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서론

자연치유캠프 2021. 1. 2. 17:12

 

생리학 physiology의 개념

---------------------------------------------------------------------------------------------------------

 

 -  자연 physio(nature) + 학문 logy(science)   

                                         자연의 성질이나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

 -  연구대상에 따라              → 사람human,   

                                                 식물plant · 동물animal,

                                                 미생물(세균bacterial,  바이러스viral) 

 -  연구 조직 · 기관에 따라  → 신경neuro, 근육myo, 뇌cranial 생리학

 -  기능에 따라                    →  호흡,  감각,  운동생리학

--------------------------------------------------------------------------

 -  사람(인체) 생리학

    (인체 현상의 원리와 조절작용 → 항상성 유지 기전 mechanism이해하는 학문)

          · 기능적 공통부분 특성 연구  → 일반general 생리학 

          · 세포특성 연구                      → 세포cellular생리학

          · 기관별 기능 연구                 → 기관organic(뇌, 심장, 간, 신장)생리학

- 생리학과 관련 분야

            원자 + 분자 → 화학 

            분자 + 세포 → 분자생물학

            세포 + 조직 → 세포생물학

            분자 +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계 + 개체 + 한 종의 군집 → 생리학

            개체 + 한종의 군집 + 여러가지 종의 생태계 + 생물권 → 생태학

 - 선행 학문 → 물리학,  화학, 해부학

---------------------------------------------------------------------------------------------------------

*"내부환경은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놀라울 정도의 불변성을 유지한다"

 근대 생리학의 아버지  프랑스 생리학자  베르나르Claude Bernard 1813-1878

 

 

 

 

 

 

생명체의 특성(생명유지) - 고등동물 세포수, 기능 세분화 ↑ 

-----------------------------------------------------------------------------------------------------------

 -  성장  growth           · 세포의 수 증가,

                                    · 세포 크기 커짐 · 분화 - differentiation 세포기능의 특수화,

                                    · 자기수선

 -  움직임 movement  · 체내 움직임 - 음식물 소화,  혈액 흐름,  호흡, 근육의 긴장

                                    · 활력징후vital sign(대사활동 징후)

                                           체온 - 36,5도℃

                                           혈압 - 수축기 90 - 140, 이완기 60 - 90mmHg

                                                     고혈압 수축기 150 ↑

                                                     저혈압 수축기 90 ↓, 이완기 60 ↓

                                           맥박 - 72회(60 - 100회 / 분),

                                           호흡 - 15 - 20회 / 분 - 마시고 내뱉기   

                                    · 체외 움직임 - 이동(동물 / 식물),  일부 위치 변화

 -  대사 metabolism     물질의 체내 분해와 합성

                                      → 에너지 + 열 + 부산물(물리적, 화학적 반응)

 -  생식  repeoduction 자신 유전자 후세에 전달

----------------------------------------------------------------------------------------------------------

 - 기초대사량 → 생물체가 생명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량 - 무의식적인 생리작용

          (30세 정도부터 쇠퇴 - 체력저하 동반)

          한국 성인 남성 약 1,500kcal,  여성 1,200kcal(골밀도와 근육량 차이)

         기초대사량 ↑   →  에너지소비량 ↑ (운동),  근육량 ↑ (단백질 충분섭취 필요)

         총 소모 대사량 / 일  = 기초대사량 + 활동 대사량 (미플린 공식에 의해 추정)

         

 

 

 

 

 

 

 

 

항상성homoeostasis

                              - 외부자극 수용 + 반응(동적),  외부환경 변화 - 몸 상태 일정 유지

                              - 동적불변성dynamic constancy(한계점 위와 아래에서 안정화)

------------------------------------------------------------------------------------------

 1. 항상성 조절기전

            · 신경 / 호르몬(신호전달 물질) → 신체기능 조절

            · 체액 수송(확산, 여과, 삼투압, 능동 운반)

            · 외부물질 흡입(음식물, 산소 등) / 대사(체내 흡수) / 배설

            · 배출(이산화탄소, 땀, 소변, 대변 ← 대사산물)

            · 생식에 의한 조절

 -----------------------------------------------------------------------------------------

 

 

 

 

 

------------------------------------------------------------------------------------------------------------

2. 움직임 기전(음성되먹임기전,  양성되먹임기전,  반사) 

 

  1) 음성되먹임기전negative feedback mechanism - 일반적인 항상성 조절

        · 감각기sensor → 조절 중추 → 효과기effector (반사궁 reflex arc)

        · 체온 조절기전

                 체온감소(피부혈류량감소, 떨림)

                       →체온조절중추(시상하부37˚) → 체온상승(체열저장, 열생산증가)

                 체온상승 → 체온조절중추→ (피부혈류량증가, 땀 분비)

                       → 피부온도 ↓, 체온 하강(정상체온)

        · 인슐린insulin 분비와 혈중 포도당 glucose 농도(75-110 mg / 100ml)

                 식사(탄수화물 → 소장 흡수 → 간 (다듬어 혈액 내 분비)

                   → 혈중 포도당증가 - 당 ↑

                   → 인슐린(이자pancreas-랑게한스섬 분비) - 혈관내분비(혈중 포도당 세포 이동저장)

                         → 혈당 ↓ → (대응작용) 이자 글루카곤glucagon 분비

                         → 간 자극 - 포도당 혈액내 분비

                         → 혈중 포도당농도 ↑  → 정상 혈당 회복 · 유지

  2) 양성되먹임기전positive  feedback mechanism - 몇 가지 제한적 생리기능, 병적 상태

        ·  처음 자극 → 자극 강화 → 반응 유발

        ·  분만 과정    분만 수축(기계 + 화학적 - 호르몬 상호작용)

                                     → 추가 자극물질 분비(수축 강화) → 분만

                               자궁근육 수축 → 에스트로젠, 옥시토신, 프로스타글란딘 호르몬

        ·  지혈 과정    혈관 손상(화학신호물질 분비)

                                      → 지혈기전 시작 → 지혈(혈액응고 패치 형성) 완성

 

  3) 반사reflex (좁은의미)

        · 특정 자극에 대해  특이한,  불수의적인,  계획되지 않은,  학습되지 않은 짜맞춘 반응

        · 뜨거운 물체 손떼기,  물체 갑자기 얼굴에 날아오면 눈감기 

        · 학습반사(습득반사)

                 → 학습과 연습 - 무의식적 복잡한 행동(숙련 운전자의 자동적, 계획되지 않은 행동)

----------------------------------------------------------------------------------------------------

  4) 항상성에 관련된 과정

        - 적응adaptation 유전적인 생물학적 적응 → 특정한 환경에서의 생존에 유리한 특성

        - 순응acclimatization 항상성 시스템의 향상된 기능 형태의 적응(땀에 의한 체온조절의 정도)

        - 생체리듬의 주기 변화 → 하루 주기 리듬 circadian rhythm

                 · 내재 리듬대로 자유진행 → 수면, 혈중 호르몬 농도, 배설 등 (환경변화하면 변경)

                 · 실내등 점등 - 체온↑, 소등 - 체온↓(가장 효율적, 즉각작동위해 - 대사작용의 체온 의존)

        - 체내 화학물질의 항상성에 따른 균형

                 · (체외 획득 + 체내 합성) → (풀pool + 저장고, 가역적 합병) → (체내 손실 = 대사 + 배설) 

                 · Ca2+균형  음식 흡수(장) → 뼛속 → 체외 배출 량의 균형(소변 콩팥)

                      유아기(어린이) Ca2+균형 (양성) → 풀이 커짐 → Ca2+ 생장하는 뼈에 축적

                      폐경 이후  Ca2+균형 (음성) → 풀 작아짐

                                                                   → Ca2+ (뼈 축적보다) 소변 배출 ↑ (손실속도>획득량)

-------------------------------------------------------------------------------------------------------------

 

 

 

 

 

 

 

생리학에 이용되는 단위

-----------------------------------------------------------------------------------------------

1. 기본단위  

 

1) 길이length meter m

          - micrometer  10  -6 m = 1㎛    

          - nanometer   10  -9 m = 1㎚  

          - angstrom (Å)    10  -10 m = 0.1 ㎚

2) 면적area m × m = m2

   부피volume m × m × m = m3

          - 1L = 1,000mL

          - 1mL = 1cm3 = 1cc

3) 힘과 압력pressure단위

          - 1mmHg = 1torr = 1.33.3Pa + 0.133kPa

          - 1bar = 100kPa

4) 질량 kilogram kg   

          - 물질의 양quantity = gram, gram 분자량, mole(mol)

          - 농도 concentration   질량/용적=g/L    양/용적 mol/L = M

          - 1ppm = 1part/million parts

5) 시간 seconds  s

6) 전류 current (시간당 한 지점을 지나가는 전자의 수) ampere  A

    전압 volt V  (전압차 있어야 전류 흐름)

    저항 resistance  (전류흐름) ohm Ω

7) 온도 temperature Kelvin   K

          - 섭씨 ℃ = K - 273.15(절대온도 0˚)

          - 섭씨온도Celsius / 화씨Fahrenheit 환산   ℃=5/9(˚F - 32)   ˚F=(9/5) ℃ +32

8) 광도 candela cd

9) 물질의 양  mole  mol

---------------------------------------------------------------------------------

 

 

 

 

 

 

2. 용액(용매 = 물 + 용질) 특성

---------------------------------------------------------------------------------

  - 아보가드로법칙Avogadro's low 

          · 표준상태 온도, 압력에서 동일 용적의 기체나 액체는 동일한 수의 분자로 구성된다

          · 아보가드로수 (물질 1 mol  표준상태에서 → 용적 22.4L → 분자수 6.02 × 10 23)

              1 mole NaCl = 58g(1 mol 물질은 gram으로 표시하면 그물질의 분자량과 같다)

  - 용액의 속일성(총괄성)colligative properties

          · 용액은 용질의 화학적 특성과 상관없이 용질의 수(농도)에 의해 변화한다

            (용질 농도 증가 → 용액 증기압 ↓, 끓는점(비등점) ↑, 빙점(어는점) ↓, 삼투압 ↑)

---------------------------------------------------------------------------------

 

 

 

 

 

 

 3. 산acid과 염기base (인체 → 평형)

---------------------------------------------------------------------------------

  - 산acid     

            수소이온(H+)의 량 → 산성도 결정 신맛, 리트머스시험지 붉은색 변화

  - 염기base

            수산이온(OH-, 수소이온과 결합)의 량 → 미끄러운 쓴맛

  - 중화

            산(수소이온H+) + 염기(수산이온OH-) 결합 = 물(H2O)

            산(HCl) + 염기(NaOH) → 소금(NaCl) + 물H2O

 

  - pH 지수pH scale 

            · 용액에 수소이온의 용해정도 측정단위( = 산성 · 알카리성의 정도 나타내는 척도)

            · 0 - 14( 7 중간 - 산 염기 농도 동일)

            · 7 순수한 물(H+, OH- 농도 동일). 

                       소변 5.8-8.0.                              위 내용물 1- 4. 

                       혈액 7.35 - 7.45.                        장 내용물 8 - 10

            · 수소이온 농도의 변화

                       1 단위 변화 (7 → 6) = 수소이온 10배 변화,

                       2 단위 변화 (7 → 5) = 수소이온 100배 변화

            · 낮은 숫자 = 산성(6 ↓ - 수소 H+이온 ↑ (염기 이온 대비),                                    

                       염산HCl (0, 위에서 분비, (화학적) 분자구조 마구잡이 자름, 오염물질 분해)

                       위 내용물(1 - 4),  소변(5 - 8)

            · 높은 숫자 = 염기성(알칼리성) 8 ↑ - 염기 OH-이온 ↑ (수소이온 대비)

                       수산화나트륨NaOH (14)

                       장 내용물(8 - 10, 쓸개즙, 이자즙 첨가 → 내용물 부패 · 발효 방지, 

                                                                      (효소적) 분자 구조 분해 - 흡수 위해

                       혈액(7.35 - 7.45) 

                               산증( < 7.35)

                               알칼리증( > 7.45) - 호흡성, 대사성.  효소작용에 영향)

  - 콜라 pH 2.8(인산, 구연산) + 설탕 18%

--------------------------------------------------------------------------------------------------------

 

 

 

 

 

 

 

몸의 구성 원소(element - 화학적으로 가장 작은 물질)

------------------------------------------------------------------------------------------------------------

1)  4 원소(CHON)

         - 탄소(C)  - 모든 유기분자 구성요소

         - 수소(H)  - 원자수 비 62% 가장 많음

         - 산소(O)  - 무게비 65% 가장 많음

         - 질소(N)  - 단백질, 핵산 기타 유기화합물 구성물질

         - 3대 영양소의 4원소 구성

                탄수화물, 지방 →C + H + O, 단백질 → C + H + O + N

 2) 미량원소

         - Ca           → 뼈 · 치아 구성,  근육 수축,  혈액응고,  호르몬 생산 관여

         - K, Na      → 신경전도와 근육수축, 

         - Fe           → (호흡) 산소 수송 관여 (헤모글로빈 구성)

         - Mg          → 효소, 보조인자 성분

         - 요오드(I) → 갑상샘 호르몬 성분(해조류 많이 함유)

 

  3) 물(체중의  60 - 70%) (마심, 음식물, 체내 대사)

         - 체내 화학반응에 필요 (고분자 분해 - 가수분해효소 공유결합 분해  → 운반, 흡수 가능해짐)

         - 체온 일정 유지(정온동물 ↔ 변온동물)

              · 비열 ↑,   기화열 ↑ ← 수소결합 때문, 

              · 외기온도↑ ↓  온도 변화 적응 = 생명체 보호

         - 수소결합(응집력 ↑,  표면장력 ↑)  → 고체 (얼음 수소결합 견고,  결정구조 → 비중 ↓ - 물에 뜸)

     ------------------------------------------------------------------------------------------------

 

 

 

 

 

 

 

  4) 인체 구성 고분자(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핵산   분자량 10,000개↑)

        

        - 탄수화물carbohydrate (C+H+O, CH2O)n 

                에너지 근원(4Kcal) → 시동 에너지, 지질 에너지 대사의 (소량으로) 촉진작용

         ---------------------------------------------------------------------------------------------------

         · 단mono당류 - 가장 작은 형태 (탄소 3개 = 3탄당, 4개 = 4탄당, 5개 5탄당,  6개 6탄당)

                           6탄당 -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포도당glucose(6탄당) - (인체 흡수 단위) 세포 에너지 자원,  탄수화물 대사물질 

         · 이di당류 - 단당류 + 단당류

                           엿당maltose(맥아당) (포도당 + 포도당),  

                           설탕sucrose(자당)    (포도당 + 과당),

                           젖당lactose(유당)     (포도당 + 갈락토오스galactose)

         · 다poly당류(단당류 + + + n.) 자연속의 탄수화물 존재 상태  

                           식물세포 → 녹말(전분),   

                           동물세포 → 글리코겐glycogen

                           셀룰로오스cellulose → 가장 흔한, 식물 세포벽 구성, 인체 소화기관 흡수 ×

         --------------------------------------------------------------------------------- ------------------

         · 당단백질  → 당 + 단백질 결합(특수기능)

         · 당지질     → 당 + 지질 결합    (특수기능)

 

 

 

 

 

 

 

                             

       - 지질lipid (상온 고체 = 지방fat,  상온 액체 = 기름oil,  C+H+O(O 아주 적음) 3종

                  에너지 근원(9Kcal) → 인체 가동(운전) 에너지,  남는 에너지 비축물

         --------------------------------------------------------------------------------------------------

           · 지방산fatty acid(한쪽 끝에 카르복실산 (-COOH, 친수성) 붙어있는 비극성 탄화수소 화합물)

                     포화지방saturated fat(각 탄소원자 - 2개 수소원자와 단일 공유결합)

                               융점 ↑,  실온에서 고체, 반고체, 주로 동물성 지방

                               포화지방 함량 유채6%, 팜유51%, 쇠고기지방52%, 버터66%, 코코넛오일77%

                               바람직한 일일 섭취량  총지방 30% 이하, 포화지방 10% 미만 ← (동맥경화 유발)  

                     불포화지방unsaturated fat(포화지방 + 탄화수소 간 이중결합 어쩌다 있음)

                               융점 ↓,  상온 액체(올리브유, 콩기름) - 식물성 지방

                               트랜스지방 → 식물 지방 + 수소첨가 = 고체(저장성 ↑, 수송 편리) - (팜유) 튀김, 제빵

                                             LDL 콜레스테롤 ↑,  심장동맥질환 위험 ↑

                                             미국 FDA - 모든 트랜스지방 함량 표기 규정(침묵의 살인자 - 비만)

 

          · 글리세롤glycerol(수산기) 포함 지질(글리세롤 화합물)

                      글리세롤(지방산 + 수산기 -OH 3개 함유)

                               과잉 탄수화물 + 단백질 섭취

                                     → 지방산(트리아실글리세롤 triacylglycerol) 전환 저장

                               당뇨, 단식

                                     → 지방 급속 분해(탄수화물 부족시 당으로 전환시켜 에너지용으로 사용)

                                          (지방분해 중간대사산물) 혈액내 케톤체 증가 - pH 감소

                                                        → 케톤산증 ketoacidosis - 혈액 산성화

                      인지질(지방산 분자 2개 + 글리세롤 + 인산기)

                               극성(친수성),  비극성(소수성) 이중성

                                     → 세포막 형성 성질,  표면장력 ↓ -  허파꽈리 세포벽

 

          · 비 글리세롤 지질(글리세롤 불포함 지질)

                      스테로이드 steroid (6탄소 환상구조 3개 + 5탄소 환상구조 1)

                      비극성 불용성(지질 분류 이유)

                      알도스테론aldosterone(부신겉질 H.) 구성성분

                      콜레스테롤cholesterol(생식샘, 부신겉질 스테로이드성 H 합성 전구물질 역할) 성분

                              코티솔cortisol, 에스트로겐estrogen,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고리모양 탄화수소 - 생체기능 조절 담당)

                              거의 모든 조직에서 생성 ( 전립샘prostate gland에서 최초 분리)

                              역할 - 민무늬 근육 수축,  배란,  혈액응고 연관

                                      - 염증반응 전달

                                        (아스피린 -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 → 발열 ↓,  염증 ↓,  진통 ↓)

          ------------------------------------------------------------------------------------------------

            내장지방 ↑  합병증 

              1. 인슐린 저항성 ↑

                      (인슐린 호르몬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상태 = 인체 인슐린 수치 ↑ → 공복감)

              2. LDL · 중성지방 ↑,  HDL ↓  → 고지혈증 → 혈압 ↑, 심근경색, 뇌졸중의 원인

              3. 암 발생 원인 → (비만세포) 아드포카인(만성염증물질 - 세포변성, 유전자변형) 혈중 분비

                                                       → 간 · 신장 · 대장 · 이자 · 유방 · 자궁내막 · 난소암 

 

 

 

 

 

 

 

 

         - 단백질protein C+H+O+N

          --------------------------------------------------------------------------------------------------

             · 아미노기(-NH2), 카르복실기(-COOH) 함유, 20여 종

                       protein(peptide 사슬 100개 ↑ 고분자)

                                             → peptide → amino acid(aa) - 인체 흡수

             · 성인 필수 aa(체내 합성 × → 섭취 필요. 8) 

                       리신lysine,                    트립토판tryptoph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발린valine,                    메티오닌methionine,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 어린이 필수 aa(10) 성인 필수 aa  +  아르기닌argine,  히스티딘histidine

 

            · 단백질 구조(1차구조 - 단순단백질) → 2차구조 → 3차구조 → 4차구조 (고분자 단백질)

                       1차 구조  (aa 서열) 이웃 아미노산과 펩티드 결합(사슬구조)

                                         (아미노-N 말단 - 사슬 시작,  카르복실 - C 말단 끝)

                       2차 구조  (사슬 규칙적으로 감기거나 꺾임 -  알파 나선구조, 베타 병풍 구조 -  ∵ 수소결합)

                       3차 구조   겹치고 굽어져 입체구조 - 구형(대부분 약한 결합 - 열,  pH 변화 - 쉽게 변성)

                       4차 구조  (구형 2개 이상의 사슬구조 - 생물학적 활성 단백질 역할 수준) 

                                         혈색소hemoglobin Fe - 산소 결합,  운반 → 574개 aa(4개 펩티드 사슬)

                                         미오글로빈 - 산소 저장(근육)

                                         1개 aa 순서 바뀌어도 정상 작용 ×

           · 영양소로서의 단백질 절약작용

           ·  낫 적혈구 빈혈 sickle cell anemia( = herrick's anemia 흑인 유전질환)

                         (산소민감) 산소 ↓ -  적혈구 낫처럼 꼬임, 파괴 → 모세혈관 막음

                         (베타 사슬에서 N 말단 6번째 aa - 글루탐산 → 발린 valine으로 치환 ← 발병)

                         말라리아 저항력 ↑ = 적혈구 파괴 - (적혈구 속) 말라리아 기생충 파괴

    -------------------------------------------------------------------------------------------------------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생리  (0) 2021.03.31
심장과 순환  (0) 2021.03.29
혈액과 면역  (0) 2021.03.24
신경생리  (0) 2021.01.12
세포생리  (1) 2021.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