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뼈대근육의 구조와 기능

자연치유캠프 2023. 8. 7. 01:17

근육계통muscular system

 

뼈대근육skeletal m. · 심장근육 · 민무늬근육

 

 


- 뼈대근육skeletal m.
----------------------------------------------------------------------------------
      가로무늬(액틴잔섬유actin filament + 미오신잔섬유myosin filament 규칙적 배열)
      수의근육(신경계통 작용으로 내맘대로voluntary 조절가능 → 일부 불수의근 존재 - 가로막, 능형근)

      근육조직 · 결합조직(근막힘줄, 널힘줄) · 신경 · 혈관포함 뼈에 직 · 간접 부착

             (근막  /혈관 · 신경 / 여러개 근육다발막 / 여러개 근세포막 - 모세혈관,  줄기세포보유) / 근육섬유) 

-----------------------------------------------------------------------------------

연골, 혈액, 림프기 속하는 인체의 조직은?  → 결합조직 23 

 

 

 

 

 

- 뼈대근육의 중요기능
-------------------------------------------------------------------------------
    ① 뼈 움직임 (뼈 + 뼈막   /  tendon  /  근육  /  tendon  /  뼈막 + 뼈)
    ② 자세유지(근육 지속수축)
    ③ 연부조직 지탱 - 배벽abdominal wall, 골반안pelvic cavity 근육 → 내장기관 무게 지탱, 손상보호 
    ④ 입·출구 막음 - 삼킴, 배변, 배뇨 조절
    ⑤ 체온유지 - 근육수축 에너지 소모 → 일부 열로 변환(인체 열생산 70% 담당)

--------------------------------------------------------------------------------




 




뼈대근육섬유



- 근육세포질그물과 가로세관 t  tubule

------------------------------------------------------------------------------------

      · 근육세포막 아래 근육세포질그물 - 근육원섬유 감쌈
              (세포질그물 양끝 두툼한 공간 - 종말수조

                          → 고농도 Ca+ 방출 - 근육원섬유 수축  ·  회수 - 이 완, 능동운반)
                  + 가로세관(근육세포질내 통로역할, 세포외액 존재, 화학신호 골고루 신속 전달)

-------------------------------------------------------------------------------------

 

 





- 근육원섬유myofibril
--------------------------------------------------------------------------------------
   · 굵은근육잔섬유myosin

                   + 가는근육잔섬유actin(tropomyosin + actin - 활성부위 보유 2가닥 나선 꼬임상태)
  · 원통모양 다발(수백 수천개)구조 - 길게 평행배열,

                   마디마디(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 연결, 직경 1 - 2mm 
  ·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수축(연결된 여러개 근육원섬유 마디의 길이 동시에 짧아짐 ··· + n)

  ·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사립체 존재(글리코겐 과립 → 포도당 전환,  포도당 → ATP 공급)

--------------------------------------------------------------------------------------





-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 의 구조
---------------------------------------------------------------------------------------
   · Z line                       → 인접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와 연결부위
   · A band 어두운 띠 →  굵은근육잔섬유myosin + 가는근육잔섬유actin(tropomyosin 겹침부위)
   · I band      밝은 띠 → 가는근육잔섬유actin(tropomyosin + titin

                                              - Z선과 굵은근육잔섬유간 연결 → 배열 유지)
   · M line                     → 굵은근육잔섬유myosin 와 굵은근육잔섬유myosin 간의 연결부위
   · H zone    옅은 띠  → 굵은근육잔섬유myosin 부위

---------------------------------------------------------------------------------------

 

 

 

 

 


- 굵은근육잔섬유myosin와 

       가는근육잔섬유actin(tropomyosin + actin-활성부위 보유 2가닥 나선 꼬임상태)

---------------------------------------------------------------------------------------
  · 굵은근육잔섬유myosin
             미오신 분자로 구성
             공모양 머리head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 양쪽 끝, Z선을 향함) + 꼬리tail(M선을 향함)

  · 가는근육잔섬유actin
             나선형 꼬인 두가닥 actin분자로 활성부위active site 보유
             트로포닌troponin → actin +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탈부착(actin 활성부위 노출 · 차단)

  · 굵은근육잔섬유myosin와 가는근육잔섬유actin의 움직임
        전기자극(운동신경세포) → 화학변화(축삭종말)
             → 가로세관(복잡 그물구조 가는 관, 근육세포질내 화학통로역할 - 근육 동시수축 기능)
                     → 근육세포질그물의 종말수조(Ca저장고) Ca 이온 방출
                        →  troponin 변형(tropomyosin 늘어짐 - actin 활성부위 노출)
                              → myosin + actin  결합(수축 - 새창애? 장전 튕김)
                                  → 이완(  myosin 머리부분 +  actin 활성부위 분리 → 제위치로 돌아감) 
                                          → 결합 · 꺽임(근육수축) · 분리 · 복귀(근육이완)의 반복
                                               (여러개, 동시 sarcomere 길이 짧아짐과 제위치 반복)

------------------------------------------------------------------------------------
근섬유에 활동전위가 전달되었을 때

근육세포질그물에서 방출된 Ca2+이 결합하는 부위는?  → 트로포닌(troponin) 23

 

 

 

 




   · 근육잔섬유 미끄럼 이론sliding filament theory

------------------------------------------------------------------------------------------

               I band(titin 촘촘해짐), H zone 좁아짐
               Z line과 Z line 가까워짐
              A band 길이 변화없음(H띠가 좁아짐)
                  ∴ 근육수축 · 이완 - 가는근육잔섬유들이 근육원섬유마디 중앙을 향해(M line)
                      굵은 근육잔섬유 마디 사이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감( ↔ 나옴)

--------------------------------------------------------------------------------------------



       

- 신경신호의 발생과 근육으로의 전달 



  · 신경 · 근육 접촉부

------------------------------------------------------------------------------
  여러개 운동신경세포(축삭종말axon terminal) / 연접틈새 / 근육세포막(운동종말판 Ach수용체 보유) 
      축삭종말세포(소포, 사립체) → Acetylcholin(Ach 신경전달물질) 분비
          Acetyl cholinesterase(AchE) → Ach 분해효소, 연접틈새 · 운동종말판에 존재

-------------------------------------------------------------------------------

 

 

 

 

 


  신경 · 근육 차단

----------------------------------------------------------------------------------
      AchE → 여분  Ach 빠른속도 분해 · Ach수용체 비활성화 → 축삭종말 흡수 재사용
      botulism → 축삭종말의 Ach 방출억제 → 근육마비
      중증근무력증 - 운동종말판 Ach수용체가 줄어들어 서서히 근육마비 질환 → 피로, 근육약화
                                   면역체계 → Ach수용체 공격(유전요인)
                                   몸쪽근육(눈근육 약화, 눈꺼풀 처짐) · 반복사용할때 두드러짐(휴식 → 완화)
      사후경축(강직)Rigormortis - 산소·영양 중단,  ATP 고갈(연결다리 분리 ×) 

                                   → Ca이온 근육 지속수축(굳음) - 2-7hr∽1-6일 지속(시간, 온도  환경영향)
                                         → 자가소화autolysis기전 - 용해소체 효소 유리 → 근육잔섬유 분해

-----------------------------------------------------------------------------------


 

 

 


· 신경 · 근육 접촉부의 신호전달기전

----------------------------------------------------------------------------------

   ① 활동전위 → 운동신경세포 축삭 → 신경이음부 도달
   ② 축삭종말(소포, 사립체) → Ach 연접틈새 방출(확산)
   ③ Ach + Ach 수용체 결합 → Na+ 이온 대량 · 급격 근육세포질내 유입 (가로세관따라 퍼져 들어감)
   ④ 활동전위 발생
   ⑤ 여분  Ach → 빠른속도 분해(AchE) · Ach수용체 비활성화 → 축삭종말 흡수 재사용

-----------------------------------------------------------------------------------

 

 

 

 

 



· 수축주기

-----------------------------------------------------------------------------------

   ① 수축주기 시작(굵은근육잔섬유/가는근육잔섬유) 중첩부위에 Ca+ 이온도달
   ② active site 노출
              troponin에 Ca+ 이온결합
                   → actin과 troponin + tropomyosin 복합체 결합 느슨해짐
                         → actin 가는근육잔섬유 활성부위 노출
   ③ 연결다리cross bridge 형성(actin active site + myosin 머리 결합
   ④ myosin 머리 M line 쪽으로 꺾임

   ⑤ myosin 재활성화

             myosin 머리에서 ATP → ADP + ⓟ 방출에너지(미오신머리 젖힘에 사용)
                      →  미오신에 새로운 ATP 결합(actin 활성부위 myosin머리 결합 분리)

             사용에너지 (아데노신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 +ⓟ+ⓟ+ⓟ)

                      → 결합되어 있던 인산염+ⓟ 1개 떨어질때 방출되는 에너지 사용

                            → 아데노신이인산adenosine diphosphate,ADP + ⓟ+ⓟ)이 됨

                                  → 가역적임(세포 이화작용에너지에 의해 ATP로 전환)

----------------------------------------------------------------------------------
                             

 

 

 

 



- 파상풍tetanus

----------------------------------------------------------------------------

· Clostridium tetan 세균 감염질환
         산소 희박조건 활발증식(깊숙히 찔림 → 위험성 ↑)
         세균독소 - 운동신경세포 활성조정기전 억제

                              → 지속적 강한 수축(두통, 근육경직, 삼킴곤란 이후 입벌림 장애)
        잠복기 2주 미만,  사망율 40 - 60%,  예방주사 필요

----------------------------------------------------------------------------

 

 

 

 

 

 

 

뼈대근육의 수축과 이완과정

 

 

 

 

1. 근육수축 유발과정

--------------------------------------------------------------------

  ① (운동신경세포 축삭종말) Ach방출 → 근육세포막 수용체와 결합(활동전위 발생)

  ② 활동전위 가로세관 t tubule 도달 → 근육세포막 · 가로세관따라 전파

  ③ 근육세포질그물에서(저장된) Ca2+ 방출

  ④ 수축주기 시작

            (ATP 분해 에너지로) 연결다리 형성(myosin 머리 + actin 활성부위) → 머리꺽임(actin 끌어당김) 

            (연결다리 형성된)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 길이 짧아짐

           장력tension의 정도 → 연결다리의 수에 따라(수축참여 근육섬유의 수) 다름

                                                ↔ 압력(근육의 밀어내는 힘) ×

           신경자극의 빈도(근육세포질내 Ca2+농도와 troponin에 결합한 이온의 량)

                                              → 연속 신경자극 → 지속적인 수축(근육 움직임 발생)

---------------------------------------------------------------------

 

 

 

 

 

2. 근육수축 종료(근육이완)

-----------------------------------------------------------------

 ① Ach 분해(←acetylcolinesterase, AchE) → 활동전위 발생종료 

 ② 근육세포질그물의 Ca2+ 재흡수(근육세포질내 Ca2+ 농도 ↓)

 ③ actin 활성부위 숨김 및 연결다리 형성 종료

             (Ca2+ 농도 ↓) 트로포미오신 위치가 원상태로 되돌아가 가는근육잔섬유의 활성부위 가려짐

 ④ 수축종료(연결다리 형성 × )

 ⑤(수동적인 기전) 가는근육잔섬유(actin) 길어져 이완상태

-----------------------------------------------------------------

 

 

 

 

 

 

 

뼈대근육의 수축(가중 / 불완전강축 / 완전강축)

-------------------------------------------------------------------

  ① 가중  이완기가 시작되기 전에 다시 신경자극이 가해지면 이전보다 더 큰 장력 발생(가중현상)

  ② 불완전강축 summation in complete tetanus

                   신경자극이 잦아지면 이완기가 매우 짧아지며, 장력이 점점 강해지고 그 상태가 유지

                    (최대치에는 못미침)

  ③ 완전강축 complete tetanus

                   신경자극이 더 빠르게 · 잦아지면(이완기가 나타나지 않을 만큼) 장력 최대치

                    (세포질그물 안으로 Ca2+ 교환할 새 없어, 세포질내 Ca2+ 농도 높게 유지 → 수축지속) 

------------------------------------------------------------------- 

 

 

 

 

 

 

 

활성화(동원)된 뼈대근육섬유의 수

-------------------------------------------------------------------------

 ·  (여러개)운동신경세포(운동단위 1, 2, 3)  → 수백 ∽수천개 뒤섞인 뼈대근육섬유 나누어 지배

 ·  운동단위moter unit  → (하나의) 운동신경세포와 지배받는 뼈대근육섬유의 묶음 

 ·  운동단위 크기 ↓         → 세밀 근육운동 조절(안구근육, 2∽3개 뼈대근육섬유 지배)

 ·  운동단위 크기 ↑         → 거친 근육운동 조절(다리근육, 약2,000개 뼈대근육섬유 지배)

 · 활성 운동단위 증가(동원) recruitment

       (자극) 소수 운동단위 동원 수축시작 → 점점 다수 운동단위 동원 → 장력 서서히 증가(부드러운 운동)

 · 완전강축 complete tetanus

       모든 운동단위 동원(수축) → 최대장력 발생(빠른 에너지 고갈 → 수축 지속 어려움)

       근육 지속수축 유지 → 운동단위 번갈아 수축(간간히 돌아가며 휴식) → 최대장력 유지 안됨

-------------------------------------------------------------------------

- 저항운동에 따른 근육의 생리적 변화는? → 운동단위의 동원 증가 23

 

 

 

 

 

 

 

 

근육긴장도 muscle tone와 근육위축

--------------------------------------------------------------------------------

   · (이완 근육)일부 운동단위 수축(운동 발생가능 장력 ×  = 이완상태의 장력)

           → 뼈와 관절 위치고정(자세유지)

   · 위축atrophy

         (운동신경세포의 일정빈도 이하 자극) → 뼈대근육섬유들 작아지고, 장력 ↓

           → 근육크기 ↓, 근육긴장도 ↓

   · (일시적) 근육 미사용(석고붕대) → 가벼운 근육위축 회복(가역적 변화)

   · 한번 죽으면 재생불가능 → 일시적 운동장애 - 물리치료 중요

   ·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과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등장성 수축 - (장력) 근육길이 짧아지고, 수축기간 일정장력 유지

            등척성 수축 - (장력이 저항보다 낮아) 근육길이 변화 × (잠긴문 밀기, 자동차 들려하기)

            근육운동 = 등장성 수축 + 등척성 수축의 조합

   · 수축근육의 길이회복(이완)

            뼈대근육섬유 수축 → 이완(에너지 소모없는 수동적 과정(탄력, 반동력, 대항근 수축, 중력)

            대항근의 수축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팔꿉관절 굽힘) ↔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팔꿉관절 폄)

-------------------------------------------------------------------------------

 

 

 

 

 

 

 

 

 

 

근육활동에 필요한 에너지(ATP, adenosine triphosphate, 아데노신삼인산)

---------------------------------------------------------------------------------

 · 600조개 ATP 분자 소모, 뼈대근육섬유 에너지 저장량 ↓  → 보충 필요

 · ATP + creatine → ATP + creatine phosphate(CP)

                 reating → ADP + creatine phosphate(CP) → ATP + creatine phosphate(CP)

 · 휴식상태 근육    -  (혈관)O2 + 지방산(분해) → 생성ATP + CO2 → ATP · CP · glycogen 형태로 저장

 · 가벼운 근육활동 - glycogen → glucose, · O2 + 지방산(분해) → 생성ATP + CO2 → 근육수축에 사용

 · 최대 근육활동    - 주로 해당작용(glycolysis)으로 ATP 공급

                                    glycogen → glucose → pyruvate(피브루산염, 탄수화물 분해산물) + H+(수소이온)

                                                                                      ↘(변환) 젖산염lactate → 혈관으로 이동

--------------------------------------------------------------------------------

 

 

 

 

 

 

 

 

  - ATP 생성(산소대사aerobic metabolism · 해당작용glycolysis-무산소대사)

-----------------------------------------------------------------------------

 ① 산소대사aerobic metabolism 

                   · 산소, ADP, 인산, 유기질(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흡수) mitocondria

                                → TCA회로(완전분해) C, O → CO2

                                                                          H → (호흡효소) + O2 → H2O + 에너지(ATP 생성에 사용)

                   · (해당작용) pyruvate(피브루산염) 1분자 → TCA회로 → APT 15분자 생성

                   · 뼈대근육 에너지 소모량 → MAX 120배 까지 증가

                   · mitocondria ATP 생성량 → O2 공급량에 따라 결정

                   · mitocondria 산소소모량과 에너지 생성량 40배 증가

                                (근육운동량 최대 → mitocondria의 생성 ATP 필요량의 1/3에 불과)

 

 ② 해당작용glycolysis

                    · (세포질) glucose → pyruvate(피브루산염) 로 분해되는 과정(산소 불필요)

                                                              → ATP 생산에 비효율적인 방법

                    · 산소공급량이 요구량에 못미칠때 ATP 생성 → 에너지 공급 보조

                    · 근육섬유내 ATP · CP 고갈 → glycogen 분해하여 glucose 만듦 → ATP 생산

-----------------------------------------------------------------------------

 

 

 

 

 

 

 

 

 

 

 

- 에너지소모량과 근육활동량 

------------------------------------------------------------------------------

 · 이완 뼈대근육섬유 → 적은 량 ATP 소모 (필요량보다 많은 산소 공급 → 과량 ATP 생성)

 · 과량, 여분 ATP → CP, glycogen 만드는데 사용

 · 근육 활동량 ↑ → ATP 소모량 ↑ ( → 산소 소모량 ↑) - 산소대사 

 · 근육 활동량 ↑ ( →  mitocondria - ATP 요구량의 1/3 정도만 공급)

                                     → ∴ 해당작용(무산소대사)이 ATP 주공급원이 됨

 · 해당작용  → (glucose →) pyruvate(피루브산염) 생성량 ↑ (glucose 1개 → 2개 pyruvate 생성)

                                  ↘ 젖산 tactatic acid(3탄소 분자) 전환 → 젖산 분해(젖산염 + 수소이온)

                                       ↘ (몇초 ∽ 몇분내) 수소이온 축적 - 세포내 pH ↓ → 효소기능 ↓ → 근육 지속수축 ×

--------------------------------------------------------------------------------

 

 

 

 

 

 

 

 

 

 

- 근육피로 muscle fatigue와 회복

------------------------------------------------------------------------------

 · 신경자극 → 뼈대근육섬유 수축 × → 근육피로  · 피로 발생 → 저장 에너지 고갈

 · (젖산 축적) - 수소이온 축적 → 근육수축 관련 효소들 제기능 ×

 · 근육수축 ATP 소모량 < mitocondria ATP 생산량  = 산소대사(근육 피로발생 ↓ )

                                                  → 장시간후 피로 ↑ (지구력 필요한 운동의 피로유형 - 마라톤)

 ·  갑작스런 · 강한 근육활동(해당작용으로 ATP 공급)의 피로유형(단거리 육상선수)

 · 근육수축의 회복 → 소모 에너지의 충전

                                         + (근육세포질 · 사이질액 · 혈액) 열 체외 발산 ( 혈관확장 - 혈류 ↑  → 땀 데우기)

                                         + 젖산 ↓ · pH 정상회복

 · 산소부채oxygen debt - (회복기) 근육조직 복원 위한 추가 산소소모량

                   산소부채 ↑ → 호흡빈도와 깊이 증가 (운동후 가쁜 숨쉬기)

                   간세포 → (혈액에서 흡수한 젖산) glucose 변환에 필요한 ATP 생성에 사용

                   근육세포 → ATP 소모량 복원 ·크레아틴인산(CP)  · 글리코겐 합성에 사용

                   땀샘분비세포 →  산소소모량과 ATP 생성량 ↑

------------------------------------------------------------------------------

 

 

 

 

 

 

 

 

 

 

 

근육의 유형과 힘 수행능력

 뼈대근육섬유의 유형 

         → 빠른연축근육섬유fast fiber 백색근 + 느린연축근육섬유slow fiber 적색근의 혼용 - 유전영향

---------------------------------------------------------------------------------------

  ① 빠른연축근육섬유fast fiber 백색근

           ·  신경자극 → 0.01초 이내 최대장력 발휘

           · 지름 크고, 근육원섬유 많고, 글리코겐 풍부하나  mitocondria 수 적음

           · 수축 → 강한 힘(단시간내  ATP소모, mitocondria 적음 → 산소대사보다 해당작용으로 ATP 공급)

                                      근육피로 빨리 옴

           · 닭가슴살(무산소대사 - 해당작용 ), 안구근육, 손근육   

      

 ② 느린연축근육섬유slow fiber 적색근

           · (빠른연축근육섬유보다)  신경자극후 최대장력발휘되는 소요시간 3배정도 김 

           · 지름 작고(절반정도) 

           · (빠른연축근육섬유보다) 오랫동안 지속수축 가능

                     ① 산소공급 → 모세혈관 풍부 → 더 많은 산소 공급 받음

                     ② 산소저장 → myoglobin + 산소결합 - 산소 풍부하게 저장 

                     ③ 산소활용 → 많은 mitocondria 보유

           · 닭다리 근육(산소대사), 등근육, 장딴지 근육 

--------------------------------------------------------------------------------------

 

 

 

 

 

 

 

 

 

 

근육과 훈련

   근육의 힘 , 지구력 향상 → 피로에 대한 내성 ↑ (훈련)

--------------------------------------------------------------------------------------------

  ① 무산소지구력(저장ATP, CP, 해당작용) 빠른연축근육섬유 역할 ↑

                    · 짧고, 강한 동작 반복훈련(50m 달리기, 장대높이뛰기, 역도)

                    · 근육비대(섬유수 일정하나 하나 하나의 지름 굵어짐)

 

  ②  유산소지구력(motocondria 생산 ATP에 의한 근육수축 지속 - 산소대사)

                    · 낮은 강도의 운동을 오랫동안 지속하는 방법(조깅, 장거리 수영 - 최대장력 발휘않는 운동)

                    · 주된 사용 에너지원 glucose

                              - 경기 3일전 고탄수화물 식이 섭취 → 뼈대근육안에 에너지원 비축

                              - 경기중 포도당 풍부한 스포츠음료 음용 

-------------------------------------------------------------------------------------------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식생리  (0) 2021.05.10
배설생리  (0) 2021.04.28
호흡생리  (1) 2021.04.21
소화생리  (0) 2021.03.31
심장과 순환  (0) 20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