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과 일상생활
목 차
노년 생활의 준비(유의사항)
노년 생활 방안
노인의 질병(우울장애/관절염/치매)
노인의 건강을 위한 운동
노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주변환경
노인복지법
마무리
신성대학교(충남당진) 물리치료과 교수
박 근 실
노년 생활의 준비(유의사항)
1. 준비없는 조기 은퇴
------------------------------------------------
- 은퇴준비? 갑의향기(말투,행동,눈빛←본인모름)
- 은퇴후 사라지는 것
· 권력(회사와 직함, 사모님)
· 전문성(직장내 기술 쓸모없어짐)
· 현금흐름↓ (월급없고, 쓸일은 많슴)
· 대출제한 · 갈곳(부르는 사람×-왜왔지?)
-----------------------------------------------
2. 주식투자(버는것보다 지키기 우선)
-----------------------------------------------
- 기업의 회계투명성 ↓(45%).
- 큰손 왜곡(담합가능성, 기업정보 왜곡)
- 철학없는 정부정책
· 단기효과(가시적효과, 잦은 변경-이해개입)
· 반발(있는·기득권, 손해↑ 사람)→궁여지책
· 정치적 판단
-----------------------------------------------
3. 부동산 투자
------------------------------------------------
- 사긴쉬워도 팔기는 어려워 → 환금성 문제
(미래-저성장기, 국토개발 → 국토관리시대)
- 시골 토지 → 인구↓, 베이비부머이후 농촌향수×
- 단기차익 가능성↓, 세금 중과(상속포함)
- 용도 분명할 때만 구입(마지막 소유자)
------------------------------------------------
4. 준비없는(어설픈) 창업문제
--------------------------------------------------
- 은퇴창업 5년이내 100명중 99명 폐업
· 새로운분야, 취미수준(↔다년경험자도 어려워)
· 기술만의 한계(영업, 재무, 인사관리 등)
· 과거 집착(옛날에는∼...)
- 도소매업, 단순노동 시대흐름(70%↑ 폐업)
· 직거래 활성화(사회적 신뢰단계 경과 필요)
· 경매(농축수임산물 - 누구나 참여 필요)*
· 자동화, 무인화(바리스타 로봇, 애인로봇 등)
· 단순, 3D 근무 회피
(노동시장 불안정, 임금↑요구, 외국근로자)
-----------------------------------------------
5. 인생 3막 준비(1막-슬하, 2막-사회, 3막-내인생)
-------------------------------------------------
- 은퇴 10년전부터 배우러 다녀라
- 직업갖기(힘들지×, 스트레스×, 즐겁게○)
- 평생직업(돈, 나이, 성별없는)
· 1인지식기업. 농업?(유튜브), 요양보호사
· 취미 → 직업(악사, 조경 등)
------------------------------------------------
노년의 삶(상실의 삶)-괴테
------------------------------
1. 건강 - 늙고, 병들어 감
2. 돈 - 점점 줄어들고
3. 일 - 사라지고
4. 친구 - 멀어지고, 떠나가고
5. 꿈 - 없어지고
------------------------------
노년 생활 방안
1. 주거비 낮추기
------------------------------------------------
- 아들딸,손자 생각?
손자시대(부모 안모시고, 성년자식 부양×)
- 제사(자정이후? → 8시, 곧 없어질수도)
생일(일요일, 빨간날)
바뻐(맞벌이, 손자교육, 양가 챙기기)
- 적정 주거공간 필요(작으나, 편한, 따뜻한)
-----------------------------------------------
2. 현금흐름 만들기(2위)
-----------------------------------------------
- 부동산, 자산 → 금융자산(쓸곳 많음) 전환
· 과도한 자녀교육비·결혼비용 지출(저축×)
· 병원비, 애경사, 손자용돈
· 한국 자산보유 77%(2008년, 후진국형)
미국, 일본 약35%, 자식들 좋아해(자기것 인식)
- 투자위험(주식·채권·부동산-어려워)→ 안정성
- 노후준비(돈) 일찍 시작 바람직(30∼40대)
· 여행, 인생즐기기, 저축×(노후빈곤퇴계이황 인생슬픈3가지)
- 부동산+자산 → 소득(연금)으로
- 있는체 않기? (내부 도둑?)
-----------------------------------------------
연금 소개(적어도 정기적 수입 중요, 미래경향)
------------------------------------------------
국민연금* 부부가입(65세↑), 반납금,추납금 납부
물가반영
주택연금*, 60세↑(한분만이라도) 부부1주택(시가9억↓)
농지연금* 65세↑ 5년↑ 경작, 9,000평↓, 임야×
기초연금* 65세↑ 독신20만, 부부32만원, 물가반영
퇴직연금 중간정산지양, 퇴직금→연금전환
개인연금 소득공제, 비과세(10년↑ 유지)
-------------------------------------------------
3-1. 100세 현상(다같이 오래살고, 죽는 나이차 없는)
-----------------------------------------------
- 수명 → 계속 늘고 있다
① 최빈 사망연령 증가(초고령자 급증)
· 평균수명 82세 → 최빈 사망연령 87∼89세
· 수명한계 도전
· 잔루이스깔망(프랑스, 여)
→122년생존(1875-1997)
② 사망연령의 동시화(同時化)(장수의 보편성)
③ 지역별, 성별(여↑) 시대적 변화 좁혀져
④ 건강한 노인 증가
· 일본 100세인 - '15년 61,000명
· '77년 70세 노인(죽기직전상태) 건강상태
→'07년 87세 노인과 같다(일본 동경 노인종합연구소,2011년)
* 30년간 노인 건강연령 17세 젊어짐
*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나의 신이 영원히 사람과 함께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이 육체가 됨이라. 그러나
그들의 날은 일백이십년이 되리라" 창세기6:3
- 돈↑ → 오래산다(국가 부강-후생복지↑)
------------------------------------------------
3-2. 건강관리(가장중요 1위)
------------------------------------------------
- 평소 절제, 운동 필요
장수비결 → 계속 움직이는 것
- 장수한 사람일수록 의료비를 절감한다(일본)
- 인생 되돌리기×
무병(無病), 치병(治病), 극병(克病)장수
질병고통 - 동무삼기, 천천히 가기
------------------------------------------------
폐-많이 노화(폐렴), 콩팥-약 용법 용량 지켜야
4. 인간관계
------------------------------------------------
- 세상사 가장 어려운일 80%
집단 → 개인주의 → 개인이기주의
자유, 정의, 진리마져 뒷전
돈(가장 설득력 있는) - 지갑 자주열기
- 행복 결정요인(아내 > 자식 > 지인)
- 남자 → 아내 가장 중요
- 자연, 동 · 식물과의 대화(키우기)
-----------------------------------------------
상속문제
-------------------------------------------------
1. 쓸것 남기고 나눠주기(마음 비우기, 댓가×)
2. 유언장 준비(주소, 성명, 서명) - 수정
3. 다 쓰고, 남으면 남기고 가기
* 나눌 재산 적어도 싸우기 쉽고
* 어떻게 나눠도 불만 존재(자식들 수용여부)
-------------------------------------------------
노인의 질병(우울장애 / 관절염 / 치매)
- 삶 의욕감소(노는것도 재미 없슴)
- 우울감(슬픔, 덧없슴, 무가치, 탓(잘못), 상실감)
- 활동감소
다 싫어=귀찮어, 하는일 자연스럽게 ×,
가족·친구 멀어져
- 빈곤+질병악순환(팔팔 10%, 비참한 노년 10%)
1. 노인성 우울장애(증후군)
- 뇌의 기분조절기능↓ → 심리적, 신체적 부담초래
- 65세 이상 "관심필요" 5명중 1명
노인성 우울장애(증후군) 증세
-------------------------------------------
1. 의욕, 기력 떨어짐
(무욕증-귀찮고, 의욕×, 꼼짝하기싫고)
2. 이유없이 아픈 신체증상 많아짐
3. 인지감퇴증 심해짐(정신이 없어진다?)
-------------------------------------------
노인성우울증의 3단계
-----------------------------------------------
1. 역치하 우울장애(65세이상 10%)
증상 심각않으나 일상생활활동 불편초래
2. 가벼운 우울장애(65세이상 5%)
심각한 우울증상 5가지 미만을 동시에 갖음
3. 주요우울장애(65세 이상 5%)
심각한 우울증상 5가지 이상을 동시에 갖음
------------------------------------------------
우울장애(증후군) 증상
1. 하루 대부분/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 2. 일상활동 흥미, 즐거움 감소(하루대부분, 거의매일 현저히)
3. 식이조절× 불구 체중감소/증가(5%이상/월) 4. 거의매일 불면/과수면
5. 거의매일 정신운동 흥분/지체
혈관성 우울증
---------------------------------------
- 뇌 기분조절기능↓ → 심리적, 신체적 부담
- 뇌혈관질환 - 노인성 우울증과 밀접
- 뇌혈류순환문제(70%)
- 75세 이상 - 작은뇌혈관 좁아짐, 막힘
→ 허혈성(100% 가깝게 나타남-분당서울대 병원)
----------------------------------------------
노인성 우울장애 치료와 예방
-------------------------------------------------
- 비혈관성 우울증 항우울제 투여
- 혈관성 우울증 항우울제 투여
+ 병합요법(정신자극제+기분조절제)
+ 뇌혈류 허혈문제 요인치료
- 규칙적인 유산소운동
(1주일/ 3번이상/ 가볍게 숨찰정도 30분 걷기)
- 1일 1시간 밖에서 햇볕쬐기
- 너무일찍자고 너무 일찍 일어나기 지양
(수면습관개선)
-------------------------------------------------
2. 관절염(osteo arthritis)
-------------------------------------
특발성, 연골(두께 3∼4mm) 점진적 손상
퇴행성-닳아 찢어지는 관절, 뼈 인대손상
· 염증 - 활막손상(보프라기)
· 통증 - 뼈 쪼가리, 관절돌기 불규칙-마찰 →치유반응(물 참, 열↑)
제한(과도사용, 무사용→통증, 뻣뻣함)
관절변형(뼈곁돌기체-골 증식)
- 먼쪽손가락뼈사이관절.몸쪽손가락뼈사이관절
- 체중지지관절(엉덩,무릎) →안굽이무릎변형
1∼4기 여성호르몬 ↓ 퇴행 시작
-------------------------------------------------
퇴행성관절염 진단
----------------------------------------------
- 방사선 사진
· 점진적 관절 간격 감소
· 더욱 진행되면 뼈가 웃자란 듯한 골극 형성
· 40세↑, 90% 퇴행성 변화
(30% 정도만이 증상 보임)
-------------------------------------------
- 동위 원소 검사(X-ray 확인후 검사)
· 관절염 부위 혈류증가,
골 형성이 활성화부분의 짙은 음영 관찰
-------------------------------------------
- 자기공명영상(MRI)
동반된 연부조직 이상, 관절 연골상태 관찰
-------------------------------------------
관절염 보존적 치료
-----------------------------------
1. 생활 습관 개선
· 나쁜 자세(쪼그려 앉아 일하기) ×
· 습관, 직업,
· 비만(무릎관절 부위 유병률과 밀접 관계)
2. 약물 요법(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진통소염제)
· 장기 투여문제
· 소화계 장애 - 쓰림, 더부룩
· 혈액응고기전 부작용
3. 건강보조식품(글루코사민, 황산콘드로이친)
→ 효과-논란 여지.
· 콜라겐 섭취 - 소화 배설(도움×)
· 연골 주성분 콜라겐단백질 만들 식품섭취 필요
단백질 + Vit C → 콜라겐 생성
양배추(황-관절염, 신경통, 오십견)
4. 관절 국소치료
· 적절한 휴식, 운동
· 보조기 일정 기간 착용(관절 휴식)
· 수영, 자전거타기, 온열요법, 마사지.
4-1 스테로이드 제재 관절 주입(심한동통)뼈주사?
· → 염증 ↓(강력), 수시간(일)내 호전 - 일시적
· 습관성(3개월 이하 간격의 반복 주사 피해야)
독성-관절연골 변성 촉진(장기적 악영향)
4-2. 히알루론산-관절강내 주사(연골주사?)
연골재생×
관절윤활작용, 보호작용-수개월간 효과적,
초기 관절염 치료 보조 사용.
---------------------------------------------
2. 수술적 치료
- 비수술적 치료(약물치료)→ 증상 호전×
- ADL 지장 극심시(4기 인공관절 시술).
- 인공관절 수명 15∼20년
(인간수명 감안-65세 이상 수술)
3번까지 가능(횟수↑ - 예후↓)
- 반월상연골 LDPE
- O 다리(연골마모, 뼈 마모)→안쪽에 부담
- 손상부분만 수술치료(부분치환술, 전치환술)
-----------------------------------------------
1) 관절경
- 유리체 및 활액막을 제거→증상완화
- 단점
완전한 치료효과를 얻기 어려움
수술효과 지속기간 예측어려워(개인차).
2) 절골술
-퇴행성 관절염이 중등도 이하
-관절의 한 부분에만 발생한 경우
관절의 정렬을 바꿈(하중 부분을 변경).
3) 소파관절성형술=다발성 천공술=미세골수술
-연골 아래골 미세 출혈→연골 재형성 촉진방법
-젊은이, 중기 이하의 관절염에서 시도.
-연골 차오를때 까지 부하금지(1개월 정도)
-효과 입증된 방법
4) 자가연골세포이식술
- 닳지않은 연골 떼어냄→손상부위 이식
5) 줄기세포이식술→연구단계(아직 증명안됨)
6) 관절성형술, 관절고정술
- 보다 심한 관절염에서 고려되는 방법
- 인공 관절 치환술(대표적, 효과적인 방법).
6-1) 부분치환술
- 종자뼈, 정강뼈 일부 인공관절 대체
6-2) 전치환술
- 한쪽수술 일주일후 다른쪽 수술
-----------------------------------------------
3. 치매(dementia)
- 퇴행성신경계뇌질환 가장 상위개념질환
(알츠하이머, 파킨슨-하위개념질환)
- 뇌세포 후천적, 퇴행성, 불가역적 병변
→65세↑-호발(5세 증가마다 유병율 3배)
- 영향질병 80여가지
- 인지기능↓(기억,시공간,언어,실행능력)
- 국내 유병율 8∼10%
(남여비 1.1 : 3.9, 일본보다 여 월등↑)
- 발병후 16∼18년간 생존
- 치료약×, 증상지연×, 완화약×
- 조기 발견 예방 최선(PET, MRI 소견)
치매증상
----------------------------------------------
초기 건망증 / 장소, 시간개념상실 / 계산력↓
익숙한(잘하던) 일 못함(실행증)
----------------------------------------------
중기 이상행동 -물건 숨기고 못찾음
-의심(←나무람×, 관심돌려 잊게함)
-없는말 지어내기(모함)
----------------------------------------------
말기 행동장애 - 잠×
-수시로 소리지르기
-누어있는 시간 늘어남
----------------------------------------------
건망증과 치매의 구분
-------------------------------------------------
건망증 치매
-------------------------------------------------
본인-불편호소+무욕증(다 귀찮아) 본인 잘 몰라
옛친구 얼굴이 갑자기 기억 안난다 가족, 지인 이름이 기억안난다
예전에 잘 알던 내용이 기억 안난다 매일하던 일이 기억안난다
물건 둔 장소가 기억안난다 제 위치에 둔 물건을 찾지 못 한다
약속을 깜빡 잊는 경우가 많다 약속한 사실을 기억 못한다
물건사러 가서 몇가지를 잊어버린다 물건사러갔다가 그냥 돌아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