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개발

유럽과 아프리카의 잘못된 만남

자연치유캠프 2021. 8. 5. 16:32

1. 물리적 지배(약탈) 

     - 벨기에(유럽 여섯 번째 작은 나라) 왕 레오폴드 2세 → 콩고 지배(서유럽보다 큼. 벨기에 80배)

            · 서유럽 문명 전파(구실)                                 

            · 고무, 코끼리 상아 사업

            · 남성 고된 노역 투입

            · 여성, 어린이 고무나무 수액 채취 작업

                → 과다한 작업 할당량

                → 미달성자 목 · 손 · 발 절단

                    (5살 딸 잘린 손발 바라보는 아버지-사진)

                → 미달성량(절단, 죽은 자)  가족, 이웃이 채워야 함

            · 물리적 지배 → 저항 가능성 상존

 

      - 노예무역(유럽과 아프리카의 만남으로 시작)

            · (전쟁패배=노예) 유럽 노예제도 비판 이유

                  → 특정 인종 전체를 노예 · 인간이하의 취급 → 상품화

            · 노예선(사슬에 묶여 움직일 수 없는 떠다니는 감옥) 약 3개월

            · 영국 노예선 종(Zong)호   많은 노예들(짐짝 취급 - 토사물, 변, 오줌) 전염병으로 사망 

                  → 상품가치↓ 노예 바다에 던짐(3일간 133명) 

                  → 보험 보상금이 더 많아서

 

            · 대서양 (상품가치 있게) 건넌 노예 약 1,000만 명 - 3,000만 명

                 (젊고, 건강 흑인 300년간 인력 수탈)

                  → 아프리카 인력유출(남녀성비 40 : 100)

                  → 아프리카 발전 지연

 

            · 아메리카 대륙발견 콜럼버스

                  → 스페인 이사벨 여왕 선물(흑인 + 아메리카 원주민)

                  → "그들은(흑인 항해술 보유) 콜럼버스 전에 왔다"

                      they came before columbus

                           아프리카 연구학자 이반 판 셀티마ivan van sertima

 

       - 아프리카 지도 직선 긋기(베를린회의 1884-1885)

             · 식민지배 쉽게 하기 위해 아프리카 국경을 임의로 그어 분할(언어, 문화, 종교, 지역 갈등 발생)

             · 르완다 대학살(1944)         

                     (벨기에) 르완다 독립 이후 후투족/투치족간의 내전,

                          3개월간 100만 명 사망

                      다수 후투족(인구 85%) / 소수 투치족

                          (인구 14%, 권력 주며 우대 - 분열 조장)

                      후투족 반란 증오 보복

                      (영국이 로힝야족을 이용해 미얀마 분열시킨 것과 같은 전략)

 

       - (버마) 미얀마 연방 공화국 식민지 역사 (이양희)

             · 천연자원 보고  1960년대 세계 1위 쌀 수출국,

                                    2020년 가스 세계 10대 생산국,

                                    보석(옥, 루비) - 세계 생산량 90% 차지, 희토류 세계 제3위, 석유, 목재

             · 다민족 국가(135개 민족, 107개 언어)

                                    미얀마족 68%, 산족 9%, 꺼잉족(카렌족) 7%, 라카인족 4%, 몬족 2% ---

             · 영국 식민지배(1886-1942) 끈질긴 저항, 민족 갈등 시작

             · 영국 해법(분할통치 → 민족 간 갈등 유발 조성 (서로 적대) → 식민지배 쉽게 하기 수법 

                       (방글라데시) 로힝야족(이슬람)  미얀마 리카인주(불교) 이주(일자리, 토지 제공 - 갈등 부추겨)

                                        → 종교 다름, 언어 불통 → 리카인주 가혹한 분할 통치 → 독립운동 시작

 

             · '우리 버마 협회(1930)' 조직( 3명 주축  아웅산 장군, 우누, 네윈)

                      버마 독립군 창설 → 일본 가서 군사훈련, 독립 준비 → 독립전쟁(1942) 

                      미얀마 + 일본 (승리) / 영국 + 로힝야족(패배)

             · 일본 식민지배(1942-1945) 영국보다 가혹(고문, 강제노동, 위안부 동원)

             · 라카인(아라칸) 대학살(1942)

                       일본 탄압 + 민족 간 갈등 고조  로힝야족 → 라카인주 토착민 2만 명 학살

 

             · 일본 아니다 → (다시) 영국 힘 빌린 독립군(영국 3년간 지배)

             · 독립 교섭(영국,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아웅산) → 독립(1948년, 62년 만에)

 

             · 팡롱 협정 panlong accord(1947)

                        "우리 한번 통합해보자" 아웅산 → 천연 자원의 배분, 권력의 배분

                        소수민족 처우와 의회 참여 보장, 자치권 인정

 

              · 8888 민주항쟁(1988년 8월 8일) - 군부독재 항거 시위

                        대학생, 승려 등 10만 명 참여 → 사망자 300 - 1만 명 추산 

                        아웅산 수지 - 가족(영국 거주) 버리고 미얀마 선택 → 국모 추앙

                        1990 총선(민주주의 민족 동맹당 NLD) 압승 →(군부) 부정선거, 가택연금(15년간 구금 석방 반복)

                        담너머 연설(우리나라 골목 연설?)

              · 2015 총선거 (민주주의 민족 동맹당 NLD) 압승  최초 민주정부(미얀마의 봄?) 수립

                        국가 고문(배우자 외국 시민권자 → 대통령 후보 불가 - 미얀마 헌법(2008년 군부 표적 개정))

 

              · 2021 02. 01 미얀마 군부 쿠데타

                         시민 불복종 운동(자기 업무 거부하는 비폭력 저항 운동)

                         2021. 02. 22  22222 혁명 수백만 시민 봉기(군부 통신망 차단, 유혈진압 - 비무장 시위대 발포)

 

 

 

2. 물리적 + 정신적 지배(영구 지배 작전 - 노예화) → 타자화 전략 

      - 나와 다른 인종의 이질적인 면을 부각해 열등하게 보이게 하는 전략

        → 정신적 심리적으로 영원히 지배하려는 작업 수행

      - 자신들이 '열등하다' 세뇌 계속되면 타인의 지배가 정당화되면서 저항에 대한 판단이 흐려짐

        → 알아서 노예가 되는 것(타자화)

      - 19세기 모든 학문(철학, 문학, 의학, 과학 등) 총동원 

      - 아프리카와 이집트 분리 시도(세계 4대 문명) → 서 아시아인들이 일군 것

 

      - 타자화의 사례(철학에서 타자화)

          · "자연은 아프리카 흑인에게 어리석음을 극복하는 감정을 부여하지 않았다" (임마누엘 칸트)

          · 아리아인(순수 독일인)들만 우수할게 아니라, 세계인들이 스스로 생각해서

            지구촌을 편견 없는 대륙으로 만들어야 한다. 아프리카인들은 예외다(흑인 차별)

               → 이유  - 자연 상태에서 못 벗어나서(이성을 개발하지 못한 야만인)

                          - 유럽 백인은 "자연을 극복한 사람들"

               → 유럽인의 기준으로 아프리카인을 철학적으로 타자화

 

      - 타자화의 사례(문학에서 타자화)

           · 윌리엄 셰익스피어(영국, 세계적 문호 38편 희곡을 남긴 극작가)

               → 몇 편에서 백인들을 제외한 나머지 인종에 차별적 시각을 드러냄

           · the tempest(태풍) - 셰익스피어의 인종주의 드러난 작품

                 프로스페로(주인공)가 동생의 반란으로 왕국을 빼앗기고, 딸과 탈출하다 태풍을 만나 무인도에서 생활

                 -벌거벗은 채로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인물(야만, 유색인종 상징 원주민)에게 이름 지어줌

                 - 칼리반cannibal 식인의

                 - "야만인 네 녀석이 자기 뜻을 못 알리고,

                    가장 못난 짐승같이 중얼중얼했을때

                    나는 네 의도에 언어를 부여했어"··

            · 원주민 이름 박탈하고 유럽의 언어로

               식인행위 연상 '칼리반' 지어준 의도

                → 주인-노예 관계 암시

            · 아프리카 사람들을 야만인으로 보게 한

              핵심적인 작품

 

      - 타자화의 사례(인류학에서 타자화)

            · 유럽인들에게 아프리카는 '진화의 변증법'이 멈춘 곳(야수, 반인반수, 괴물) *반신반인

            · "지구 상에 거주하는 서로 다른 종들의 분류"(1684) 프랑스 내과의사 프랑수아 베르니에

                 외모(골격, 두개골, 입술두께)로 인종 구분

                 신체조건으로 우열 가리는 19세기 인류학적 타자화

                    → (간접적으로) 유럽인 신체적 우월성 → 다른 인종 지배 정당화

 

      - 일본(유럽 제국주의 노하우 베끼기,  한·중·일 인종 구분 어려워 → 더 세밀 · 악랄 방법 사용 

            · 일제강점기 통치방식 - 문화 정치

                      "조선인을 미개하다"

                     (위생) "조선인은 더럽다" → 상투, 수염

                     조선인들이 튼튼한 이유

                          ① 생활풍습이 비위생적이라 약한 자들 모두 죽었기 때문

                          ② 미개해서(정신노동 안 해서)

              · 경복궁 안에 조선총독부 건물 건설 - 사용(김영삼 대통령 때 철거)

              · 한글 사용금지(초등학교 사용 시 (친구) 벌점 딱지 빼앗기)

              · 조선의 역사, 문화 교육 금지

              · 창씨개명 시행( 막다른 이야기 - 성을 간다, 호적에서 파버 린다)

              · 신사(천황) 참배 강요 → 우리나라 1000곳 ↑

              · 토지조사사업(세금 부과 목적) 및 강탈(주인 안나타는 땅 강제 귀속)

              · 있으면 착취

                     인구 3,000만 명 중 740만 명 - 극한 노동자(탄광, 부두 하역), 징용, 위안부

                     구리 놋쇠 수집(함정 부속품 제조? - 놋그릇, 제기)

                     쌀(소작 제도 - 자격기준 5인 1팀-소작 농간 연대보증, 경쟁체제)

                         지주 : 소작농 분배 비율 50 : 50 ··· → 80 : 20,  농사용품 저가 구매  고가 판매

              · 없으면 만들어 착취

                     송진채취 → 마을단위 할당량(송탄유 - 군함 연료 사용?)

                     양귀비 재배(일본 - 양귀비 재배 어려움?) → 의약 물자(모르핀)

 

       - 아프리카 대표적인 타자화 희생양 '사라 바트만sara baartman' 

            · 남아프리카 출생(1789) 작은 키 큰 엉덩이가 특징 "코이산족 여성

            · 코이산족 신체특징(유럽에서 인종 전시-돈벌이) ← 영국 군의관 던롭 

            · 런던 쇼걸( 20세. 최소 복장 → 영국 대중문화 최고 인기)

            · 파리에서 전시(완전 나체, 자연사 박물관에서)

                → 다른 인종 보여주며 아프리카인 열등한 존재로 타자화

            · 타국에서 5년 만에 사망

                (사라 바트만 시신 해부 프랑스 동물학자 조르주 쿼비에)

                생식기 적출 → 열등한 인종일수록 소음순이 발달해 있다

                                    (소음순 크면 윤리적 방탕)

                뇌 적출 → 뇌 작아 형이상학적인 사유를 못한다

                적출 신체 유리병에 담기고, 시신 석고 본떠 187년간 전시(프랑스 자연사박물관)

                                                      출처 the film the life and times of sara baartman 

            · 만델라 정권(1994) 국책사업 → sara baartman 유해 반환 요청(8년간 외교전)

                 프랑스  "식민시대에 획득한 유물은 우리의 문화재,

                           문화재는 헌법을 바꾸지 않는 한 돌려줄 수 없다"

                 다이애나 퍼러스 diana ferrus (코이산족 후손) → 프랑스 상원의원들 감동시킴

                             

                                         나 당신을 고향에 모시러 왔나이다(일부)

                                                                        다이애나 퍼러스

 

                                       나 당신을 해방시키러 여기 왔나이다

 

                                       괴물이 되어버린 인간의 집요한 눈들로부터

                                        제국주의의 마수를 가지고

                                        어둠 속을 살아내는 괴물

 

                                        당신의 육체를 산산이 조각내고

                                        당신의 영혼을 사탄의 영혼이라 말하며

 

                                        스스로를 궁극의 신이라 선언한

                                        괴물로부터··

             

                유해 반환 결정(2002년 5월) 200년 만에 남아공으로 돌아온 사라 바트만

 

   - 부시맨(영화)

            · 코이산족 = 코이족 + 산 san족(부시맨) - 남부 아프리카 밀림에서 수렵과 채집, 가장 오래된 전통 가진 부족

            · 하늘에서 떨어진 콜라병 때문에 혼란 겪는 원주민 모습을 우스꽝스럽게 연출(미개한 존재)

            · 산족 생활철학(미개 이미지 반전 = 미개인이 아니라는 증거?)

                    ① 야생열매 딸 때는 반드시 씨앗이 될 만큼은 남겨둔다

                    ② 물을 마시러 오는 동물을 위해 우물 근처에는 절대 덫을 놓지 않는다

                    ③ 동작이 굼뜬 동물은 노인에게 사냥할 기회를 주기 위해 잡지 않는다

                    ④ 족장(추장) 없이 누구나 평등한 사회를 이루며 살아간다

 

           · 코이산족들의 생활철학이 드러나는 시(구전) - W.H. 블리크 채록

                      

                     할아버지 오두막에서 잠을 잘 때마다

                     나는 늘 그 곁에 앉아있곤 했지

                     내가 듣은 소리에 대해

                     꼭 누군가 말하는 소리처럼 들렸거든

                     할아버지는 말씀하셨지

                     별들이 수군대는 소리라고

                     별들이 '차우!'라고 수군대는구나

                      '차우! 차우!'라고 말이야

                      이 소리는 별들이 내는 소리야

                     별들은 여름에 수군대는 걸 좋아한단다

 

3. 아파르트헤이트(분리, 격리 - 아프리칸스어 - 네델란드어의 한 종류) (1948-1994) 인종차별청책

        - 남아프리카공화국 국민당 백인정권 잡음(1948, 7대 총리 헨드릭파르부르트 - 아파르트헤이트 설계) 

        - 남아공 거주 소수 백인(네델란드인 - 남아공은 내 땅) 기득권 유지 위해 실시한 인종차별정책

        - (단순히) 생활 분리 넘어 제도적 분리

              · 주민등록증, 인종 등록법 제정(1950)

              · 흑백 간 성관계금지법 제정(1950)

              · 유럽인만 앉을 수 있는 벤치--- 등

 

        -  소웨토 항쟁(1976,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학생들이 벌인 시위)

              · 시위 진압(무차별 총격) 700명 사망

              · 만델라 대통령 취임 전(1994)까지 46년간 지속

                      (아파르트헤이트를 평화롭게 종식시킨 흑인 인권운동 상징)

                      비폭력 저항, 무장투쟁, 27년간 옥고

                      취임연설(1994)

                        "다시는 이 아름다운 나라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무시당하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 '진실화해위원회'(아파르트헤이트 시절의 정치적 범죄를 고백할 경우 죄를 사면해 주기 위해 설립한 기구)

                      남아공의 발전을 위해 흑백 간에 화해를 도모

                      (우리나라 5.18 계엄군 희생자 유족 찾아 41년 만에 눈물의 사죄 - 성과 미흡)

 

 

4. 아프리카 독립항쟁(목숨 건 저항과 희생)

        - 영국군에 맞서 승리한 줄루왕국 - 케취와요 캄판데(1879)

        - 100년 가까이 영국과 전쟁 벌인 아산티 왕국(1823 - 1902)

        - 이탈리아 격퇴한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

        - 일제리 독립에 헌신한 프란츠 파농

        - 가나 독립의 아버지 콰메 은크루마

 

 

5. 아프리카의 꿈(아프리카 합중국)

        - 모든 것을 뛰어넘어 아프리카(55개 국가)가 하나 되는 것(←유럽연합)

        - 통합 교통망, 공통 여권, 분쟁 종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