프로게스테론 + 릴렉신relaxin(황체분비, 이완호르몬) → 출산과정전 자궁수축 억제
- 릴렉신 → 출신과정전 자궁수축억제, 출산(골반이완, 두덩결합인대 · 엉치엉덩관절 벌어짐)
4) 출산
- 마지막 월경주기 첫날부터 계산 40주(280일, 월경주기 10번)
- 임신말기
· 프로게스테론 분비감소(자궁수축 억제력 감소)
· 옥시토신oxytocin 분비자극(분만촉진호르몬, 시상하부 뒤엽 분비)
- 출산(자궁수축, 양성되먹임작용)
· 자궁목확대 → 자궁목 완전확대(태아머리 자궁목관으로 들어감), 양막파열
→ 태아 질 통해 나옴 → 태반(탯줄)이 자궁벽에서 분리 배출됨
- 산후출혈 자궁수축작용(옥시토신, 혈관압박) → 출혈 최소화
9. 젖샘mammary glands, 큰가슴근 위에, 젖꽃판에 젖꼭지 둘러싸여 있슴
1) 유방의 발육
- 태반 에스트로겐(젖샘관 체계 성장, 지방 축적), 태반 프로게스테론(젖샘 성장자극)
2) 젖의 생산과 배출
- 프로락틴prolactin(젖분비자극호르몬) 출생(태반호르몬 급격감소) → 프로락틴 활성화(젖분비 자극)
- (신생아)젖꼭지 자극 → 시상하부 전달 → 뇌하수체뒤엽 자극 →옥시토신 분비촉진 → 젖 배출유도
- 초유 출생후 2-3일, 호르몬자극없이, 2-3mL/일 분비
- 젖 규칙적 분비× → (시상하부) 프로락틴 분비억제(1주일내) → 젖샘기능 멈춤
- 수유동안 월경주기 회복 안됨(여러달후 난포자극호르몬 FSH 분비 → 월경주기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