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양생장↑ 나무 굵어지고 가지갯수 많아짐, 꽃눈형성↓(수확량↓)
- 생식생장(꽃눈형성↑, 수확량↑-가지 각도 50도 이하 로 눞임-가늘고, 과일달림↑)
- 직립우세성(영양생장 → 가지 굵어지고, 가지량↑, 과일달림↓)
- 정부우세성(높은 곳 가지 잘 자람 → 도장지)
- 전정(농사) 정답없슴, 자신에 맞게 해나감
- 위 → 아래로, 먼쪽에서 몸쪽방향으로 전정
- 햇볕 고루 들도록(꽃눈형성+통풍) 전정-가장중요 + 생식성장 유도 + 과일나무 특성 이용
- 약전정(수세안정 ↔ 강전정-수세↑→도장지 다량발생, 도장지 또 발생)
- 잎눈 → 밖으로 나와 있는 곳 전정(잎눈위에서 손톱만큼 남기고 절단)
- 등, 배 가지 제거(제거×-아래결과지 도태)
- 결과지 볕↑ - 일소피해(잎눈 남겨야 ↔ 그늘짐 → 잎눈관리필요성 → 결과지 낮게 유지)
- 등, 위 결과지 → 옆으로 유인 - 결과지로 활용
- 수세 중간(좋음) 수세 강×, 수세 약× - 수세 강하면 약전정(수세 강→가분수)
- 수세 약하면(수명↓) 강전정-잘라낸 것의 두배 더 자람
- 적화 / 적과 → 다수의 화방 소수로 정리. 열매 달림 간격조절, 불량열매 제거
나무수형(주간형 / 개심형의 응용)
1. 주간형(사과,대추, 배, 감) 뿌리 심근성
- 토양영향 많이 받고, 더디자람, 밀식재배 가능
- 주간 직립(영양생장).
주지, 부주지, 측지 모두 수평 유지(생식성장유도, 필요이상 굵어짐 방지)
- 주지 → 위로 갈수록 길이 짧게(원추형) 형성(햇빛투과↑)
- 굵기 → 주간, 주지(굵어도 주간의 1/3 안되게→결과지 발생↓, 꽃눈발생↓, 그늘↑),
부주지, 측지순으로 가늘어져야
→ 주간보다 주지 굵으면(제때 유인 또는 제거 못햇을때) 잘라내고 새 주지 만들어야함
2. 개심형 복숭아, 자두, 매실, 살구-일반과일나무 뿌리 천근성
- 주지 → 45도 내외 각도 유지(영양생장 + 생식생장, 생식성장 약간 많게)
→ 해마다 계속 연장(약 20cm 간격 바깥잎눈 남기고 절단 → 키워나가며 과일 담)
- 나무 굵기 → 주간형과 같음
- 부주지, 측지 → 주지보다 높지않게(영양생장 유도)
결과지
1. 긴결과지 30 cm ↑ - 꽃눈 잎눈 고루 분포 → 끝에서 1/2 정도 바깥쪽 잎눈 남기고 절단
2. 중간결과지 10∼30cm - 꽃눈 많고, 잎눈 적슴 → 바깥쪽 끝잎눈 남기고 절단
긴결과지 + 중간결과지 = 전체 결과지의 약 30% 차지
3. 짧은가지 10cm - 거의다 꽃눈 → 절단금지(잎눈 거의 없어)
전체 결과지의 약 70% 차지 -과일 좋은품질 생산(연필굵기)
4. 화속성 짧은결과지 3cm ↓ 잎눈 없슴
- 과일품질 떨어지고 영양흐름 중간 - 제거필요(특히 주지에 붙은 화속성 짧은결과지)
- 2∼3년후 고사(발생안되게 해야) → 세력↓, 나이↑ 나무에서 빈번 발생
도장지 처리
1. 잎눈 2∼3개 남기고 절단 → 새로운 결과지 만들기 위해
2. 옆으로(빈공간) 유인 → 결과지로 만듦
3. 잎수 확보 활용 - 사과 1개 잎 50장 필요
4. 완전 제거(지륭부위 절단)
4. 가지 각도 뉘일수록 도장지 발생↑
아상처리(주간형에서 주로 적용)
1. 새가지 내기 위해 휴면아 있는 부위의 윗부분을 칼, 톱으로 상처(새 눈 발생)
2. 아상처리 어려움 → 접붙이기
'나무 농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 개작방법(굵은가지 휘기) (0) | 2020.02.10 |
---|---|
삽목 (0) | 2019.07.24 |
식물, 안크는나무(병든나무) 수세회복+생육촉진 삼공아토닉 (0) | 2019.02.25 |
나무상처치료(수피구조/피소·상렬/상처아뭄/상처도포제) (0) | 2019.02.21 |
나무상처치료제 제조방법(장수매) (0) | 2018.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