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법 36가지 계책 병법 36가지계책(손자병법36계×, 단공36계? 송나라 단도제?) 여러곳에서 / 해년을 건너 모아 쓴 것 각각의 계 의미를 상세히 아는 사람 적어 승전계(勝戰計, 제1계∼제6계) 충분히 승리할 조건을 갖췄을때 적을 압도하는 작전제1계. 만천과해(瞞天過海) : 하늘을 가리고 바다를 건너다.- 주도.. 손자병법과 경영 2018.03.16
손자병법 제1편 시계 손자병법에 들기전 알아야할 상식 ------------------------------------------------- 1. "손자병법" 손자(손무) 2500년전 동양 전쟁의 최고 고전 제1편 시계 ∼ 제13편 용간 2. "전쟁론" 클라우제비츠 서양 전쟁 이론사상 최고 고전 3. 전쟁개념의 변화 · 산업화시대 화력의 한계, 정보 · 통신력↓, 기동력.. 손자병법과 경영 2018.03.06
손자병법 제13편 용간(用間) 손자병법(제13편) 用間(용간) - 간첩의 중요성과 다루는 방법 1. 간첩의 중요성 - 여덟가구가 함께 거주하고, 한집에서 군대에 나가면 다른 일곱집이 그집을 먹여살렸다. 그러므로 10만 대군 출전하면, 70만명은 먹여살리기에 바빴다(백성피폐, 재정↓) 부득조사자 칠십만가 不得操事농사者 ..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
손자병법 제12편 화공 손자병법(제12편) ; 火攻(화공) - 불로 공격하는 방법 불과 물은 누구를 가리지 않고 적은 인원으로 큰 효과 낼수 있는 전술(다양하게 이용) 손자병법 - 수공 언급없슴 1. 화공의 5가지 방법 孫子曰, 凡火攻有五 一曰火人, 二曰火積, 三曰火輜(치), 四曰火庫, 五曰火隊 ① 사람을 태우는 것(막..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
손자병법 제11편 구지(九地) 손자병법(제11편) ; 구지(九地) 아홉가지 전쟁터의 형태 1. 九地란? * "九"란 "아홉"이 아니라, 높다 · 깊다 · 많다 의미임 인적요소와 지형적요소를 고려해 전술을 찾고, 결정 지형편과 비슷한 내용이 많으나 좀더 실질적인 지휘원칙을 설명 2. 아홉가지 전쟁터의 지형이 있다 ① 산지(散地)..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
손자병법 제10편 지형 손자병법(제10편) ; 地形(지형) 1. 여섯가지 지형(地形 땅의 형태)의 종류 ① 통형(通形) 사방팔방 통하는(교통편리) 먼저 높은 양지 점령하고(사방공격의 방어)선거고양 (先居高陽) 군량미와 보급로를 확보하고 싸우면 유리 ② 괘형(挂거는形) 앞은 평평, 뒤는 험해(장애물) 들기쉬워도 나기..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
손자병법 제9편 행군 손자병법(제9편) ; 行軍(행군) 行軍이란? ; 다양한 지형·정세에 따른 부대관리와 전술적 운용 요령 (32개의 징후에 대한 행동추론과 대응방법) 1. 산지·하천·척택지·평지에서의 용병원칙(四軍之利) - 산지 · 골짜기를 가까이함은 물과 풀을 먹이고, 지세를 이용하여 방어(골짜기를 앞에..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
손자병법 제8편 구변(九變) 손자병법(제8편) ; 九變(구변) 九變이란? ; 복잡 다양 상황(九)-능동적, 빠르게 대처(變)하는 전술 (지휘관결정권-군주명령 무조건 수용×, 임기응변) 1. 지형에 따라 대처를 달리한다(입지 중요성과 조치) - 골짜기·숲(험준) 늪·호수(행군불편) → 주둔×(비지무사 圮地無舍) - 큰길 사방으..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
손자병법 제7편 군쟁 손자병법(제7편) ; 軍爭(군쟁)-유리한 시기와 지세를 얻기위한 전쟁 1. 軍爭이란? ; 불리를 딛고, 승리를 쟁취하는 방법들! - 기선제압이 얼마나 중요한가 - 기선 제압방법 · 용병이란 속임으로써 성공하고, 이로움을 따져 행동하며, 때로는 병력을 분산시키기도 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 대..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
손자병법 제6편 허실(虛實) 손자병법(제6편) ; 虛實(허실) 1. 虛實이란? ; 허한 곳을 노리고 실한 것은 피하라! - 李衛公問對(이위공문대) 당태종(이세민) - 이정(장군) 문대형식 병법서(7대 병서중 하나) 唐太宗曰 十三篇 無出虛實 손자 13편중 '허실편'보다 나은 것은 없다! 2. 먼저가서 기다리면 편하다! - 사소한 약속도 .. 손자병법과 경영 201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