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통nervous system
- 신체 내 · 외부 환경조절
- 감각정보 통합
- 다른기관계통의 맘대로(수의적) 및 제대로(불수의적) 반응의 상호조절작용
-------------------------------------------------------------------------------------
중추신경 CNS central nervous system → 정보처리 (지능, 기억, 감정)
· 뇌 brain 대뇌 사이뇌 중간뇌 다리뇌 숨뇌 소뇌
· 경계 → 뒤통수뼈 큰구멍
· 척수spinal cord
· 뇌척수막(3)
경질막-질기고두껍고,조밀/거미막-얇고 부드럽고 투명/거미막밑공간/연질막
----------------------------------------------
말초신경 PNS peripheral nervous system → 정보전달 (중추신경 ↔ 신체 부위)
· 몸신경(SNS somatic, 수의적 활동)
뇌신경 cranial - 뇌 기원 12쌍
척수신경 - 척수기원 31쌍
(목Cervical신경 8쌍, 가슴Thoracic신경 12쌍,
허리Lumbar신경 5쌍, 엉치Sacral신경 5쌍, 꼬리coccygeal신경 1쌍)
· 자율신경(ANS automatic, 불수의적 생리활동 ← 맞섬작용)
교감신경sympathetic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
들신경섬유afferennt n. fiber(감각성 = 감각신경) 수용기receptor 감각정보 → CNS에 전달
날efferent 신경섬유(운동성 = 운동신경) CNS 명령 → 근육· 샘effector에 전달(신체반응 유발)
신경조직(신경세포+신경아교세포)
신경세포의 종류(형태에 따라, 3종)
----------------------------------------------------------------
1. 홑극신경세포 1개 가지돌기 → 대부분의 감각신경 · 척수, 일부 뇌신경,
-----------------------------------------------------
2. 두(양)극신경세포 2개 가지돌기와 축삭 → 특수감각신경(망막, 후각상피, 안뜰, 달팽이)
----------------------------------------------------
3. 뭇극신경세포 다수 가지돌기와 1개 축삭 → 뼈대근육 운동신경
---------------------------------------------------------------
* 축삭 신경세포의 흥분(활동전위-전기)을 (전도)말초에 전달(연접 synapse, 화학물질)
* 가지돌기 신경세포체에서 넓게 가지를 뻗는 섬유 → 다른 신경들로부터 정보 수신
신경세포 구조(4)
----------------------------------------------------------------------
1. - 세포체 cell body(핵+핵 주변)
- 니슬소체 nissl body → RNA, 단백질합성 ← 세포 영양, 재생관여
-----------------------------------------------
2. 가지돌기
수용면적 확대, 수용된 자극 → 세포체에 전달
-----------------------------------------------------
3. 축삭axon (세포체가 받은 · 발생 자극 → 다음 세포체 · 말초에 전달)
- (축삭둔덕→말이집→신경섬유마디(랑비에마디(결절) Ranvier's node)→말이집→종말단추)
- 신경섬유마디(랑비에마디) → 말이집과 말이집사이의 일정간격 틈새
· 나트륨이온(활동전압 발생), 칼륨이온이 통과하는 전압개폐성 채널(channel) 가짐.
· 체내 신경의 자극 전달속도 1 - 120m/sec
----------------------------------------------------
4. 말이집(미엘린집 myelin sheath)신경섬유와 민말이집 신경섬유
- 말이집신경섬유( 말이집-축삭 여러겹 둘러감음 → 절연체 작용) - 전도속도 ↑(도약전도)
· (도약전도) 말이집 감싼 곳을 건너뛰며 신경신호 전달
· 일반전도보다 50배 정도 빠름(80-120m/sec)
- 민말이집신경섬유 → 말이집(단순피막, 불완전 둘러감음) × - 전도속도 ↓
---------------------------------------------------------------------
백색질과 회색질 white matter gray matter (뇌 / 척수)
----------------------------------------------------------------------------------------
백색질 말이집신경섬유 모인곳, 신경로(뇌 속질, 척수 겉질)
----------------------------------------------
회색질 민말이집신경세포 / 신경세포체 모인곳, 통합 조절중추 - (뇌 겉질, 척수 속질)
---------------------------------------------------------------------------------------
기능에 따른 신경세포의 분류(3종)
-----------------------------------------------------------------------
감각신경 sensory n. 감각수용기 신호(PNS)→ CNS에 전달(들신경)
---------------------------------------
운동신경 moter n. CNS의 자극 → 효과기에 전달(PNS)(날신경)
--------------------------------------------
사이신경세포 감각신경세포 / 운동신경세포를 연결
------------------------------------------------------------------------
신경아교세포 neuroglia(아교세포)의 종류와 특징
- 신경세포보다 몇배 많이 존재, 신경세포 지지(버팀), 보호,
- 말이집 형성(슈반세포), 신경세포와 외부의 물질교환(영양공급, 노폐물 제거) 관여
-----------------------------------------------------------
뇌실막세포 뇌척수액 분비, 순환 관여
-----------------------------------------------
별아교세포 별모양, 신경세포 ↔ 혈관(연결)사이 물질교환 중계
(영양공급 · 대사산물 처리, 혈액뇌장벽(BBB)형성)
연접 감쌈(흥분전달 효율↑, 과도한 신경전달물질 처리 - 차단)
-----------------------------------------------
미세아교세포 돌기분지, CNS 상주, 포식세포
조직속 이동 → 포식작용, 물질운반, (죽은세포) 이물질 파괴
-----------------------------------------------
희소돌기아교세포 말이집(절연작용 → 도약전도 - 신호 이동속도 ↑)형성 관여
-----------------------------------------------
신경집세포 (슈반세포 schwqann cell)
PNS 버팀세포, 말이집 형성(절연작용),
신경재생 CNS = 신경집 발달 ↓, 희소돌기아교세포 손상 - 증식 ×
PNS 가능-신경아교세포 → 신경성장인자분비 3∼4mm/일 성장
----------------------------------------------------------
시냅스 synapse(연접)
- (축삭종말)시냅스 이전막 / 시냅스 틈새 / 시냅스 이후막
- 신호전달 (신경세포 → 근육세포, 신경세포 → 신경세포)
- 20∼30nm 간격(일반적), 신경과 근육사이 50∼100nm
- 전기시냅스와 화학시냅스
---------------------------------------------------------------
전기시냅스 대부분의 세포사이 자극전달방식
· 시냅스간격 매우 좁고(3.5nm), 양방향 전달
· 틈새이음 통해 이온 직접이동(흥분전달)
--------------------------------------------
화학시냅스 화학메신저(신경전달물질)로 흥분 전달,
· 흥분성 acetycholin, norepinephrine, glutamate,
· 억제성 GABA
한방향 전달, 시냅스 지연 발생,
여러 화학물질 → 다양한자극, 자극증폭가능(특징)
------------------------------------------------------------
말초 · 신경 세포종말 nerve ending
- PNS, 1개 또는 여러개 신경종말, 온몸 안팎
- 운동신경종말(효과기) / 감각신경종말(수용기)
- 감각신경종말 → 가장 민감반응-적합자극,
하나의 자극에만 반응(?) → 논란(자극강도 크면 반응)
----------------------------------------------------------------------
자유신경종말 free n. ending
표피, 근막, 인대, 관절주머니, 뼈막, 연골막 등에 분포
통각수용기 ( 빠른 통각 → A델타섬유, 느린통각 → C섬유 전도 )
가쪽척수시상로 → 중추 투사
---------------------------------------------
마이스너 소체 meissner's
털이 없는 곳 진피(손, 발, 입술, 혀, 젖샘의 피부, 아래팔 앞쪽)에 분포,
촉각수용기, 민감하나 적응속도 빠름
---------------------------------------------
메르켈원반 merkel's disc
표피층 분포, 자극 위치, 강약, 질감(분별성 촉각), 느린 수용기
---------------------------------------------
털주머니 수용기
촉각 감지, 빠른 수용기
---------------------------------------------
파치니소체 pacinian corpuscle
압각 감지, 빠른수용기
진피, 창자간막, 뼈막(깊은 곳 위치)
---------------------------------------------
크라우제끝망울 krause end bulb 냉각감지(?)
(문헌따라 다름)촉각감지수용기로 많이 보고되고 있슴
--------------------------------------------
루피니소체 ruffini's
진피, 온각(온도감각)감지, 촉각과 압각도 수용 , 느린 수용기
------------------------------------------------------------------------
근육방추 muscle spindle
근육 길이(수축 · 이완), (수축 · 이완)속도변화(뻗침수용기).
방추형, 근육섬유, 안과 밖에 분포
---------------------------------------------
골지힘줄기관 golgi tendon organ
근육 수축 · 이완정도, 긴장도 수용(장력 검출기).
근육과 힘줄의 접합부(방추 밖)에 분포
------------------------------------------------------------------------
중추신경계통 central nervous system, CNS
- 뇌 brain + 척수 spinal cord. 경계 - 뒤통수뼈 큰구멍
- 뇌척수막 meninges (3겹, 경막 / 거미막 / 연막)
- 뇌실 ventricle / 중심관 central canal
- 척수 → 뇌줄기 brain stem(숨뇌 → 다리뇌 → 중간뇌) → 소뇌 → 사이뇌 → 대뇌
- 말초기관(수용기) → 들신경 → 중추신경(정보통합, 분석) → 날신경 → 말초기관(효과기)
1. 대뇌 cerebrum
-----------------------------------------------
- 뇌 80%(중량비). 1쌍 좌우(대뇌세로틈새) 대뇌반구
- 대뇌겉질(회색질 2 - 3mm 두께 ) · 대뇌속질(백색질)
- (표면적 ↑) 이랑gyrus(튀어나온) / 고랑 sulcus(패인) / 틈새(고랑보다 더 깊게패인)
- 엽lobe(4) · 이마엽frontal 21(중심고랑 앞, 의식적인 운동기능과 고차원적 인지기능 담당)
· 마루엽parietal(중심고랑 뒤쪽이며, 마루뒤통수고랑의 앞쪽. 주로 몸 감각정보 받음)
· 뒤통수엽occipital(마루뒤통수고랑과 뒤통수 앞패임 뒤쪽 부분, 시각정보 받음)
· 관자엽temporal(가쪽고랑의 아래쪽 부분, 청각정보 받음)
- 대뇌 아래쪽 → 후각뇌(후각수용) / 안쪽면 → 둘레엽(변연엽 - 감정, 욕구, 기억관련)
- 대뇌 중심 → 바닥핵( 회색질, 대뇌겉질과 연계하여 운동조절)
---------------------------------------------
*해마 학습과 단기기억에 중요한 역할하는 둘레계통은? → 해마 ②(양쪽 측두엽에 있음)-해마와 비슷하게 생김
여성 뇌들보( 좌우대뇌반구 연결 섬유) 정중앙 후반부 특히 비대
- 언어중추기능(왼쪽반구) ← 오른쪽반구-강력하게 도와줌
- 일반행동 → 양쪽 반구협력정도 더 큼(남성보다)
브로드만 뇌지도(대뇌겉질 47개 영역, 대뇌속질 5개 영역 번호표시)
-----------------------------------------------
- 운동영역(근육 수의운동명령) → 중심앞이랑(브로드만 제4영역)
- 감각영역(자극도달부위) → 중심뒤이랑(브로드만 제3, 1, 2영역)
- 시각영역 → 뒤통수엽 - 새발톱고랑(브로드만 제17영역)
- 언어중추 → 이마엽아래, 관자엽 - 왼쪽MCA 막힘 - 오른쪽반신마비, 실어증
------------------------------------------------
브로드만(Korbinian Brodmann) 독일,해부학자
최근 - 180개 독립구획(사람마다 각 영역 크기 다름)
펜필드 운동 · 감각 난장이(호문쿨루스homunculus)(p348)
---------------------------------------------- ---
- 겉질 전기자극 → 반응신체 관찰 - 신체지도
- 기능 = 일정영역에 한정
- 신체부위 순서대로 뇌 겉질부위 기능이 배치되지 않았다
- 해당피질 크기 → 신체크기에 비례 않았다
- 복잡운동 부위 = 대응영역 넓음(손가락 · 발성기관 · 입술)
- 감각영역과 운동영역의 구분
- 해당부위 반대쪽 반구에서 대응(전도로 숨뇌에서 좌우교차)
-------------------------------------------------
Wilder Penfield 신경외과의사
언어상실증 aphasia
------------------------------------------------------
- 베르니케 언어상실증 ①
· 청각연합피질 손상(감각언어영역) 왼쪽관자엽 위관자이랑의 뒤쪽(22, 39, 40)
· 언어에 대한 청각, 시각정보 이해하는 곳
· 언어 이해력 ↓(단어 의미파악 × )
· (남의 말 이해못함) 동문서답, 상황에 대한 이해 × (질문이해 × )
· 읽기언어상실증을 동반할 수 있음
-------------------------------------------
- 브로카 언어상실증
· 이마엽 가쪽고랑앞(44, 45) 운동언어영역
· 감각언어영역 언어정보 → 조정, 전환 → 운동영역으로 보내는 곳
· MCA 경색시 손상(언어 이해능력은 보존)
· 전보문 스피치(telegraphic speech) - 간단, 생략
· 비슷한 발음의 뜻 다른 단어로 말하기, 전혀 다른 단어로 바꿔 말하기
-----------------------------------------------------
생각하는 사람 - 이마엽앞영역(인간 특히발달) (정보 + 기억 → 계획 + 판단 + 의사결정)
편도체(아몬드씨앗) - 공포, 분노, 좋고 싫은 감정 만들고 기억, 냄새관련
해마 - 앞쪽 끝 편도체와 연결 기억, 상기 담당
대뇌속질-바닥핵 basal nucleus
--------------------------------------------------------------
- 꼬리핵, 조가비핵 변성( ← 중간뇌 흑색질의 도파민dopamine 영향)
→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신경학적손상(도파민분비 신경세포) → 점진적 퇴행성 질환
3대증상 - 근육경직, 안정시 떨림tremor, 운동실조(마비), 언어결함
L - 도파 투여 → 도파민생산증가 자극, 항콜린성 약물 투여 → 아세틸콜린 생산감소
- 꼬리핵 변성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GABA 영향) → 헌팅톤무도병huntinton's chorea
- 희귀유전병(대사작용의 유전적 결함 → 뇌조직(신경계) 퇴화)
- 중년기 이후 손 · 발 · 얼굴 불수의적 / 균형 × / 경련 움직임(춤추듯)
-------------------------------------------------------------
사이뇌(간뇌) diencephalon
감각의 중계, 감각 → 무의식적 반사, ANS 통합중추
시상 thalamus, 시상하부hypothalamus, 시상상부epithalamus 시상밑부subthalamus
-----------------------------------------------------------
- 시상 thalamus 감각 · 운동정보의 대뇌겉질 전도(후각제외) 중계소, 사이뇌 4/5 차지
-----------------------------------------------
- 시상하부 hypothalamus (항상성기전, 내분비기능 최고 조절중추)
· 항이뇨호르몬(ADH) 생산, 옥시토신oxytocin 생산
· *섭식중추 / 포만중추 → 가쪽핵, 배쪽안쪽핵
· ANS 최고 조절중추
① 체내 환경의 항상성 유지
혈액온도(체온조절), 혈당치, 체액의 삼투압(수분조절),
뇌하수체호르몬 분비 조절
② 생존위한 본능instinct 행동 → 섭식, 음수(갈증조절), 성적행동
③ 감정과 행동 → 감정자극에 대한 쾌감, 증오, 공포 - 신체반응으로 표출(조절),
· 수면각성주기 조절,
-----------------------------------------------
- 시상상부 epithalamus
· (솔방울샘에서)세로토닌에서 멜라토닌melatonin 합성하여 혈액에 방출(밤↑, 낮↓)
← (성조숙억제, 약한 수면작용, 하루주기리듬, 계절주기리듬 조절)
· 시상하부 자율신경 / 행동반응 관련핵 조절
-----------------------------------------------
- 시상밑부subthalamus
-----------------------------------------------------------
*섭식중추 / 포만중추 → 가쪽핵, 배쪽안쪽핵
뇌줄기 brain stem(중간뇌mesencephalon + 다리뇌pons + 숨뇌medulla oblongata)
----------------------------------------------------
중간뇌 → 사이뇌와 연결, 시각, 청각 반사중추, 동공 반사중추
다리뇌 → 중간뇌 · 숨뇌 · 소뇌와 연결됨(신경 연결역할), 배뇨중추
(일부 문헌 - 호흡 조정중추 → 1회환가량 줄여서 호흡수 늘림. 근육긴장조절중추 위치)
----------------------------------------------------
*중간뇌 앞가쪽에 위치하며 대뇌겉질에서 내려가는 1쌍의 신경섬유로가 통과하는 곳은? → 대뇌다리 ②
*중간뇌수준 반사, 생후6개월 출현후 평생 지속됨 → 양서류 반응 ②
엎드려누운자세, 머리 중간자세, 양다리 폄, 양팔 머리위로 올려 폄 → 한쪽골반 들어올림
→ 같은쪽 팔, 엉덩이, 무릎 굽힘(양성), 음성(성숙지연)
숨뇌 medulla oblongata
------------------------------------------
뒤통수뼈 큰구멍 높이에서 척수에 연결
순환중추(심장운동, 혈관-혈압) / 호흡중추 / 연하(삼킴중추) / 구토 중추 / 기침 / 발한 / 소화 반사중추
피라미드pyramid (내림신경로) 교차 부위
-----------------------------------------
소뇌 cerebellum ①
-------------------------------------------------------------
- 뒤통수엽 아래 / 다리뇌와 숨뇌 뒤쪽 위치, 연결되어 있슴
- 소뇌반구(2)와 소뇌벌레
- 주요기능 3가지
1. 수의적 섬세운동(협응성) 조정
2. 안뜰신경계(핵)와 척수, 대뇌와 연결하여 근육긴장도 유지
3. 몸 자세와 균형유지(무의식적 고유감각 수용)
- 소뇌실조의 임상양상 → 상반운동반복장애(규칙적이고 빠르게 교대로해야하는 운동을 못함) 21
- 소뇌실조환자의 운동조절능력 강화 물리치료 → 눈뜬상태에서 운동하고, 나중에 눈감고 실시 21
-------------------------------------------------------------
소뇌 cerebellum 실조ataxia(운동마비 없음에도 불구하고, 운동 정확도, 원활함 손상상태)
------------------------------------------------------------------------
- 눈떨림(안진) 타래결절(안뜰소뇌) 장애 율동적으로 반복되는 안구의 불수의 운동
- 실조보행 척수소뇌 장애 팔을 가로로 올려 균형잡으며 보행,
평행장애(서있기 어려움)
- 측정이상증 다리뇌, 소뇌 장애 손가락 · 발을 원하는 곳으로 정확히 가져가지 못함
- 활동떨림(기도진전) 22 근육긴장저하(손목, 몸통, 다리를 손으로 움직여 봄) 운동수행시 떨림
------------------------------------------------------------------------
척수 spinal cord
-------------------------------------------------------------
- 직경 약 1cm, 길이 45cm, 척주관 vertebral canal 안에 위치, 31쌍 척수신경
- 뇌 ↔ PNS 감각, 운동자극 양방향전달 / 척추반사기능 중추,
- 척수 중심부 - 회색질(신경세포) / 변두리 - 백색질(신경섬유)
- 숨뇌 / 뒤통수뼈 큰구멍 ↔ L2 / 종말끈 terminal → 꼬리뼈 뒷면
- 목 분절(목신경) - 고리뼈C1∼C8 / 가슴분절(가슴신경) T1∼T12
/ 허리분절(허리신경) L1∼L5 / 엉치(엉치신경) S1 - S5 / 꼬리신경
- 목팽대 - 팔신경얼기 / 허리엉치팽대 - 허리엉치신경팽대
- 앞뿔(운동신경세포포함) / 뒷뿔(감각신경세포포함) / 중심관
- Bell magendie 법칙 → 척수 앞뿌리-운동신경, 척수 뒤뿌리-감각신경
----------------------------------------------------------
* 황색인대 21 - 척주관 속면에서 잘보임
- 허리뼈 부위가 두껍고 강함
- 이웃한 척추뼈 고리판을 연결하며, 탄력섬유가 많음
말총증후군 22 - 허리엉치관내 신경뿌리 압박으로 조임근 이상
- 소변 · 대변 조절장애, 회음부 감각이상
- 허리엉치신경얼기근 운동 및 감각장애
뇌실ventricle과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
- 뇌실 · 뇌 / 척수막(3겹) - 경질막(가쪽), 거미막, 연질막-CNS 보호
· 4개 뇌실
- 가쪽뇌실21(2-한쌍) → 앞뿔, 뒤뿔, 아래뿔이 있음,
양쪽대뇌반구속에 위치한 C자모양의 불규칙한 공간,
- 셋째뇌실, 넷째뇌실
--------------------------------------------
-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 뇌/ 척수 지지, 충격보호, 무색 투명액체
· 맥락얼기(CSF 생성, 순환담당) 총량 130∼150ml, 400∼500ml 생산(3회이상 교체/일)
· 혈액뇌척수액장벽(blood-CSF barrier) 통해 혈장 일부-이동 형성물질
· 순환경로 가쪽뇌실(1, 2) → 셋째뇌실 → 중간뇌수도관 → 넷째뇌실 → 종말뇌실
· 순환경로 폐쇄 → 수두증hydrocephaius
- 허리천자 (뇌척수액 채취 - 말총부분 L3 ∼ L4)
· 거미막밑 출혈 → 붉고 혼탁
· 수막염 → 백혈구 증가(염증)
· 신경계통질환 진단 → 단백질과 당의 양적변화
------------------------------------------------------------------------
수두증
----------------------------------------------
- 2세↓ 소아 - 머리둘레 비정상 커짐(두개골 열림, 대천문 튀어나옴)
- 구토 / 잠만 잠 / 눈 - 아래로 쳐지거나 안쪽모임 경우 있음.
- 큰 소아 - 주로 두통호소(아침 깨었을 때 심함)
------------------------------------------------
대상포진 개요(포도알 띠모양(帶狀) 빨간물집(포진)
------------------------------------------------------------
- 수두유병자(바이러스 잠복-척추주변 신경절) → 억제 못할 때 발생
→ 유병자 3명중 1명 발생(면역력 ↓ - 피곤, 스트레스, 일교차 ↑ - 체온조절) 발생.
→ 통증의 왕! ↑ ↓
→ 신경에 상처 남김(신경통 남길 가능성 - 초기대응 중요)
→ 얼굴 발생 - 뇌수막염 발생가능성
- 특징 · 피부물집-몸 좌우 한쪽에만 신경지나는 곳에 발생
바이러스 증식 → 신경따라 나옴(신경자극-염증)-물집(터짐 → 서서히 회복)
얼굴, 가슴 · 배(50%), 등, 팔, 얼굴, 허리, 엉덩이, 다리
· 통증발생(2∼3일 경과)후 발진
- 증상 · 초기(통증 → 수포, 두통, 발열)
통증(칼 베인듯, 감전?) 통증지수 산통18점, 대상포진 23점
- 유사질병
· 3차신경통(5) - 신경가지 눌림
· 늑간신경통 - 누르면 아픔, 물집 ×
· 허리 디스크통증 - 허리구부림-통증
- 치료 · 찬크도말검사(수두바이러스 감염여부검사) - 세포비대, 핵 여러개 현미경관찰
· 항바이러스제 투여(물집발생 72시간내 복용 → 효과(물집↓)
· 약물치료 자율신경차단주사(국소마취, 스테로이드) - 이상감각 둔화효과
4주후 완치 가능(통증 ×, 발진 ×)
- 예방주사 60세 ↑ → 60% 예방(5년간 효력), (100% 예방 × - 가볍게 앓을 가능성, 합병증 가능성 ↓)
- 합병증 ( 발생범위 넓고, 통증 심했던 경우 - 합병증 가능성↑, 50 대 20%, 60대 30% 발생)
① 만성신경통 (대상포진 왔던곳 신경손상 → 계속 통증)
· 신경 상처 - 통증억제회로 작동손상 → 통증(신경통)
· 발생확률 12% (나이 ↑수록, 통증 ↑, 항바이러스 복용싯점 늦었을 때)
② 운동신경마비(팔다리 대상포진 → 운동신경 공격 손상)
· 힘 풀림 , 마비증상(잘 걷지못함) , 아무때나 통증
③ 얼굴대상포진 후유증(드뭄) → 실명, 청력저하, 뇌수막염
----------------------------------------------------------
*대상포진 ① - 수두병력과 면역저하
- 몸통의 한쪽방향으로 발진, 물집, 통증발생
- 찬크도말검사 양성
신경로 tract
----------------------------------------
- 명칭 시작부위(앞) → 닿은 부위(뒤)
- 오름(감각)신경로 ascending tract
· (가쪽, 앞쪽)척수시상로, 널판다발(박속), 쐐기다발(설상속), (앞, 뒤, 입쪽)척수소뇌로
- 내림(운동)신경로 descending tract
· (가쪽, 앞쪽)겉질척수로, 닾개척수로, 그물척수로, 적색척수로, 안뜰척수로
---------------------------------------
*가벼운 촉각, 압각, 온도감각, 통각 등의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신경로는? → 척수시상로 22
척수반사활 spinal reflex arch
-----------------------------------------------------------------------------------
- 가장 빠른 전도로.
- 자극(수용기21-체내외 변화감지, 자극받아 감각 흥분시작)
→ (대뇌겉질 경유 생략 · 단축 - 척수에서 되돔) → 반응(무의식적 + 자율적)
- receptor →감각신경세포(들신경)→사이신경세포(반사중추) → 운동신경세포(날신경) → effector
----------------------------------------------------------
- 무릎힘줄반사 넙다리네갈래근 무릎인대 자극 → 척수(L2∼L4) → 근육수축(무릎폄)
- 아킬레스힘줄반사 아킬레스힘줄 자극 → 종아리세갈래근수축(발목폄)
- 고환올림근반사 넙다리 윗부분 안쪽 피부 마찰 → 고환올림근 수축(고환들어 올려짐)
-----------------------------------------------------------------------------------
- 중간뇌 경유 반사활
· 동공반사(눈-빛 → 동공축소)
· 고막긴장근반사(큰소리 → 고막긴장근 수축 → 속귀저항증가-속귀노출 줄임)
-----------------------------------------------------------------------------------
* 반사검사 ② - 자극에 대한 신체의 불수의적 반응을 검사
- 감각과 운동경로의 상호작용을 평가
- 의식이 없는 경우에도 실시 가능
* 넙다리네갈래근 ① 약화 → 무릎관절 폄근 지연(extensor lag) 발생
* 넙다리곧은근 단축 ①
- 바닥의 물건을 집어 올리는 동안 허리통증 발생
- 엎드린자세에서 오른쪽 무릎을 90도 굽힘했을때
허리통증과 함께 오른쪽 엉덩관절 굽힘 또는 골반 앞쪽기울임 발생
*허리통증환자 관리방법 ① → 의자에 앉을때 등받이에 엉덩이를 최대한 밀착하여 허리를 폄한다
* 바빈스키 징후 ① - 검사방법 : 반사망치 손잡이 끝으로 환자의 발꿈치에서 부터
발바닥의 가쪽을 따라 엄지발가락 바로 아래쪽까지 자극
- 검사결과 : 엄지발가락은 폄 되고, 나머지 발가락은 벌림
팔신경얼기 brachial plexus - 가장 발달한 신경총
------------------------------------------------------------------
- 긴가슴신경 long thoracic n. 22
· 앞톱니근 약화 → 날개어깨뼈 wining scapula
-------------------------------------
- 정중신경 median n.
· 손바닥 피부의 가쪽 1/2 지배, 팔 오금 가운데로 내려옴
· 손목터널(굴)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 염증(신경 압박, 손상)
· 손 업침. 손목과 손가락 굽힘 ×, 노쪽 손가락 감각장애
· 엄지두덩근(엄지모음근 제외) 마비 - 엄지손가락 맞섬 × →유인원손ape hand(원숭이손)
· "기도하는손" - 엄지 · 집게 · 가운데 손가락 끝 · 중간뼈 마디 굽힘 × → 엄지두덩 편평
· "O"형 만들기 어려움("O" making -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 손상 테스트 02
· 물리치료 → 긴엄지굽힘근 강화 21
· 손목굴 협소, 첫째, 둘째손가락의 손바닥 감각저하, 엄지두덩 위축 → "O"형 만들기 운동 22
· 지배근육 flexor carpi radialis flexor policis longus
pronater quadratus abductor policis brevis
----------------------------------------------
- 자신경 ulnar n.
· 손바닥과 손등안쪽 1/2에 분포(두번째손가락 감각이상03)
· 손가락 끝마디 굽힘. 손가락 모음 ×,
· 벌림 × → 갈퀴손 claw hand. (독수리손)
(손허리손가락관절의 과도폄, 몸쪽손가락뼈사이관절 굽힘)
· 자신경 마비부위
① 자신경굴증후군guyon's canal 손 안쪽근육 마비, 위축
(손허리뼈근육, 새끼두덩근육, 엄지모음근)
② 팔꿉굴증후군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 뒤쪽 자신경 손상
자신경굴증후군 + 4, 5 손가락 굽힘장애(깊은손가락굽힘근 자쪽부위 마비)
손의 노쪽 변위(손목굽힘근 마비)
---------------------------------------------
- 노신경 radial n. (팔 폄근 지배)
· 노신경 마비 부위
① 겨드랑(클러치마비) - 위팔, 아래팔 폄근 마비
② 위팔뼈 뒤쪽 노신경고랑 - 수면중의 압박, 위팔뼈 몸통골절, 위팔 부주의한 주사
(위팔세갈래근 안쪽갈래, 아래팔폄근 마비,
위팔세갈래근 긴갈래 · 가쪽갈래 마비 안돼 팔 폄운동 가능)
③ 손뒤침근 위모서리 - 손뒤침근 통과 뒤뼈사이신경 손상
(아래팔폄근 마비, 피부감각손실 없음)
· 팔꿈치 펴짐 ×. 손목, 손가락 구부러짐. 팔 늘어짐
→ 손목처짐 wrist drop(위팔세갈래근 안쪽갈래, 아래팔폄근 마비, 굽힘근 긴장, 중력)
→ 서류봉투 겨드랑 끼기 ×(pectoralis major손상)
--------------------------------------------
근육피부신경 musculocutaneous (위팔굽힘 (부리위팔근 · 위팔두갈래근 · 위팔근) 지배)
--------------------------------------------
겨드랑신경 어깨세모근 지배, 팔 → 수평보다 위로 못듦
-----------------------------------------------------------
* 근육피부신경, 노신경은 팔신경얼기에서 나오는 신경이다 22
허리엉치신경얼기
---------------------------------------------------------------------
- 음부넙다리신경 genitofemoral n.
넙다리 위안쪽부위 마찰 → 그쪽 고환 올라감(반사활) - 고환올림근반사
----------------------------------------------------
- 정강신경 tibial n.
뒤정강근, 종아리세갈래근, 긴발가락굽힘근 통제. 마비 → 발바닥굽힘 ×
------------------------------------
- 온종아리신경 common fibular n. 22
(종아리 앞쪽 근육) 앞정강근, 긴발가락폄근, 종아리근 마비 → 발등굽힘 ×
발처짐 foot drop
종아리 가쪽면과 발등쪽면 피부감각소실
얕은 · 깊은종아리신경으로 나뉨 → 얕은종아리신경 일시마비-정좌시 다리저림
--------------------------------------------------------------------
*아래볼기신경 22 - 엉덩관절 폄근 약화 → 보행시 몸을 뒤로 젖힘
- 손상쪽 디딤기에서 신체 중력선이 엉덩관절 뒤에 위치
* 궁둥신경 손상으로 약화된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치료는?
→ 엎드려누운자세에서 무릎굽힘운동 23
말초신경계통 peripheral nervous system(뇌신경 / 자율신경-교감·부교감신경)
-----------------------------------------------------------------
뇌신경cranial nerve
대뇌 → 척수쪽 나옴, 12쌍, 머리쪽부터 나오는 순서따라 로마숫자 고유번호
감각 + 운동 + 혼합신경
- 감각신경(3) → 후각1, 시각2, 속귀신경8
- 운동신경(5) → 눈돌림3, 도르레4, 갓돌림6, 더부11, 혀밑12
- 혼합신경(4) → (인두기관 유래) 삼차5, 얼굴7, 혀인두9, 미주신경10
- 자율신경(부교감 신경) 포함 말초뇌신경(4) → 눈돌림3, 얼굴7, 혀인두9, 미주신경10
----------------------------------------------------------------
1 후각신경 olfactory n.(감각신경) - 가장짧슴
-------------------------------------------------------------
- 후각 전달
- 후각상피(코구멍 천장 후각세포) → 체판 → 후각망울 → (후각로)대뇌하부 후각영역/편도체 투사
-------------------------------------------------------------
2 시각신경 optic n.(감각신경)
----------------------------------------------
- 명암 · 색상
- 뇌바닥 → X자 시각신경교차 optic chiasm(절반교차 = 반교차)
오른 정보 반 - 왼쪽뇌 전달, 왼쪽정보 반 - 오른뇌 전달
- 귀쪽반맹(뇌하수체 비대, 종양 → 시각교차 정중후부 압박)
→ 망막안쪽 절반 감각차단(바깥 절반 안보임)
---------------------------------------------
3 눈돌림신경 oculomoter n.(운동신경)
------------------------------------------------------------------------------
- 눈움직임(6개 근육중 4개 담당)
① 위곧은근(위 보기)
② 아래곧은근(아래 보기)
③ 안쪽곧은근(안 보기)
④ 아래빗근(바깥쪽 위)
+ 눈꺼풀올림근
- 에딩거베스트팔핵(edinger westphal nucleus) - 부교감신경핵
① 빛반사light reflex → 동공조임근(동공크기 ↓, 망막 빛 자극 → 동공축소)
→ 직접빛반사direct, 공감성consensual빛반사(한눈 빛비춤 →양쪽 동공수축)
② 원근조절반사 → 섬모체근(수정체 긴장조절, 수축 → 수정체 볼록해짐)
→ 동공축소동반
- 교감신경자극(동공확대) - 눈돌림신경 우위(동공축소)
--------------------------------------------------------------------------------
*아래곧은근 - 눈돌림 신경 22
4 도르레신경(운동신경) trochlear n.
-------------------------------------------------------
- 위빗근 superior oblique(아래쪽 바깥보기) 지배
- 도르레(눈 방향전환)
- 도르레 신경마비 → 계단 내려가기 어려움
- 손상 → 안쪽돌림 · 위돌림 · 아래회전 장애 · 눈꺼풀처짐 · 동공확대(빛 반사장애)
- 중증뇌경색 → 눈돌림신경 압박 - 손상쪽 동공확대
동공부동* ← 뇌줄기 압박(호흡정지 전단계)
--------------------------------------------------------
*동공부동 - 좌우 동공크기가 같지않슴
*위팔뼈에서 볼 수 있는 것은? → 도르레 22
5 삼차신경(혼합신경, trigeminal nerve) - 가장 큼
-----------------------------------------------------------------------------
- 얼굴 일반감각과 씹기근육 지배 21
- 각막반사 (삼차산경 유해자극 → 눈감기, 얼굴찌푸리기)22 → 신경 손상여부 확인,
- 다리뇌 → 3개 갈라짐(눈 · 위턱 · 아래턱신경)
① 눈신경(위눈확틈새 → 눈확 → 안구, 부속기관 분포) → 각막 · 결막 예리한 지각(시각과 무관)
② 위턱신경 → 얼굴근육(윗입술 / 광대뼈), 위턱, 입천장, 위턱치아속질 분포
③ 아래턱신경 → 아래턱 - 관자부위 피부, 뺨, 입안 바닥, 혀앞 2/3 점막(촉 · 온도감 · 통각),
아래턱치아 속질 분포
→ (씹기근육) 깨물근 · 관자근 · 가쪽날개근 · 안쪽날개근 분포
→ 턱목뿔근, 두힘살근의 앞힘살 지배
-----------------------------------------------------------------------------
- 삼차신경통(중년여성)
· 귀 뒤 혈관 → 삼차신경 압박(치료 → 테프론 삽입-압박감소)
· 얼굴 감각이상(저하), 씹기근육 약화
· 원인(외상, 대상포진), 편측성으로 수초∼수분간 통증 지속
· 유통성 틱(통증 → 순간적, 얼굴 움찔거림)
· 통증유발점(위턱, 아래턱 분지에 주로) 발생
6 갓돌림신경 abducens n.(운동신경)
---------------------------------------------------------
- 안구 → 바깥돌리는 가쪽곧은근
- 안구움직임 → 눈돌림 · 도르래 · 갓돌림신경(3개신경, 정확 신속) ← 한쪽 신경마비 - 복시
- 동향안구운동 (↔이향안구운동-좌우 안구 반대방향 움직임) - 눈모으기, 멀어지기
좌우가쪽, 위 · 아래 같은방향 동시 움직임, 글읽기
--------------------------------------------------------
7 얼굴신경 facial n. 혼합신경
------------------------------------------
- 표정근육 담당(등자근 포함)
- 고실끈신경(고실지나는) → 미각감지(혀 앞쪽 2/3) - 감각신경
- 부교감신경 함유 → 눈물샘-눈물, 혀밑샘 · 턱밑샘 - 침 분비
------------------------------------------
* 설탕 + 소금 + 타르타르산을 묻힌 면봉으로 , 입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앞으로 내민 혀의 앞쪽 2/3부위에 면봉을 접촉시켜 검사 → 얼굴신경 검사 21
* 넓은목근platysma m. 22 - 얼굴신경이 지배
- 이는 곳은 목과 가슴의 근막이며 닿는 곳은 아래턱뼈와 입꼬리
- 목 피부의 긴장도 유지, 입꼬리 아래로 당김?(슬픔, 두려움 표현)
(아랫입술 주로 내리는 근육 → 입꼬리내림근, 아래입술내림근 / 목 앞면 넓은 근육 활시위 효과)
* 얼굴신경마비 환자의 운동치료는? → 입술을 천천히 모으고 가지런히 내밀기
안면마비facial paralysis (bell's palsy, 구안와사)
- 한랭노출, 외상, 뇌졸중(종양), 스트레스(피로,정신충격),
중이염 합병증(안면신경 압박), 대상포진 합병증(램지헌트증후군)
- 최초침범(4주후) - 원래에 가깝게 회복가능성 ↑- 80%, → 일부 서서히(몇개월) 회복, 일부 증상 남음,
- 주로 한쪽 마비(근육이완-움직임 ↓- 비대칭) / 일부는 전체마비 → 미각장애, 청각과민
- 치료 · 증상대응 + 안면신경 혈액공급↑(전기치료)
· 거울을 이용해 표정을 만드는 운동 반복 21
--------------------------------------------------------------------------------------
구분 이마주름잡기 눈감기 혀 구부러짐 기타
-------------------------------------------------------------------------------------
중추성CNS 양쪽가능 22 가능 환측으로 뇌졸중 등 의심
-------------------------------------------------------------------------------------
말초성PNS 마비쪽 × 마비쪽 × 건측으로 물, 식사시 마비 쪽으로 새어 나옴
-------------------------------------------------------------------------------------
8 속귀신경 vestibulocochlear n.(안뜰신경+달팽이신경 - 타원주머니 + 둥근주머니 + 세반고리관)
----------------------------------------------------------------------------------------
- 안뜰신경vestibular n. → 타원주머니 · 둥근주머니(평형반) - 선linear가속 · 중력 감지 전달
→ 세반고리관 - 각angular가속 기울음tilt 감지 전달
· 전정안구반사 - 머리 움직임
→ 눈 목표물 주시(안정 시각 유지 - 곧은근 수축)
· 전정척수반사 - 머리 기울음 → 몸통 위치 안정(척수신경 활성화)
- 달팽이신경 cochlear n. → 달팽이관(나선기관) - 청각 전달
· (삼차신경, 얼굴신경 반사적 연결) 등자근, 고막긴장근 수축조절 추정
---------------------------------------------------------------------------------------
9 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n.(설인신경)
----------------------------------------------------------------------
- 3종 감각전달
① 혀뒤 끝부분(혀뒤1/3 미각전달) 지각.
② 혀(인두근 - 삼킴 운동) + 인두 점막(구토반사) + 중간귀 일반감각 지각 전달
③ (목동맥팽대) 동맥혈압 변화, (목동맥) 혈중이산화탄소 농도변화 중추 전달
- 부교감신경함유 → 침 분비 담당
- 설인신경통(희귀, 40∼60대 남자. 삼킴통증 - 혀뒤 1/3부위)
· 삼차신경통 부위내(이마, 광대뼈, 턱)
· (작은자자극에도) 얼굴 1/2(반쪽) 통증
----------------------------------------------------------------------
10 미주신경 vagus n. - (혼합신경) 운동+감각+부교감신경 포함, "헤메고 다닌다" (길고, 멈)
---------------------------------------------------------
- 목, 가슴 → 인두 · 후두 · 심장 · 폐 · 식도 - 혈압, 심장박동, 호흡수 조절 관여
배 → 위(위액분비촉진) · 창자 · 간 · 이자 · 지라 · 콩팥
- 휘돌이(되돌이)후두신경 → 마비(쉰목소리)
- 부교감신경 함유(부교감신경의 75%차지, 넓게 분포 → 호흡, 심장, 장기 운동 / 분비)
장기훈련 → 안정, 최대하 운동 - 심박수 감소 ← 미주신경 간장도 ↑
----------------------------------------------------------
11 더부신경 accessory n. 운동신경. "뇌뿌리가 미주신경의 부수적인 신경으로 변한다"
-------------------------------------------------------------
- 뇌신경뿌리cranial root + 척수신경 뿌리spinal root
- 뇌신경뿌리 → 연구개, 인두·후두근육 지배
- 척수신경뿌리 →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 등세모근trapezius m.에 분포
-------------------------------------------------------------
12 혀밑신경 hypoglossal n.
------------------------------------
- 혀 모양, 움직임 (모든 혀근육에 분포)
------------------------------------
자율신경autonomic nerve(교감·부교감신경)
교감 · 부교감신경의 대항 (맞섬 · 길항)작용
---------------------------------------------------------------
장기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
동공 확대 수축(축소)
침샘 분비억제 분비자극
기관지 근육이완(넓힘) 근육수축(좁힘)
심장 박동 ↑ 박동 ↓
혈관 수축(얼굴창백) 확장(붉어짐)
혈압 상승 하강
간 글리코겐 → 포도당 전환 쓸개즙 분비자극
창자 꿈틀운동 억제(변비) 꿈틀운동 촉진(설사)
부신 아드레날린 · 노르분비 -
방광 수축억제
자극털세움근 수축(닭살) 이완
자극전달물질 노르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
신경흥분전도시 근수축
-----------------------------------------------------
칼슘유입 → Ach 방출 → Na 세포내 이동 → 활동전위 발생
→ T 세관 흥분전달 → 근형질세망에서 칼슘 유리
→ 필라멘트간에 교차다리 형성 → 액틴과 마이오신 활주
→ 근수축
-----------------------------------------------------
'해부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9장 호흡계통 (0) | 2015.10.27 |
---|---|
해부학 7장 감각계통 (0) | 2015.09.22 |
제8장 심장혈관계통 (0) | 2015.08.24 |
인체에서 소금의 장점과 단점 (0) | 2015.03.10 |
기관절개술 시술이유, 개념과 기도막힘 응급조치(하임리히요법) (0) | 201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