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들놓기

구들 놓는 순서와 방법

자연치유캠프 2015. 12. 10. 16:09

구들 놓는 순서와 방법

세로 규준 틀 매기를 하면서 아궁자리 연도 굴뚝자리를 먼저 선정한다.

아궁자리는 재 거르게를 설치하는데 큰방에는 역기(逆起) 벽으로 축조하므로 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총 높이 1550mm에서 화구는 높이 400mm/ 돈산(頓散) 축열판은 500mm/ 구들장은 50mm/ 를 제한 남은 높이는 역기(逆起) 벽으로 축조한다.

연도는 일반 연도로 할 것인지 대동연도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일반 연도로 할 경우에는 연도가 설치될 곳에 세로 규준틀을 매고 구들장50mm아래로 1자반(450mm)아래가 연도의 상단으로 한다.

연도의 규격은 가로200mmX세로400mm로 할 수도 있고 300mm외관에 200mm내관을 장착한 이중연도로 한다.

굴뚝은 연도상단 위의 높이로 굴뚝대로 세우며 연도 상단인 온기와 연기 충 아래에 굴뚝개자리를 만든다.

굴뚝개자리에 머무는 냉기와 습기를 뺄수 있는 좌침관을 설치하되 일반적으로는 개자리로 연결하되 굴뚝개자리의 좌침(挫沈)관은 150mm로 한다.

굴뚝대는 중간방가지는 구경의 폭을 200mm로 하고 보온을 하든지 아니면 외경300mm속에 200mm내관을 장착한 이중연도로 한다.

굴뚝 대에 댐퍼등을 달아 고래 속의 대류순환을 억제하여 축열이 오래 가게 함이 좋다.

굴뚝개자리를 통이나 옹기로 할 경우에는 밑바닥에 구멍을 뚫어 배수가 되게 해야 한다.

부넘이는 생략하되 그 높이만큼 축열 돈산판을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래바닥은 고래 속의 냉기와 습기가 윗목으로 잘 흐르도록 윗목으로 갈수록 비탈지게 한다.

아궁의 머릿돌은 실내에 시근담과 30mm폭의 마른흙을 채울 수 있게 최소한100mm는 노출되게 해야 하고 건물외부에는 50mm가 노출되게 해서 벽체에 거으럼이 묻지 않게 해야 한다.

아궁의 화열이 고래 윗목과 방 양 측면으로 잘 가도록 구들장을 점차로 높게 덮어야 한다.

큰방일 경우 고래바닥은 수평으로 하되 고래 높이가 200mm를 넘지 말아야 한다.

시근담과 주류둑은 같은 높이로 하되 벽돌 쌓기보다 흙+시멘트+자갈로 하는 흙콘크리트로 해서 틈새가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

시근담과 주류둑에 구들장을 덮을 때는 벽체에서 30mm~50mm를 띄우고 주류둑위에 주류판을 설치할 때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큰 방일 경우 고래 높이를 200mm로 할 경우 주류둑 앞에 200mmX200mm의 봇또랑(衄落溝)을 설치한다.

개자리는 주류둑과 벽체 사이에 설치하되 폭200mmXㅅ깊이500mm를 표준으로 하되 되동연도의 저온배연로를 설치할 경우 조금 더 깊이 해야 한다.

대동연도의 저온배연로 입구의 위치는 주류둑길이의 중간으로 하는 것을 표준으로 하되 방의 모양과 아궁의 화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저온배연로의 입구 위치를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대동연도일 경우 고온배연로와 저온배연로의 층 나누기 구들장 덮기는 사춤과 복토로 연기가 새나지 않게 해야 한다.

좌침관(挫沈管)의 매설위치는 연도아래로 하되 주류둑 중앙으로 하는 것을 표준으로 하되 좌침관의 끝부분은 구들구조에서 가장 낮은 아궁바닥아래로 연결해서 밖으로 노출되게 하되 좌침관이 꺽여 오르는 부분에는 배수가 되게 구멍을 뚫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좌침관에 물이 고이면 좌침관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큰 방(9mX4m)일 경우 관통로의 비트를 설치하되 함실아궁(400mmX1200mm)에 연결하되 함실바닥 위로 300mm를 더 올려 관통로 비트를 규격 폭300mmX높이200mmX길이1500mm정도를 연결해서 아궁의 화열이 식지 않게 해서 윗목으로 가게 해야 하되 구체적인 축조는 표준도면에 의해서 축조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열기 상추(相推)관을 설치하되 구경 200mm의 원통을 매설하되 경사도는 표준도면에 의해서 매설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역기(逆起)벽을 높혀 아궁의 화열이 역행(力行)되게 하되 그 축조방법은 표준도면에 따라 축조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돈산판은 일반 돈산판을 지향하고 설치위치는 함실아궁을 지나 관통로 상단에 눞혀서 축조하되 표준도면 따라 축조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아궁에서 고래로 들어가는 관통(管通路)로까지의 기울기는 역행(力行)되게 해서 아궁의 화열이 식지 않게 바로 고래 깊숙히 들어가서 윗목도 따습게 하되 기울기의 각도는 표준 도면에 의해서 축조한다.
무운(無耘)구들연구소ⓒ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 주셔야 저작권 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무운(無耘)구들연구소ⓒ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 주셔야 저작권 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큰 방(9mX4m)일 경우 주류둑의 설치 길이는 짧게 해서 주류둑 내부의 냉기와 습기가 빠르게 개자리로 가게 해서 윗목에 화열이 빨리 도달하여 윗목이 따습게 하되 주류둑의 길이는 표준도면에 의해서 축조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좌침관 매설의 위치는 연도아래와 주류둑 길이의 중간부분에 설치하되 좌침관은 화열상추관 아래에 묻되 서로 닿지않게 하며 기울기는 기와 물매의 가장 배수가 빠른 기울기를 적용하되 구체적인 매설방법은 표준도면에 의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연도는 반드시 이중관으로 매설하되 돈리관으로 설치함을 원칙으로 해서 온기 연기와 냉기 습기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되 구체적인 매설방법은 표준도면에 의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굴뚝의 설치는 연도의 길이를 되도록 짧게 해서 온기가 굴뚝으로 배출되게 해야 하며 굴둑대는 보온을 하든지 이중 굴뚝대로 함을 원칙으로 하되 구체적인 굴뚝대의 구경과 길이는 표준도면에 의해서 축조한다.

구들장 덮기의 순서는 윗목에서 아래로 하되 가장 먼저 주류둑과 연결된 부분을 먼저하고 다음에 방벽에 붙혀서 ㅁ 음자로 덮고 남어지는 가장 늦게 하면서 조각 구들장을 함실상단에 넣어 마무리 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굴뚝의 위치가 아궁 옆으로 가게하는 대동연도로 할 경위 큰방에는 저온배연로가 최소 11m의 긴 저온배연로가 되므로 중간에 냉습이 머물수 있는 공간(깊이 200mmX200mm 깊이 500mm)을 저온배연로 바닥에 설치하되 구체적인 설치방법은 표준도면에 준해서 매설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방 따습기가 전후 좌우가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화정판을 설치하되 화정판의 블록은 두께50mmX150mmX300mm로 하되 구체적인 설치방법은 표준도면에 의해서 축조한다.

큰 방(9mX4m)일 경우 불을 지피지 않는 기간에는 고래 속에 습기로 인해 고래가 썩지않도록 항풍구를설치하되 구체적인 규격과 설치위치는 표준도면에 의해서 축조한다.

(김명환)sowoozee@hanmail.net
무운(無耘)구들연구소ⓒhttp://www.gudeu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