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
법가사상 → 순자의 제자 한비자에 영향(법가사상 집대성)
춘추전국시대, 진나라-동방 6국 통일, 약육강식, 생존과 패망(죽음)
한나라(열악했던) 왕실 서자출신 비주류
- 성악설(군주 - 사람을 믿으면 제압당한다)
- 법치주의, 군권론, 중농주의, 현실주의자
- 이상 편중서이민민맹지도(便衆庶利民萌싹之道)-백성이익 우선
- 진시황 · 한나라 무제 · 제갈공명 → 법가사상 중시
- 제갈공명(유비 유언→아들 유선 잘 보필, 안되면 네가 왕해)
유선에게 충고 2가지 → 한비자 읽기, 신상필벌
법가 사상가 대부분 비참
- 상앙(진나라 법가 전통 세움) → 왕 죽자 기득권에 의해 거열형
- 오기(법가 선구자) → 기득권자(귀족)의 수많은 화살 맞아 죽음
- 한비자 동문수학 친구(이사-진나라 재상) 모함 → 감옥에서 독살
한비자의 치명적 약점
- 왕만을 위한 모사 → 절대권력 폐해에 침묵
친인척, 신하, 백성 힘들어→ 왕 이외는 숨 쉴 틈 없는 경직
- 인간의 다양성 무시-획일화→인간은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
- 변해가지만 변하지 않는 역사에 대한 인식 부족-부정적 시각
"가슴에는 논어, 머리에는 한비자"
------------------------------------------------
한비자 오두편五蠹좀 編
-----------------------------------------------
"공자는 천하의 성인으로 행실을 닦고 도를 밝히고 천하를 돌아다녔다.
천하 사람들은 그가 말하는 인을 좋아하고 그 의를 칭찬했지만,
인을 귀하게 여기는 자는 적고, 의를 실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천하는 크지만 복종하는 자는 일흔 명(제자) 뿐이었고,
몸소 실천하는 자는 공자 한 사람뿐이었다"
← 한비자 실용주의자(이상 찾는 상고尙古주의 부정)
수주대토 守株그루터기待兔
농부(유가, 묵가, 도가-제자백가) 밭 가는 중,
토끼가 밭 가운데 그루터기에 드리 받고 목 부러져 죽음
→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또 부딪쳐 죽기를 기다린다
오두(나라 망치는 다섯 좀벌래)
---------------------------------------------
1. 학자 2. 유세자, 3. 협객 (과거지향적 사고)
→ 유가(인의 도덕) - 주나라 문왕, 주공 시대
→ 묵가 - 대우 시대 요순
→ 도가 - 태고시대 원시부족사회
4. 측근 - 왕의 권위를 위협하는 세도정치가
5. 상인 - 일하지 않고(농업-자급자족), 사회 부를 빼앗는 도둑의 무리
직공 - 농기구, 무기보다 사치품↑ 제작
----------------------------------------------
"성인은 굳이 옛 도를 닦아 지키려 하지 않으며, 항상 예전에 알았던 것을 법으로 삼지 않고, 세상의 일을 논하여 그것에 적절한 대비책을 세우는 법입니다."
진나라 마부 왕양 단숨 천리마 차
- 1인, 다시 나기 어려움 - 나길 기다려?
- 평범한 마부로 천리 편지 전하기
보통사람들을 위한 나라를 어떻게 설계해야 성인이 다스리는 효과 날까?
법으로 세를 얻으면 다스릴 것이고(抱法處勢即治) 법을 등져 세를 잃으면 혼란할 것이다(背法去勢即亂)
사회에는 제도(시스템)의 보장이 있어야 합니다.
제도(시스템)의 작동하에서는 군주가 평범한 사람일지라도 성인이 다스리는 것과 같은 정치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인간 이기적, 이해관계 → 적절한 통제(상과 벌-두 개의 칼자루) → 효과적 다스림 가능(법)
인간의 본성( = 이익에 얽힌 이해관계)
-----------------------------------------------
1. 부부 사이에도 이익의 충돌이 존재하고, 이익을 따진다
부인 소원 비단백 필 빌어, 비단 많을수록 좋지(남편) 더 많으면 첩 얻을 것
2. 오기(오자병법 저자, 76번 싸워 한 번도 패한 적 없음)
- 부자지병 父子之兵 = 승리 강조
- 병사 종기 고름 입으로 빰 → 소식 듣고 엄마 움
→ 남편(오기-고름 빨아줘 )- 용감 싸우다 죽어 ← 아들도 그럴 것
빰 목적 → 충성심, 감사하는 마음 얻기(이타 행위 ×, 이기 행위 ○)
3. 희공왕 목욕 욕조안에 돌멩이 하나
→ 선배 몰아내고, 일 차지하려고(속임수)
4. 정나라왕 무공 권모술수
호나라 정복 위해 딸 금은보석 잔뜩 실어 시집보냄
어느 나라 쳐야 하나? 신하들에 떠봄 → 호나라(힘↓공격 의견 당연)
호나라 공격 의견 신하 목 침(어떻게 사위 호나라 치나?)
호나라왕 방심(목침 소식 듣고) → 공격 정복
5. 제나라 왕 환공 여색↑, 질투심↑, 미식가
- 수조 → 신임 얻기 위해 스스로 거세
- 역마 → 큰아들 삶아 바침
- 수조 + 역마 → 환공 죽임, 방치(구더기가 문틈으로 기어 나옴)
6. 제나라 위왕 왕비 사망, 첩 10명
- 왕비 추천
- 설공 귀걸이 10개 첩들에 주시라 만들어 올림 (1개는 특별히 아름답게 만듦)
- 귀걸이 왕비 추천 부귀 얻음(왕-맘에 들고, 새 왕비-공로 인정)
7. 장의사 관 팔기 사람 죽길 바람 → 잔인 ×, 이익↑
------------------------------------------------
한비사상(제왕학의 성전? → 상앙, 신불해, 신도의 주장 통합)
--------------------------------------------
1. 법法 - 백성이 지켜야 할 규범-일부 백성은 규범 안 지킴(상앙)
엄한 법, 후한 상, 법령 집행
2. 술術 - 군주가 신하와 백성을 조정하는 기술-술수(신불해)
3. 세勢 - 법·술을 집행위해 군주가 가져야 할 강력한 힘(신도)
--------------------------------------------
성군은 법에 맡기지 인간의 지혜에 맡기지 않는 법입니다
그런 뒤에야 자신이 안정되고, 천하를 다스리게 될 것입니다
(법치주의)
법의 적용(엄격 · 평등 · 신뢰)
1-1. 엄격(엄격함이 관대함보다 낫다)
--------------------------------------------------
1-1-1 불은 뜨거워서 사람들이 멀리서 바라보며 두려워하므로, 타 죽는 경우가 적습니다.
물은 유약해 보여서 사람들이 얕보고 장난치다가, 익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1-2 관대함은 성왕만이 할 수 있는 어려운 통치술( 보통사람은 나라를 난세로 몰아넣어 )
1-1-3 무거운 형벌 - 범법↓, 가벼운 형벌 - 범법↑ 상앙의 저서 상군서
1-1-4 형벌 줄이거나 용서 × 한비자
--------------------------------------------------
1-2. 평등(예외 없음-법이 궁극적 기준)
--------------------------------------------------
1-2-1 법 앞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동등대우).
법은 귀인이라고 아부하지 않으며, 먹줄은 굽음에 따라 휘어지지 않는다(예외 없는)
1-2-2. 공직자들이 법대로 집행하지 않고, 자기 기분이나 취향에 따른다면, 이는 직권을 남용하는 것.
공직자가 권력을 남용하면 시스템의 합법성이 무너진다.
사람들이 법을 존중하지 않고, 법을 지키지 않게 될 것이다
-스콧셔피로 예일대 로스쿨 교수-
--------------------------------------------------
1-3. 신뢰
-------------------------------------------------
1-3-1. 상앙
3장 길이 장대를 남문에서 북문으로 옮기기(신뢰 쌓기) → 거액 보상
--------------------------------------------------
1-4. 법의 집행에서 생기는 문제
-------------------------------------------------
1-4-1. 성실해서 잘되던 마을 술집 술 쉼(장사 안돼서)
이유? → "그 집 개가 사나워서 술이 쉰다" 마을 어른(양천)
군주가 바로 백성을 다스릴 수 없어진다.
신하(군주 ↔ 백성 왜곡하고, 가로막는 존재) = 사나운 개 = 기득권 세력 = 개혁 반대세력)
-------------------------------------------------
2. 술 術
- "군주의 권력(정치)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 또는 기술"
- 군주가 어떻게 신하나 백성을 통제하느냐의 방법
- 법막여현法莫如顯 술복욕견術복欲見
"법은 최대한 사람들에게 알려야(최대한 명확, 최대한 멀리),
술術은 최대한 사람들이 모르게 해야"
2-1 유반(有反) 상황판단이 안될 때는 상반되는 이해를 살펴라
2-1-1 요리사의 구운 고기와 머리카락
저의 아랫사람 중 누군가 저와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자가
있을지도 모르는 것 아닙니까?(시기하고, 자리 차지하려는 자)
2-1-2 "군주가 신하를 다스릴 때 항상 → 신하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반드시 그 반대편에서 이익을 얻는 자가 존재한다.
그러니 그자를(잘못 한자) 쉽게 문책하려들지말고
그 반대편에서 이익을 얻는 자가 누군지 살펴서,
그자를 찾아내는 것이 군주의 역량이고 자질이다"
그것들을 제대로 살피지 못하면 군주의 리더십은 타격을 입는다.
2-2 협지 挾智 지혜를 감춰라(속내 감추기)
2-2-1 모든 술의 핵심, 군주의 역량-속마음 들키지 않기가 전부 → 속내 못 감추면 이용당함
2-2-2 손톱 하나 감추고-잃어버린 척 신하들 호령(테스트) → 놀란 신하들 손톱 찾기
- 제가 찾았습니다 → 바닥에서 줍는 척 몰래 자신 손톱 잘라 줌
- 찾을 수 없다며 왕의 기분 상할 위험 감수-정직한 신하
신뢰할 수 있고, 위험 감수하는 사람 찾기-왕의 기술
2-3 참관 參觀 여러 사람의 말을 참조하고, 관찰하라 → 모두 찬성하는 정책(=좋은 정책 ×)
"무릇 남과 상의한다는 것은 의심스럽기 때문이며,
의심스럽다는 것은 정말 의심스러운 것이어서
그것을 옳다고 여기는 자가 절반, 옳지 않다고 여기는 자가 절반이 되는 것이지요.
지금은 나라안 사람들 전부 옳다고만 하니, 왕께서 절반을 잃으신 셈입니다.
본래 군주를 위협하는 자는 그 절반을 제거하는 법입니다"
왕의 고립 = 위험상황
2-4 일청 一聽 하나하나 듣고 판단하라(복지부동 무임승차 방지)
- 300명 피리불기(남곽처사)
- 두리뭉실 일 맡기기 안됨
→ 구체적, 각각의 권리·책임 명확해야 시비곡직에 따라 공적과 과실을 판단
- 일청책하 一聽責下 일일이 듣어보고 개개인마다 확인하고,
시찰하여 그들의 공적과 과실을 확정해야
→ 가장 효과적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관리하는 방법
안 그러면 일안 하면서 자리 차지하고, 간교한 속임수 부릴 것입니다.
-쑹훙빙 인민대 국학원 교수-
이중성 제거방법
자신 능력 왜곡 → 처벌 = 가능한 한 정직하게 자신 표현
-폴골딘 펜실베니아대 중국사상교수-
한비자 망징亡徵편(상, 하)
-------------------------------------------------
- 망할 수 있다(可亡). 흥망의 분기는 그 다스려짐과 어지러움,
강함과 약함이 서로 어긋나는 데에 있다.
- 나무가 부러짐-벌레 갉기, 담장 무너짐-균열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무에 벌레가 살아도
태풍이 아니면 부러지지 않으며, 담장에 균열이 있어도 폭우가 아니면 무너지지 않는다.
- 대부분 역사적으로 일어났던 일들(전국에서)
이후에도 실제 일어남 ← 인간 욕심 끝이 없고, 같은 실수 반복.
- 한비자 → 47가지 징조가 보인다고 반드시 망하는 것은 아니지만,
징조가 내게 있다면 빨리 고칠 것이고, 남에게 있다면 기회를 놓치지 말고 때려잡아라"
------------------------------------------------
- 무릇 임금의 나라는 작은데 대부의 식음은 크고, 임금의 권위는 가벼운데 신하의 권세가 무거우면 망한다.
- 법령을 깔보고 모략에만 힘쓰며, 국내가 황폐하여 원조에만 의지하면 망한다.
- 신하들이 학문만 익히고 공자들이 논쟁만 즐기며, 상인들이 저축만 하고 백성들이 곤궁해지면 망한다.
- 궁궐과 누각과 정원을 만들기 좋아하고, 수레와 의복과 사치품과 예술품을 좋아하여 백성을 괴롭히고 재화를 낭비하면 망한다.
- 미신을 쓰고 귀신을 섬기며, 점술을 믿고 제사를 좋아하면 망한다.
- 신하들의 의견을 받으면서 많은 사람들의 말을 비교하여 알아보지 않고 오직 한 사람과만 소통한다면 망한다.
- 관직을 구하기 어렵고, 벼슬을 돈으로 살 수 있다면 망한다.
- 너그러워 성취하지 못하고 유약하여 결단하지 못하며, 좋고 싫음을 결단하지 못해 자립하지 못하면 망한다.
- 탐욕이 지나쳐 만족하지 못하고, 이익을 가까이하여 얻기 좋아한다면 망한다.
- 잔혹한 형벌을 좋아하여 법을 고르게 적용하지 않고, 논쟁하기만 즐겨서 그 실용에 힘쓰지 않고, 아름다운 문장에 빠져서 그 공로는 돌아보지 않으면 망한다.
- 천박하여 알기 쉽고, 누설되어 감추지 못하고,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고 신하들의 말을 옮기면 망한다.
- 너무 드세어 화합하지 못하고, 간언을 무시하고 이기기만 즐기며, 사직은 돌아보지 않고 경솔히 자신이 믿는 대로 한다면 망한다.
- 외교에 의지하여 이웃나라를 깔보고, 강대국의 원조를 믿고 가까운 나라를 업신여기면 망한다.
- 객지에서 더부살이하는 선비가 가족과 재산을 국외에 둔 채로 위로는 국책에 간여하고 아래로는 치국을 함께하면 망한다.
- 백성이 그 재상을 믿지 않고, 아랫사람들이 그 상전을 받들지 않는데도 임금이 총애하고 신뢰하여 내치지 않는다면 망한다.
- 국내의 인재는 쓰지 않고 국외의 선비만 구하며 공을 세우도록 시험해보지도 않은 채 명성만 듣고 쓰거나 떠돌이들을 예우해서 원로들을 업신여기면 망한다.
- 적자를 경시하고 서자와 대등하게 삼으며, 태자가 정해지지 않았는데 군주가 죽으면 망한다.
- 임금이 마음으로 수치를 모르고, 나라가 어지러운데 자만하며, 국내의 재정은 살피지도 않고 이웃의 적을 쉽게 여기면 망한다.
- 나라가 작은데도 겸손히 처신 히지 않고, 힘이 적은대도 강국을 겁내지 않으며, 무례해 큰 이웃나라를 업신여기고, 탐욕스러워 외교 하는 데 졸렬하면 망한다.
- 태자를 이미 정했는데 강성한 적국에서 후처를 맞아들이면, 태자는 위태로워지고 그러면 신하들은 마음을 바꿔먹을 것이니 망한다.
- 겁이 많아서 주장이 약하고, 짐작은 하면서도 성정이 우유부단한 나머지 그래야 하는 줄 알면서도 결단을 내려 감행하지 못하면 망한다.
- 군주가 국외에 나가 있는데 국내에서 임금을 바꾸거나, 볼모로 나간 태자가 돌아오지 않았는데 군주가 태자를 바꾸어서 국론이 분열되면 망한다.
- 대신들을 능욕하여 그들을 업신여기고, 백성들을 주륙 하여 부림이 가혹하면 원한을 품고 수치 룰 새기니 이것이 거듭되면 적이 생기고, 적이 생기면 망한다.
- 두 대신의 권세가 막중하고 친족들의 세력이 강하여, 안으로 당파를 이루고 밖으로 원군을 빌어다가 힘을 다투면 망한다.
- 시녀와 후궁의 말에 귀 기울이고 총신과 측근의 꾀에 따라서, 안팎으로 슬픔과 탄식이 가득한데도 거듭 법을 어기면 망한다.
- 대신을 업신여기고 친족에 무례하며, 백성을 괴롭히고 무고한 사람들을 잡아 죽이면 망한다.
- 꾀로써 법을 곡해하기 좋아하고 사사로운 일로 공공의 일을 그르치게 하며, 법령을 쉽게 바꾸고 자주 휘하에 호령하면 망한다.
- 국방이 튼튼하지 않고 성곽은 허술하며, 축적된 것이 없고 재물은 적어서 싸우고 지킬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 가볍게 적을 공격하면 망한다.
- 왕족들이 요절해 군주가 잇따라 죽고 어린애가 임금이 되어 대신이 전횡하며, 떠돌이를 등용하여 당파를 만들고 거듭 국토를 떼어 원조를 바라면 망한다.
- 태자가 존경받고 부각되어 그를 따르는 세력이 강해지고 강대국과의 교섭이 빈번하여 일찍부터 위세가 갖추어지면 망한다.
- 임금이 소심하고 성급하여 아무 일에나 쉽게 흔들리며, 상황에 대한 이해득실을 헤아리지 못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식견이 없으면 그 나라는 망한다.
- 군주가 분기가 많아 군사를 즐겨 일으키면서 산업을 가벼이 여기고 전쟁을 쉬이 일으키면 망한다.
- 귀족들이 서로 시기하고 대신들의 힘이 융성하여 밖으로 적국에 빌붙고 안으로 백성을 괴롭히며 원수를 공격하는데 군주가 주륙 하지 않으면 망한다.
- 임금이 불초한데 측근이 현명하고, 태자가 가벼워서 서자가 대항하며, 관리가 약해져서 백성이 발호하면 이로써 나라가 혼란해지니 나라가 혼란해지면 망한다.
- 분노를 감추고 드러내지 않으며, 죄 있음만 드러내고 처벌하지 않아서 신하들이 내색하지 않아도 근심하고 두려워하여 언제 어찌 될지 몰라하면 망한다.
- 군대의 장수에게 너무 큰 권한을 주거나 변방의 수령에게 너무 높은 지위를 주어서 법을 남용하여 전횡하거나 군주의 명령에 따르지 않게 되면 망한다.
- 왕후가 음란하고 모후가 추잡하면 안팎이 뒤섞여 통하게 되고 남녀의 분별이 없어지니 이에 군주가 둘이라고 하는데, 군주가 둘이 되면 망한다.
- 왕후가 천하고 빈첩이 귀하며, 태자가 낮고 서자가 높으며, 재상이 가볍고 서리가 무거우면 이에 따라 안팎이 어그러지니, 안팎이 어그러지면 망한다.
- 대신이 지나치게 귀하여 당파가 강해져서 군주의 판단을 가로막고 나라를 제멋대로 하면 망한다.
- 권문세족이 잉용되어 유공자가 밀려나고, 촌뜨기의 선행으로 관리들의 노고가 무시되어 사적인 행동을 귀히 여기고 공적인 공로는 천시하면 망한다.
- 국고는 비었는데 대신들은 배부르고, 정착민은 빈곤한데 떠돌이는 부유하고, 농사짓고 싸우는 이는 곤궁한데 상공인이 이로우면 망한다.
- 큰 이익을 보고서도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재앙의 징조를 듣고도 대비하지 못하고, 싸우는 일을 천박하게 여기고 인의로 자신을 치장하면 망한다.
- 군주의 효도는 하지 않고 필부의 효도만 흠모하며, 사직의 이익은 생각지 않고 모후의 명령만 들으며, 여자가 나라를 다스리고 환관이 국사를 좌우하면 망한다.
- 논설에 익숙하나 법에는 어긋나고, 마음은 지혜 로우나 술수가 부족하고, 재능은 많으나 법도에 따라 처리하지 못하면 망한다.
- 신참이 승진하여 고참이 밀려나고, 불초자가 중용되어 현량자가 엎드리고, 무공자가 귀히 되어 유공자가 천시되어 아랫사람들이 원망하게 되면 망한다.
- 친족과 대신들의 봉록이 공로보다 후하거나, 복식이 지위를 넘어서거나, 궁실과 음식이 너무 사치스러운 데도 군주가 금하지 않아서 탐욕이 끝없이 되면 망한다.
- 왕실의 사위나 자손들이 백성들과 한 마을에 살며 그 이웃들을 핍박한다면 망한다.
한비자의 망징 45조 中 '나라가 망하는 징조 10가지'
--------------------------------------------------
1. 법(法)을 소홀이 하고 음모와 계략에만 힘쓰며 국내 정치는 어지럽게 두면서
나라 밖 외세(外勢)만을의지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2. 선비들이 논쟁만 즐기며 상인들은 나라밖에 재물을 쌓아두고
대신들은 개인적인 이권만을 취택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3. 군주가 누각이나 연못을 좋아하여 대형 토목공사를 일으켜 국고를 탕진(蕩盡)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4. 간연(間然)하는 자의 벼슬 높고 낮은 것에 근거하여 의견(意見)을 듣고
여러 사람 말을 견주어 판단하지 않으며,
듣기 좋은 말만 하는 사람의 의견만을 받아들여 참고(參考)를 삼으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5. 군주가 고집이 센 성격으로 간언은 듣지 않고
승부에 집착하여 제 멋대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 만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6. 다른 나라와의 동맹(同盟)만 믿고 이웃 적을 가볍게 생각하여 행동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7. 나라 안의 인재(人才)는 쓰지 않고 나라 밖에서 온 사람을 등용(登用)하여
오랫동안 낮은 벼슬을 참고 봉사한 사람 위에 세우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8. 군주가 대범하여 뉘우침이 없고 나라가 혼란해도 자신은 재능(才能)이 많다고 여기며
나라 안 상황에는 어두우면서 이웃 적국을 경계하지 않아
반역세력(反逆勢力)이 강성하여 밖으로 적국(敵國)의 힘을 빌려 백성을 착취하는데도
처벌하지 못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9. 세력가의 천거(薦居) 받은 사람은 등용되고,
나라에 공을 세운 지사(志士)는 내 쫓아 국가에 대한 공헌(公憲)은 무시되어
아는 사람만 등용되면 그 나라는 반드시 망할 것이다.
10. 나라의 창고는 텅 비어 빚더미에 있는데 권세자의 창고는 가득 차고 백성들은 가난한데
상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서로 짜고 이득을 얻어
반역(反逆)도가 득세하여 권력을 잡으면 그 나라는 반드시 망할 것이다
군주에게 보내는 한비자의 조언-이병 二柄 · 8간 八姦
------------------------------------------------
이병 二柄 두 자루의 칼 상과 벌 - 신하에게 넘겨줘서는 안 된다
- 제대로 쥐고 상-베풂, 벌-집행 → 위세 서고 신하들이 두려워함
- 신하가 쥐면 군주를 위협한다
· 제 임금 (간공) 상 - 전상에게 맏김→권세신망↑←임금살해
· 송 임금 -백성신망↓이유로 벌 - 자한에게 맡김
→자한두렵고 임금 안 두려움 ← 정권 넘어감
------------------------------------------------
8간 八姦 ← 신하가 군주의 속마음을 읽으면(속마음을 읽히지 마라)
그것을 이용하여 군주를 좌지우지할 수 있다.
1. 동상 同床 - 잠자리 함께하는 사람 이용
2. 재방 在傍곁 - 최측근 이용
3. 부형 父兄 - 가족 친척 이용
4. 양앙 養殃 - 재앙을 만듦. 군주의 사적 욕망 이용 → 세금, 재물로 군주의 눈을 멀게 함
5. 민맹 民氓백성 - 무지한 백성을 이용(populism).
나라의 물건을 백성들에 나눠주며 군주 대신 환심 사기
6. 유행 流行 - 유창한 감언이설(말) 이용
7. 위강 威强 - 위세를 이용(군주를 압박)
8. 사방 四方 - 주위의 다른 국가들을 이용
← 속마음 알아도 드러내지 마라(무위의 태도)
→ 전성자와 습삼 - 적당히 가리고 적당히 감추면서 공존
→ 역린 - 감추고 싶은 것까지 파내어 도 넘은 간언 × - 충신이지만 도리어 화를 입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