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학습자료

미래의 직업변화와 대학교육

자연치유캠프 2016. 11. 29. 11:23

미래의 직업!!

 

1. 앞으로 15년 내에 화이트칼라 직종 80% 사라질 것

                 "미래를 경영하라"저자,    톰 피터스 Tom Peters

 

2. 2030년까지 지구 인구 80억 명 중, 절반은 일자리를 잃을 것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 Thomas Frey

 

 

3. 모바일뱅킹 확산으로,

    금융은 앞으로 10년 동안 변화가 가장 큰 산업이 될 것이며,

    2020년 내에 은행 지점이 대부분 사라질 것

                           싱귤래리티 대학 Singularity University

 

 

4. 대기업주도 경제는,

    혁신을 내세운 스타트업(Start up)의 도전에 밀려 2025년에 막을 내리고,   

    미국 근로자 34%는 프리랜서가 될 것이다

                                       프리랜서 CEO 자질, 리더십  시스코 Cisco

 

 

5. 빅데이터가 의사의 80%를 대체할 것이다

                    전 마이크로시스템즈 창업자 / 벤처투자가     

                    비노드 코슬라 Vinod Khosla

 

 

 

6. 공립학교 없어지고, 교육의 공장형 모델이 교체되면서 

      2030년에는 교사마저 사라질 것이다

                            세계 미래학회 World Future Society, WFS

 

7. 20년 내에 사라질 직업 ;

      판사(판례 데이터 축적 - 빅데이터, 운용. 판단), 

      회계사 · 세무사(법 절차만 알면 누구나 가능)     

      텔레마케터, 부동산 중개인, 자동차 엔지니어,  기계기술자,

      비행기 조종사(자동차 운전사),

      항공학자, 경제학자(데이터 축적 운용 예측),  보험심사역 등

            옥스퍼드대학 "고용의 미래" 보고서 중에서  

                      칼 프레이 Carl Frey, 마이클 오스본 Michael Osborne

              ↔ 기득권의 조직적 ·고의적 지연, 저항 문제 존재

 

 

 

 

 

 

 

미래의 대학과 인재

 

1. 인간 직업  →  로봇 · 인공지능 대체

                     향후 10년의 변화가 지난 50년의 변화보다 클 것.     빌게이츠

                                           

2. 인공지능(AI)이 5년내로(2028년),

     인간이 치르는 모든 시험을 통과할 수 있을 것

                 인공지능이미 바둑에서 이세돌 9단을  일방적으로 이김, 

                                        그후 누구도 인공지능 못 이김

                (변호사,  의사고시 포함)               

                        (스텐퍼드대 경제포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3.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것 (인간의 직업)

------------------------------------

 -  고도의 직관력

 -  새로운 곳을 서로 연결하는 창의성

 -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디자인(설계) 능력

      ·  스스로 학습하고 · 사고하고 · 판단하는 생각의 힘 길러야 가능

      · 정답 없는 이야기에 대해 스스로 사고하고,  

          자신의 의견을 발표 · 토론  -  탈무드

      ·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문제와 같은 수준의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 엘버트 아인슈타인

-------------------------------------

   

 

 

 

 

 

 

 

 

 

4. 현재 대학 형태 → 짧으면 20년, 길게 50년 뒤

    몇 개의 상징적인 곳만 남고 소멸 → 마이크로 칼리지 Microcollege 로 바뀔 것

          - 3 무대학(캠퍼스 ×,  도서관 ×( → 가상도서관),  교수 / 강의실 ×  )

          - 단위 학습  /  자기 주도 학습  /  나노 학습 시대 (핵심만 교육)

          - 짧은 터울로 급변하는 필요 직업능력을 단기간  ·  집중  ·  맞춤형 교육

                 ← 준비된 교육(지금의 교육)의 한계 

 

 

 

 

 

 

 

 

 

5. 미래에 학벌이 성공에 중요 요소 아닐 이유

      - 누구나 장소 구애 없이 대학 지식 얻을 수 있다

         전 세계적 온라인 교육 "무크"(2016 / 1,800 강좌 / 학생수 7,000만 명)

              ← 우리나라는 교육법으로 막고 있는 중임

      - 누구나 아이디어 있으면, 원하는 서비스나 제품을 만들어,  창업가능

              ↔ 대학은 인맥(학연)을 만드는 곳?  ×

          

 

 

 

 

 

 

 

 

6. 어떤 학교에 가야 하나? →  어떤 자질(어떤 학과)을 길러야 하나?

     → 적성 연계 학과 ( 열심히 하는 사람 〈  재미있어하는 사람 〈  미친놈 )

          ↔ 적성 배제  -  자신 불행,  사회에도 악영향 

 

 

 

 

 

 

 

 

 

7. 기술(로봇, 인공지능)이 잘 못하는 분야 교육해야

   (혁신적, 창의적 활동이나 흥미로운 질문)   

   지금 교육 → 순종적인 사람 만들기

                           (창의적인 사람  ×,  건빵으로 만들기,  삶은달걀과 프라이)  

                             MIT 앤드류 맥아피 Andrew McAfee 교수

                              ↔ 눈치 빠르고 순종적인 사람 출세

 

 

 

 

 

 

 

 

 

8. MIT 미디어랩 (2011년 - 연구소장 이토 조이치)

    · 기술개발 내용 인터넷 중계 (무조건 공개 → 더 새로운 것으로 나아가기 위해)

    · 규율 깨기 (창의력 발휘의 걸림돌),

    · 평생 유치원 (놀이 집중, 자유로운 생각, 탐험 시간 길게 갖기)

    · 자기 적성에 의한 인재들로 제한  (배제 → 생각 ×,  일하기 싫고)

 

 

 

 

 

 

 

 

 

9. 권력에 도전하고, 스스로 생각하라   

           하버드대학 심리학자 티모시 리어리 Timothy Leary

             → 권력에?  (지금 상황에 두려움 없이)

 

 

 

 

 

 

 

 

10. 빌 게이츠 가문의 교육관

-------------------------------------------------

-  "TV를 보지 않도록 하고 책 읽는 시간을 늘려

   '스스로 생각하는 법' 기르게 하려고 애썼다"      

-  컴퓨터 게임 / 스마트폰 사용 제한 (14세까지 금지) → 가문의 교육법                 

                변호사, 빌 게이츠의 아버지 던 게이츠 저서

                '게이츠가 게이츠에게(Showing up for life)'에서

------------------------------------------------

 

 

 

 

 

 

 

 

 

 

11. 빌 게이츠가 모교 후배들에게 하는 조언 - 마운틴 휘트니고등학교 연설 발췌

                                                              →  재정리, 박근실 생각을 더함  ( '17. 02. 01)

------------------------------------------------

  ① 삶이란 원래 공평하지 않다. 그것에 익숙해져라

              - 좌절 ×, 포기 ×.  한 발짝 더 뛰기,  한 시간 더 공부하기

              - 남과 같이해서는 남남보나 나을 수 없다

              - 나보다 훨씬 능력이 많은 사람도 많다

 

  ② TV는 현실이 아니고,  현실에서는 커피숍에서 죽치고 있으면 안 된다

              - 뉴스, 다큐, 교양, 역사드라마

              - 얼굴 검댕 묻은 사람 ← 본 사람이 얼굴 씻는다

              · 연속극 ?다투고 · 속이고(허위, 조작) · 질서 깨고

                                    → 무신불립 無信不立( → 각자도생) = 사회 붕괴 초래

 

③ 궂은일을 수치스럽게 여기지 마라.  그것의 다른 이름은 기회다

              - 새로운 경험,

              - 기존 지식과 연결 → 새로운 생각으로 발전 가능성 ↑

              - 젊어서의 고생은 사서도 한다 (우리나라 속담)

 

  ④ 실패는 남의 탓이 아니다 → 잘못으로부터 교훈을 배워라

              - 자기반성 (실패 속에서 자기와, 성공의 씨앗을 보는 눈)

              - 친구 때문에 ?  → 그런 친구 지금껏 사귄 본인 책임

              - 성공한 사람  = 실패를 많이 한 사람

------------------------------------------------

 

 

 

 

 

 

 

12. 엘빈 토플러 Alvin Toffler 미래전략  (부의 미래 Revolutionary Wealth 2006)

------------------------------------

 -  새로운 공간 확보 Stretching Space

 - 새로운 속도 만들기 Rearrange Time

 - 기존 지식 의심 Re-trust Knowledge

           ·  시간 + 공간 + 지식의 조화

           ·  전략 원천 → 절박감(간절함)

                                       파부침주(破釜沈舟  솥을 깨고, 돌아갈 배를 가라 앉히고)

                                       배수진 (背水陣)

           ·  전략은 늘 조정되어야 ↔ (현실에서)쉽지는 않아 (스트레스 ↑)

           ·  손자병법의 2,500년 전  전승 전략과 동일

                     남들이 생각 못한 시간에

                                / 남들이 들어가지 못한 공간으로

                                         / 나만의 속도로 파고든다

-------------------------------------

 

 

 



 

 

 

 

13. 효율적인 국공립대학 재편(박근실 의견)  방안

------------------------------------ 

  -  사립대의 다수개설학과, 일반적인 학과 폐쇄(중복, 세금 낭비)

  -  사립대 미 개설(새로워서, 낯설어서, 돈 안돼서 ) 학과,

      선도해야할 미래(4차 산업 - 학생들 주저) 학과 신설 또는 유지, 확대

  -  사립대 인기↓ 학과(기초과학, 기반학문 - 수학 · 화학 · 물리학 등) 투자,  증설

  -  (교육 특별세)잉여세금 수입 → 교육 정상화 투자

                              · 대학 반당 학생수 20명 ↓

                              · 반당 학생수 축소에 따른 시설보완

-------------------------------------

 

 

 

 

 

14. 4차 산업시대 인재상

 

 14-1.  4차 산업시대

 -----------------------------------

 -  초고속화 (현재 속도의 10 ∼ 6,000배 ↑)

 -  초연결화 (네트워킹, 커뮤니케이션, 인간과 기계의 연결)

 -  초지능화 (인간 능력 초월)

         AI  → 공부할 것을(1억 개)  100만번 반복 학습 가능

-----------------------------------

 

 

 

 

 

 

 

  14-2.  4차 산업시대 인재상

 -----------------------------------

 -  융합 인재(여러 학과를 이수한) → 창의력, 리더쉽, 인성 ↑ 가능성

 -  창의적 인재(창의력, 상상력, 실행력)

 -  의문형 인재(지식 · 암기 · 수용 ×  → 질문하고 답하는 ○ )

                · 왜?

                ·  의심할 줄 모르는 것은 공부를 하지 않아서이다. 

                ·  공부하면 반드시 의문이 생겨난다"    장자

 -  협력하고 함께 일하는 인재 → 벽 없는 사회

 -  문제 해결형 인재 (어떻게 ?)

 -  감성형(배려하고, 따뜻하고) 인재 (AI = 반감성형)

------------------------------------

 

 

 





15. 구글 Google 인재상 (세계 최고 혁신기업) 

----------------------------------- 

-  여러 지식 융합 · 응용할 수 있는 폭넓은 지식의 인재 

-  현장에서 협업을 이끌어내는 리더십 

-  메타인지 능력(종합적 · 통합적 사고) 

-  주인의식(책임감) 

-  지적 겸손

----------------------------------- 

 

 

 

 

 

 

16.  21세기 인재의 역량 (21st century skill, 4C)

-----------------------------------
 -  소통(communication) 

 -  협업(collaboration) 

 -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 기존 지식을 의심 

 -  창의성(creativity)

-----------------------------------

 

 

 

 

 

 

 

17.  한국과 미국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개념

------------------------------------------------------------------------------

한국 국민(외적 조건 중시)             미국 국민(내적 성숙 중시)

------------------------------------------------------------------------------

30평 이상 아파트                             자신의 주장에 떳떳

월급여 500만 원 이상                     페어플레이

2,000cc 이상 자가용                       사회적 약자 돕기

1억 원 이상 예금잔고 보유             부정,  불법에 저항하는 용기

연 1회 이상 해외여행                       정기적인 비평지 읽기

                                                              (늘 공부,  사회 변화를 보는 눈 밝히기)

---------------------------------------------------------------------------------

 미국 국민들의  수준도 많이 흔들리고 있음을 뉴스 등을 통해 짐작됨

 

 

 

 

 

 

 

 

 

18. 인생의 3대법칙?

      ① 세상에 공짜란 없다(노동과 댓가)

      ② 세상에 비밀은 없다(감춰진 시간의 길고 짧음만 있을 뿐)

                - 상대가 무지인 경우는 숨김, 거짓말 가능

      ③ 인생에 정답은 없다

 

 

 

 

 

 

 

 

 

 

 

 

 

19. 가난보균자

 

  ① 한방을 노린다

           - 티끌은 모아도 티끌? → 태산

           - 사기꾼들의 먹잇감(욕망 자극에 넘어가)

           - 대박은 없다

             (과거를 미루어, 미래의 꿈을 그리며 현재를 열심히 산, 어느 순간의 결과물)

 ② 삶의 비만도가 높다 

           - 게으름 · 나태함

                  손을 게으르게 하는 자는 가난하게 되고

                  손이 부지런한 자는 부하게 되느니라 (잠 10 : 4)

           - 뒤로 미루는 습관

 ③ 월급에 취해산다

          - 어떻게든 되겠지(안주)

          - 자기계발 ×( ← 인생무상人生無常 - 항상 변한다)

④ 시간이 없다

         - 시간관리능력 ↓

         - "삶의 비만도가 높다"와 연관 됨

         - 보이(걸) 스카우트 구호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