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기관 sense organ
외부 물리 화학적 자극 수용
외피(피부) 시각기관 평형, 청각기관 후각기관 미각기관
특수감각 (시각, 청각, 미각, 후각, )
피부감각 (촉각, 압력감각, 온도감각, 냉각, 통각)
고유감각 (근육, 힘줄, 관절)
근육방추(근육 수축속도 · 강도 감지),
골지힘줄기관(근육수축에 의한 힘줄 신장속도 · 장력 감지)
내장감각 (구역질, 공복감)
외피(피부skin)
외피(피부) + 부속기관(털, 손 · 발톱, 피부샘)
----------------------------------------------------------------------------------------------------------------------
표피(4)epidermis(중층평편상피) 진피dermis 피부밑조직*
----------------------------------------------------------------------------------------------------------------------
각질층-기계자극 저항, 수분방출방지 유두층-감각신경종말 분포, 지문
투명층-엘레이딘(반유동물질) 포함 그물층-분할선cleavage line
과립층
(가시층)
종자층(바닥층)-멜라닌색소 보유
----------------------------------------------------------------------------------------------------------------------
자외선 - 멜라닌색소 합성자극 → 멜라닌 증가
몽고반점 - 진피에 모인 멜라닌세포, 깊은 층-파랗게 보임
분할선 - 피부 부위마다, 다른 주름, 일정방향 배열
→ 외과수술 선따라 절개 - 흉터 최소화(틈새 구멍 × - 흉터 ↓, 빠른 치유)
피부밑조직*(성긴결합조직) - 피부 + 피부아래조직 느슨하게 결합,
- 피부 미끄러짐 · 당겨짐-지방저장소(절연체, 체온조절)
결합조직 21 - 몸에 널리 분포하며, 몸의 구조를 이룸
- 세포나 기관 사이 틈을 메우고, 기관을 지지 · 보호함
피부 기능
--------------------------------------------------------------------------------------------
1. 신체보호 4. 촉감 · 온열감, 통각의 감수
2. 체온조절 5. 약물 등의 흡수
3. 배설(수분, 지방질, 기타) 6. 비타민D 저장
--------------------------------------------------------------------------------------------
피부 부속기관(털, 기름샘과 땀샘)
--------------------------------------------------------------------------------------------------------------------------------
털 - 피부보호 · 체온보존 · 촉각감지
- 생식털(사춘기 이후 발모) → 겨드랑털, 수염, 음모
- 배냇솜털downy hair → 신생아 가늘고 연한 솜털
- 털망울 = 털뿌리 바닥 (멜라닌세포 → 털뿌리세포에 멜라닌 공급)
- 멜라닌 량 ↑↓ - 검정 · 갈색 · 금발 · 백발 정해짐
- 털세움근 → 수축 - 털 섬 → 피부기름샘 압박 → 기름방출
기름샘과 땀샘 ← 피부유형(건성, 지성, 복합성) 결정요소 21
- 샘분비땀샘(에크린땀샘eccrine sweat gland) - 일반적인 땀샘
- 부분분비땀샘(에포크린샘apocrine sweat gland) → 겨드랑, 샅, 젖꼭지, 음부, 항문주위
- 세균번식(특이한 냄새 겨드랑-암내)
-----------------------------------------------------------------------------------------------------------------------------------------
손 · 발톱 nail
-------------------------------------------------------------------------------------------------------------------------
- 표피가 각질화된 각질판
- 손발톱 몸통 / 반달(계절, 영양상태) / 손발톱 뿌리 / 손발톱 바닥(바탕질-성장 · 재생 주관)
- 위허물 / 아래허물
------------------------------------------------------------------------------------------------------------------------
화상 burn (열, 화학약품, 방사선)
----------------------------------------------------------------------------------------------------------------
1도화상 2도 3도 4도
----------------------------------------------------------------------------------------------------------------
표피손상 진피손상(일부/전체) 피부밑조직 근육손상
홍반 표피괴사, 통증 ○ 통증 × 뼈손상
햇빛그을림 수포 반흔scar
껍질벗겨짐 피부이식필요
----------------------------------------------------------------------------------------
- 파장이 가장 짧은 광선은? → 원위자외선 21
- 적외선 조사에 의한 홍반의 특징 → 조사후 즉시 나타난다 21
- 화상면적계산 (화상면적 ↑ → 순환계통 이상 발생가능성 - 생명 위험)
→ 9의법칙(1도 화상 제외, 2 + 3도만 계산)
머리+목 · 팔(한쪽) · 다리(한쪽) = 9% / 몸통(앞) · 몸통(뒤) = 18%,
/ 음부 · 손바닥 = 1%
- 화상(2도 얕은층) 21, 23 - 표피에서 진피의 유두층까지 손상
- 물집, 국소 홍반, 부종, 심한 통증발생
염증(급성, 만성)
---------------------------------------------------------------------------------------------------------------------------
- 활성산소 과다분비 → 건강조직, 세포공격
- 장기염증, 반복염증 → 조직 섬유화 - 종양, 결절, 근종 발전위험
- 만성염증
· 암(일반적인 세포사멸과정 상실, DNA 변형)
· 동맥경화(혈관내피세포 손상)
· 비만(비만세포 → 염증 유발물질 분비) - 미국 트랜스지방 → 식품첨가물로 분류 제한
· 치매(파킨슨, 알츠하이머... - 염증물질 → 뇌세포, 혈관세포 공격)
· 이유없는 통증, 손톱 잘 부러짐, 피부건조, 머리윤기 ↓, 변비, 늘 배고픔, 피곤
- 항염식품
· 강황(1위) Curcumin - 인도 치매, 암 발생 현저히 낮음
· 생강 - 진저롤(염증억제), 슈가올(살균효과), 라피노스(세균성장억제)
------------------------------------------------------------------------------------------------------------------------------
욕창bed sore=pressure sore
--------------------------------------------------------------------------------------------------------------------------------
- 압력, 마찰, 전단력 지속적 반복적 (감각↓, 마비, 무의식상태) → 모세혈관 순환 × → 괴사
- 예방이 최선(적어도 2시간마다 체위변경), 발생시 최대한 빠르게 낫게 하기
- 호발부위 → 튀어나온 곳(뒤통수, 어깨뼈, 엉덩이뼈, 발뒤꿈치뼈)
1단계 - 발적(국소적인 비창백성 홍반) → 손상 진행상태
2단계 - 표피, 진피의 부분적 손상(찰과상과 물집) 피부 꺼짐, 통증 가장 많음
3단계 - 전층 피부손실(표피, 진피, 피하조직) 악취동반 삼출물, 부종, 통증 ×
4단계 - 피부 모든 층의 손상 / 뼈, 인대, 근육 노출 / 딱지나 가피가 있을 수 있음22
--------------------------------------------------------------------------------------------------------------------------------
피부암
--------------------------------------------------------------------------------------------------------------------------------
- 기저세포암(흑색종)
- 평편세포암
- 증상 · 중년이후 갑자기 점 나타남
· 점 → 자꾸 넓어짐 → 튀어나옴 → 궤양
- 발생원인 · 멜라닌세포 - 등 팔 다리
· 백인 - 유전, 자외선
· 동양인 - 손, 발(손 · 발톱. 앞 · 뒤 발꿈치, 발바닥) - 원인×, 추정 - 만성압박, 만성외상
· 자외선 누적(지속, 반복) → 변성 - 완치율 95%, (2 - 3년 재발 관찰필요)
· 재발, 전이 가능
- 수술 1. 전이여부 검사
· 방사선 동위원소 주입 → 이동 림프절 축적여부 영상검사
· 감시림프절(겨드랑이, 사타구니)확인 → 잘라냄 → 조직검사
· 동결절편(15분소요) → 양성-겨드랑, 사타구니 림프절 제거
2. 흑색종 제거 - 반경 1.5cm, 깊이 2cm 절제 제거
3. 함몰부위(살 차오르면 - 2주이후) 피부이식
- 약물치료(최근) 면역관문억제제(표적치료제) 개발 적용
------------------------------------------------------------------------------------------------------------------------------
피부암 구별방법(ABCDE)
----------------------------------------------------------------------------------------------------------------
Asymmetry 비대칭성 - 정상반점(원, 타원, 평편, 조금 볼록함)
Border 경계 - 매끈하지않고, 흐리거나 울퉁불퉁 불규칙
Color 색 - 다양(얼룩덜룩 - 붉은, 분홍, 백, 푸른 - 일반색상 ×)
Diameter 직경 0.6cm 이상(일반적), 계속 성장
Evolving 모양, 색상, 크기변화(손발톱 - 검은줄기 생겨 퍼져나감) - 커짐(성장)
----------------------------------------------------------------------------------------------------------------
셀룰라이트(기능잃은 살?) - 13세 이상 90% 보유
------------------------------------------------------------------------------------------------------
- 지방세포 + 노폐물 진피노쇠(울퉁불퉁)
- 혈액순환 저하 → 셀룰라이트 발생가능성 ↑
- 피부온도 저하 → 지방 잘안빠져 → 운동 보온필요
- 피하지방 구조 · 여성 타원구조 - 공간 ↑ = 셀룰라이트 생길가능성 ↑
· 남성 마름모꼴 - 공간 ↓ = 셀룰라이트 생길가능성 ↓
- 발생원인 1. 오래 앉아있기
2. 에스트로겐(여성H) → 지방조직 비대 - 주변조직압박
3. 내장지방 ↑
- 핀치테스트(양손으로 잡아 비틀음 → 통증 + 차가움 = 혈액순환 ↓) 4단계
1단계 육안상 정상, 미세 지방덩어리 존재
2단계 육안상 정상, 큰 지방덩어리 존재
3단계 오렌지껍질현상 + 핀치테스트 통증
4단계 큰 셀룰라이트 + 핀치테스트 통증 큼
-------------------------------------------------------------------------------------------------------
특수기관 (시각기관 visual organ - 시각수용체 보유 감각기관)
--------------------------------------------------------------------------------------------------------------
- 대뇌 줄무늬겉질(영역17), 시각연합 영역(영역18, 19)의 시냅스
- 빛 자극 감수 - 전달기관 (만 7∼8세 완성), 청각보다 5배 빠름
- 구형, 지름 2.5cm, 무게 8g
- 안구 · 눈꺼풀 · 결막 · 눈물기관 · 안구근육(눈 지지 + 움직임 - 시야 넓혀줌)
- 눈확orbit 공간 (눈 보호), 눈확지방(단열)
- 빛 굴절 순서
각막 → 앞방(방수) → 홍채(동공) → 뒤방 → 수정체
→ 유리체 → 망막(황반 - 중심오목, 수용체 보유) → 맥락막 → 시신경 → 공막
- 시력 6.1m 에서 정상적으로 보이는가? (섬모근 이완 + 수정체 평편)
- 주시안 - 멀리 볼 때 한쪽으로 봄 (두눈정보 → 뇌 - 한쪽눈 정보 무시 )
- 비주시안 - 입체감, 원근감(역할 미흡시 - 계단 헛디딤)
- 가까이 보기(일하기, 두눈시야), 멀리보기(6m ↑, 한눈시야)
- 휴식 → 눈감기
- 조명 = 깜빡임 없는 등(형광등 ×), 현재 너무 밝음
-------------------------------------------------------------------------------------------------------------
섬유막(각막 + 공막 - 안구 바깥층 - 안구 모양유지)
------------------------------------------------------------------------------------
각막 안구 앞쪽표면 1/6 차지, 두께 0.5mm 길이 10mm 여러겹(5겹) 혈관없는 투명조직
안구보호, 빛 굴절(볼록함).
표면 울퉁불퉁 → 난시(한곳 초점 ×, 흐릿 보임)
눈물에서 산소 · 영양분 얻음
각막손상 - 자체 복구능력 매우제한 → 시력손실 막기위해 즉시 치료필요 - 각막이식
-----------------------------------------------------
결막21 눈꺼풀 속 표면과 안구 앞 표면의 일부.
얇고 투명하며, 혈관이 분포, 각막과 더불어 외부와 접촉
-------------------------------------------------
공막* 안구 바깥층 뒤쪽 5/6 차지 백색(흰자위 - 혈관 너무 가늘어 육안 인식 어려워),
안구지지, 형태 유지
------------------------------------------------------------------------------------
공막(흰자위) - 인간특성(유난히 큼 ↔ 유인원 대비)
- 진화 → "사회적 협력" 가설
· 눈동자 움직임 - 대상 확인, 주시방향 공동 확인
· 감정상태 - 면적 확대(놀람), 축소
· 자폐 가능성(눈 맞춤 ×)
· 유인원 - 목 움직임 변화로 공막 역할을 대신함
각막수술 (라섹, 라식)
-----------------------------------------------------------------------------------------------------------------------------------------
- 맨 안쪽 내피세포(재생 · 복구 안됨)수 나이↑ → 줄어듦(5,000개 → 성인 3,000개. 1%/년 ↓)
→ 각막 백화 → 투명도↓
→ 각막지형도 측정(각막두께 분포→ 원추각막 여부 확인 ← 굴절율 차이 발생)
- 레이져 (라섹LASEK) 각막교차결합수술(레이져로 각막내피세포 깎아냄 → 근시, 난시 교정)
레이저근시교정술 + 라식의 장점을 취합한 방법
(자외선 조사 → 콜라겐 단단해짐, 각막결합 강화 → 원추각막 발생방지)
- 레이져(라식) → 레이져로 각막 내피세포 깎아냄 → 근시, 난시, 원시 교정)
(빠른 시력회복 - 당일부터), 각막절편 찟어질수 있음 - 평상시 안구 외상 유의해야
------------------------------------------------------------------------------------------------------------------------------------------
각막 이식수술(이식수술중 제일 처음 성공한 것)
--------------------------------------------------------------------------------------------------------------------------------------
① 각막이식수술
- 병든 각막 원형으로 도려내고, → 새 각막 봉합(표면 고르게 펴서 신속하게)
② 각막 부분 이식수술
- 절개하여 내피세포층 긁어냄 → 기증 각막층의 내피세포층 분리(경험, 고난도 기술)
→ 부착(봉합아님)
- 시력회복 빠르나 3-6시간 바로누운자세 필요(부착공기압 조절 위해)
③ 보스턴 인공각막(각막역할 + 도수 조정)
- 스티븐슨 증후군 → 각막손상(시신경 살아 있어야 가능)
- 기증각막 → 일부 오려내어 인공각막에 이식(사람각막 + 인공각막) → 이식
- 각막손상정도(각막생존율)에 따라 재수술. 수술횟수 ↑ → 성공가능성 낮아짐
- 여러번 이식 실패한 경우, 고령환자에 필요(5년 생존율 70%이상인 환자)
----------------------------------------------------------------------------------------------------------------------
혈관막(안구 가운데층, 혈관풍부 - 홍채, 섬모체, 맥락막)
------------------------------------------------------------------------------------------------------------------
홍채 iris 각막과 수정체 사이, 도넛형태(동공 pupil → 빛 통과량 조절 구멍)
동공 조임근 / 동공 확대근 → 동공 지름 조절(통과 빛량 조절)
홍체 확대(근섬유 수축) → 교감신경, 홍체 축소 → 부교감신경
멜라닌 색소 함유 다소에 따라 녹색, 갈색, 어두운 갈색 - 개인차, 인종차
파란색 - 멜라민색소 거의없음 → 빛 홍체통과하여 색소상피에서 반사
섬모체 털모양근 + 매담 섬유인대 → 수정체 두께 조절
가까운 곳 보기 - 털모양근 수축 + 매담 인대섬유 이완(섬모체가 수정체 쪽으로 이동)
→ 수정체 두꺼워짐(→ 촛점거리 짧아짐)
먼곳보기 - 털모양근 이완 + 매담 인대섬유 수축
→ 수정체 얇아짐(→ 촛점거리 길어짐)
섬모체돌기 안방수 분비
맥락막 암흑갈색 막 → 암실 역할(광선차단, 망막 상 맺힘)
-------------------------------------------------------------------------------------------------------------------
망막 (안구의 가장 안쪽 - 광수용체, 두극신경세포 존재)
--------------------------------------------------------------------------------------------------------------------------------
- 망막 황반색소(carotenoid) - 시력 90% 담당
- 중심오목 → 빛 수용기(막대 · 원뿔세포) → 맥락막(산란 빛 흡수)
- 중심오목에서 벗어나면 시력 급격하게 떨어짐
- 야행성 동물 → 빛 반사판(휘판) 보유
- 망막박리 → 망막 신경층이 망막상피층에서 떨어지고, 수용체 퇴화(중증 질환)
---------------------------------------------------------------------
막대세포 로돕신rhodopsin, 빛수용체(명암=흑백), 중심오목 주변(변두리)에 분포
밤눈보기에 적응, 광선 예민(색조감 ×)
야간 명암인식 × 야맹증 → 망막 vit A 고갈(광수용기 시각색소 합성)
원뿔세포 요돕신iodopsin, 색수용체 중심오목 분포
3종류 청색 원뿔세포 · 녹색 원뿔세포 · 적색 원뿔세포
빛의 3 원색 조합(청색, 녹색, 적색)
적+녹 = 황, 적+청 = 주황, 청+녹 = 청녹, 적+녹+청 = 백색 인식
낮눈보기에 적응, 색조인식
중심오목에 집중분포
색맹(3개의 원뿔세포중 하나 이상의 선천적 결핍 → X염색체에 위치)
일반적으로 적록색맹(적색 숫자, 녹색 숫자 인식 ×)
(남 ↑ , 0.8 % , 여 0.5%)
------------------------------------------------------------------------------------------------------------------
색의 3원색 적, 청, 황
안구의 굴절질(빛 → 각막 → 방수 → 수정체 → 유리체 → 황반 중심오목)
---------------------------------------------------------------------------------------------------------------------
방수 분비 - 섬모체돌기, 림프
뒷방 → 앞방 → 홍채 각막 구석(쉴렘관schlemm canal) → 공막 정맥굴(혈액으로 흡수)
순환장애 - 녹내장(방수 증가 → 안압 상승)
---------------------------------------------------------------------------
수정체 치밀배열 단백질섬유, 털모양근 + 매담인대에 의해 지지
투명(소기관 없는 세포, 무혈관), 크리스탈린crystallin 단백질 채워짐, 굴절 최대, 초점 맞춤
가까운 곳 보기 - 털모양근 수축 + 매담 인대 이완(섬모체가 수정체 쪽으로 이동)
→ 수정체 두꺼워짐( → 촛점거리 짧아짐)
먼곳보기 - 털모양근 이완 + 매담 인대 수축
→ 수정체 얇아짐 ( → 촛점거리 길어짐)
(자외선, 탈수, 산화반응) 혼탁, 두께 얇아짐 → 백내장(흐릿, 안개 낌)
----------------------------------------------------------------------------
유리체 투명 젤리조직, 굴절체, 눈 모양 안정, 내압유지(14∼27mmHg)
----------------------------------------------------------------------------------------------------------------------
수정체 23 → 섬모체근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원근조절에 관여하는 눈의 구조물
* 카메라 - 렌즈 크기와 모양 고정, 필름이나 반도체 장치까지의 거리를 달리하여 촛점맞춤
영상의 형성
----------------------------------------------------------------------------------------------------------------------
망막 도착 이미지 - 원본 축소형,
- (수정체에서) 상하 뒤집혀 맺힘
(위 빛 → 망막 아래쪽에 투영, 아래 빛 → 망막 위쪽에 투영)
- (수정체에서) 좌우 뒤집혀 맺힘
(오른쪽 빛 → 망막 왼쪽에 투영, 왼쪽 빛 → 망막 오른쪽에 투영)
뇌 → (사람 의식못하는 사이에) 영상 뒤집어 원래대로 인식
-----------------------------------------------------------------------------------------------------------------------
안구부속기관
안구 움직임 근육(6)
------------------------------------------------------------------------------------------------------------------------------------------
1. 위곧은근 superior rectus 위보기 안구 위로 당김. 모음 · 안쪽돌림 눈돌림신경
2. 아래곧은근 inferior rectus 아래보기 안구 아래로 당김. 모음 · 안쪽돌림 돌림신경 22
3. 안쪽곧은근 medial rectus 안쪽보기 안구모음(동공 안쪽 향함) 눈돌림신경
4. 아래빗근inferior oblique 위가쪽보기 안구회전, 동공 위가쪽 향함) 눈돌림신경
5. 가쪽곧은근lateral rectus 가쪽보기 안구벌림 (동공 가쪽 향함) 갓돌림신경(6)
6. 위빗근superior oblique 아래가쪽보기 안구 회전, 동공 아래가쪽 향함) 도르래신경(4)
---------------------------------------------------------------------------------------------------------------------------------------------
안구운동(회전, 바라봄 = 주시)
----------------------------------------------------------------------------------------------------------------------------
- 충동안구운동 물체를 중심오목에 위치시키기 위한 안구 움직임
- 추종안구운동 물체 추적 계속보기
- 전정눈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
· 머리 움직임과 정반대 방향으로, 똑같은 속도를 가진 안구운동을 일으켜
머리 움직임 중에도 물체의 상이 안정되게 하는 반사성 안구운동,
회전운동에 대한 각(angular) 전정안반사 - 반고리관 담당,
선형운동에 대한 선(linear or translational) 전정안반사-이석기관 담당
· 시선고정 - 물체로부터 벗어나는 안구운동 억제
· 신경적분체 - 한쪽으로 치우쳐 볼때 시선유지 기능
- 이향안구운동 두 눈동자 - 좌우 반대방향으로 움직임
(표적 물체에 두 눈을 고정위해, 두 눈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운동)
- 동향안구운동 두 눈동자 - 좌우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 눈깜빡임반사 blinking reflex (파킨슨 환자 - 소실 가능성 ↑)
------------------------------------------------------------------------------------------------------------------------------
안구운동 장애
-----------------------------------------------------------------------------------------------------------
- 중간 중간 단어 빼고 읽기 - 한 줄씩 건너뛰고 읽기
- 읽는 위치 잊기 - 머리 움직이며 책 읽기
- 눈 · 손 협조 운동 불량(공 받기 어려움)
-----------------------------------------------------------------------------------------------------------
부속기관(눈꺼풀, 눈꺼풀판, 결막, 눈물기관)
---------------------------------------------------------------------------------------------------------------------
- 눈꺼풀 위 · 아래 눈꺼풀(눈을 가려 안구 보호 - 오염 ×, 광선 차단)
→ 안검하수(위눈꺼풀 처짐 - 눈꺼풀올림근)
- 눈꺼풀판 눈꺼풀 형태 유지, 버팀 역할 → 눈꺼풀판샘 염증 - 다래끼
- 결막 각막제외 투명 막, 먼지, 이물 방지. 결막 구석 - 이물 모임
- 눈물기관 눈물 분비 - 눈물샘. 코안(아래콧길) 배출 - 눈물관
(각막 건조방지, 이물질 제거, 각막 표면 매끈 유지, 살균작용 - lysozyme)
----------------------------------------------------------------------------------------------------------------------
*눈물, 콧물, 침, 모유 등의 분비물에 많으며
몸속으로 들어온 세균에 대한 방어작용을 하는 면역글로불린은? → Ig - A 22
눈 질병(3대질환 당뇨망막병증, 녹내장, 황반변성)
------------------------------------------------------------------------------------------------------------
원시 망막 뒤에 초점 맺음(먼곳촛점 ○, 가까운 촛점 ×). 유전 가능성
수정체 굴절력 부족 = 노화 탄력성 ↓ (볼록렌즈 착용, 라섹 - 각막 일부깎아내기)
· 털모양근 근력 ↓ (노안 - 원근 조절능력 ↓)
· 안구안축(각막과 망막 간 거리) 거리 짧음 = 수정체 굴곡 줄어듦
------------------------------------------------------------------------------
근시 안축(각막과 망막 간 거리) 길거나(단순근시), 굴절률 큼
망막 앞에 초점 맺음 - 오목렌즈 착용
------------------------------------------------------------------------------
난시 각막 표면 고르지 않음 - 한 점에 초점 맺기 어려움, 흐릿 보임(콘택트렌즈 보정)
-----------------------------------------------------------------------------
안검하수 위눈꺼풀올림근 근력 ↓ → 턱 들어 앞을 봄(선천성 80∼90%)
정상 - 위눈꺼풀이 검은 눈동자 살짝 가림
----------------------------------------------------------------------------
안검피부이완증 삼각형 눈, 가쪽 구석 짓무름 → 이완겉피부 잘라내기
눈꺼풀수술어려움 - 비대칭-앉아 앞보기(모양, 좌우, 깜빡임 - 확인)
-----------------------------------------------------------------------------
안구건조증 잘 보이다 안 보이다(뿌옇게 보이다)
눈꺼풀판샘(마이봄샘meibomian gland) → 기름샘 - 안구윤활작용 ↓ → 노화
눈물양 측정 - 소용없는 눈물 ↑(기름 ↓) ← 반사적으로 눈물↑
-----------------------------------------------------------------------------
백내장* / 녹내장* / 황반변성* 아래 별도 설명
----------------------------------------------------------------------------------------------------------------------------
백내장cataract(수정체 산화 · 노화작용)
------------------------------------------------------------------------------------------------------------
원인 - 나이 ↑ (40대 부터 노화시작 60대 50% 발병)
(근육수축 수정체 볼록해짐 → (노화)볼록해짐↓ (원시 발생))
- 흡연(가장 큰 원인) 염증, 외상
- 야외활동(자외선 노출) → 선그라스 착용 필요, 약물복용(스테로이드계)
- 인슐린의존 당뇨병 → 백내장 발생가능성 5배↑
- 활성산소 → 수정체 산화(수분 65% + 단백질 33% 변성-백색)
- 혈류 쏠림, 근육피로(긴장), 눈깜빡임 횟수 ↓(자율신경계 자극에 의해)
- 발병률 100%(개인별 시차 차이)
증상 - 서서히 진행, 익숙 않은 것 볼 때 흐릿(안개 낀 듯, 혼탁한 응결체), 눈부심, 복시
- 낮에 잘 안보임(주맹) - 동공 좁아져 혼탁면이 상대적 넓어짐
- 청 · 녹색 잘안보임(초록색 →갈색으로 보임)
- 화가 모네 → 수련, 일본다리 그림 참고
진단 - 조기발견(관리) → (진행) ADL 불편 → 수술
- 동공확대(현미경 40배) - 육안확인(혼탁정도, 위치)
- 한눈 가리고 확인(익숙물체 보기) - 시력차 많음
- 시력에 따라 안경 ○, 안경 × (두께 조절)
수술 - 안과수술의 꽃
- 점안마취, 현미경사용(수술정밀도 ↑)
- 홍채 확대 → 절개창 내기(3mm ↓, 각막손상 유의)
→ 초음파유화술(수정체 부숨 → 제거 - 흡입기)
→ 인공수정체(아크릴, 단 · 다초점, 연속초점) 선택 삽입
후발백내장
- 수술 3 - 5년후 50% 발생
- 수정체 후낭 혼탁(전낭 제거하고, 남긴후낭 ← 유리체 밀려나옴 방지 위해)
→ 수술(뚫어줌)
------------------------------------------------------------------------------------------------------------------
단초점 수정체 - (근거리 볼때는)안경 껴야
다초점 수정체 - 촛점 2개(먼 곳, 가까운 곳)
- 일부 부적응 가능성(눈부심 - 빛번짐, 어지러움, 선명도↓, 문턱 높이 구분 곤란)
- 1년에 거쳐 좋아짐(70 - 90% 만족 - 빛번짐)
연속초점 수정체 - (초점심도 김, 원거리, 중간거리 교정)
- 메모지 구멍뚫어 내다보면 멀리 자세히 보임
녹내장(시야 점점 좁아짐 병 = 진행성 시신경병증)
--------------------------------------------------------------------------------------------------------------
- 안압상승(압력 ↑ - 시신경 압박, 혈액공급 ↓ (혈관 막힘) → 비정상혈관 증가
- 서서히 시신경 손상 → 시야 점점 가운데로 검게좁혀짐
- 전인구의 2% 발생(실명비율 5%)
- 시신경 20만개, 50% 손상돼야 증상 나타남(손상만큼 두 눈 보상작용)
- 환자 인식 → 말기
- 발병위험인자 안압, 나이 40세 ↑, 고도근시, 가족력, 고혈압, 당뇨
- 치료 = 진행 늦춤 → 실명(조기발견 중요성 - 시야검사, 시신경 촬영검사)
- 개방각녹내장 방수배출구 열려있음(환자의 90% 차지 - 우리나라)
시신경 약해 손상 ↑ (정상 안압에서도 압박 손상 - 개인차)
- 폐쇄각녹내장 방수배출구 막혀있음(치료 = 안압↓)
- 치료 · 약물치료(안압하강제) - 안압 ↓, 혈류량 ↑ (부작용 - 위급상황 처방)
· 레이저 치료 - 안구 내 구조조정 - 안압 ↓
· 수술 - 추가로 안압 낮춤 필요시(방수유출장치 삽입술)
-------------------------------------------------------------------------------------------------------------
화가 드가 시력저하가 그림의 선명도 · 세밀성에 영향(춤추는 무용수)
황반변성(시야 중심부 보는 시력 - 중심시(central vision) 잃는 질환)
---------------------------------------------------------------------------------------- ------
- 변성 3대 원인 1. 유전 2. 노화 3. 염증 4. 흡연 · 자외선 노출 → 노폐물 배출 지연
25세부터 색소밀도 저하 시작
- 망막 → 뇌 다음으로 산소요구량 많은 곳
- 건성(망막의 노폐물 덩어리-드루젠) → 혈액순환으로 제거
→ 혈액순환 ↓ (더 쌓임) → 점점 위축 → 습성변성으로 진행
- 건성변성 · 세포대사산물 찌꺼기 축적(촬영확인 - 지도처럼 보임) → 80% 차지
- 습성변성 · 혈관 붓고, 잘 터짐 → 비정상 혈관 자람
(안구내 산소부족 → 신생혈관 증식 → 출혈 · 딱지 앉음 → 망막 당겨 띁어짐. 분리)
· 레이져치료 → 주변 신생혈관 차단 → 중심부 허혈 보완(집중)
· 항체 주사치료 효과적(출혈 ↓ ← 산소공급 ↑ - 신생혈관 생성 억제)이나 시효기간 있음
· 최근 영국 유전자교정인자함유 바이러스 투입
→ 유전자 교정 - 변성진행 멈춤실험('19. 02.19 뉴스)
- 비문증 → 망막 일부 손상 의미
- 물체 찌그러져 보이거나 휘어져 보임(경증) ← 황반 부종
- 물체 가운데가 검게 가려져 보임(중증)
- 혈압 ↑, 자외선 차단 필요(색안경 실외 엠버, 실내 물색? 착용필요)
- 자외선, 블루라이트 → 세포독성(모아져 들어옴)
- 암슬러그리드검사 - 점 안보임, 선 휘어보임, 4각격자 간격 불균일
- 루테인 / 지아잔틴 - 황반색소밀도 ↑
→ 외부섭취필요 20mg/일(음식으로 섭취-가장좋아, 단백질 또는 지방과 결합 → 위 파괴 축소)
→ 고구마, 메리골드(건조), 달걀노른자
----------------------------------------------------------------------------------------------------
빛반사와 죽음의 판정
--------------------------------------------------------------------------------
- 동공수축 동공조임근 수축 → 부교감신경 지배
- 동공확대 동공확대근 수축 → 교감신경 지배
- 빛반사l ight reflex → 망막 빛 조사 동공 수축(망막으로 들어오는 빛량 조절) ← 뇌줄기 수준반사
- 죽음의 3징후 ① 자발호흡의 중지 ② 심장박동의 정지 ③ 빛반사의 상실
- (인공호흡기, 인공심장) → 뇌 전체의 불가역적 기능상실(빛반사 포함) - 뇌사(죽음)
---------------------------------------------------------------------------------
평형. 청각기관vestibulocochlear organs
귀 - 청각, 평형각 감지
바깥귀(귓바퀴, 바깥귀길) / 가운데귀(고막, 고실, 귀관) / 속귀(뼈미로, 막미로)
바깥귀
------------------------------------------------------------------------------------
귓바퀴 음파수집(소리방향, 감도)
동물 - 귓바퀴 움직근육 작은가로무늬근
---------------------------------------------------------
바깥귀길 S자 만곡(내부보호).
털 + 기름샘(이물질, 곤충침입 방지,
귀지샘( 밀납Wax 물질 - 미생물 감염가능성↓, 미생물 성장 억제)
-------------------------------------------------------------------------------------
가운데 귀(고막 + 관자뼈속 공간)
--------------------------------------------------------------------------------------------
고막 은백색 진동판, 삿갓모양(바깥 / 중간귀 경계)
빛반사 부위 - 고막검사 유용
망치뼈 자루 부착 - 고막 진동 전달, 고막 진동수 조절
--------------------------------------------------------------------------------------------
고실 *고막진동(소리에너지) → 망치뼈(기계적 움직임) 전달
망치뼈와 모루뼈, 등자뼈의 관절형태 → 등자뼈 안뜰창(난원창) 부착
--------------------------------------------
고막긴장근 tensor tympani m. 고막긴장(망치뼈 당김)
등자근stapedius m. 가장작은 뼈대근,
(수축)등자뼈 과도진동제한(난원창 과도진동 제한 = 청각 손상방지)
--------------------------------------------
귀관(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
인두(코인두)·고실 연결 4cm 관(눌려있음)
삼킴, 씹기, 하품 (열림 고막긴장근에 의해) → 고실 기압 / 대기압과 평형유지 역할
코인두염증 → 귀관(이동) → 감염(중이염otitis media)
-----------------------------------------------------------------------------------------------
*망치뼈 · 모루뼈 · 등자뼈(증폭 22배?) 관절 - 4억 년 전 물고기 청각 진화
물고기 액체 → 액체 소리 전달
육지동물 기체(공기) → 액체 소리 전달(공기 밀도 ↓ - 액체에 부딪쳐 튕겨 안 들림)
→ 에너지 증폭기 역할(1% → 60%)
속귀(평형감각, 청각 감수)
미로(복잡) labyrinth 뼈미로(막미로 보호) / 막미로
바깥림프(뼈미로와 막미로 사이 림프) / 속림프(막미로 내 림프)
뼈미로 bony labyrinth (관자뼈 동굴 공간 안뜰, 반고리뼈관, 달팽이관)
----------------------------------------------------------------
안뜰 안뜰창, 달팽이창
vestibule 타원주머니 utricle, 원형주머니 saccule
고실과 연락(맞닿음)
--------------------------------------
반고리뼈관 22 앞, 뒤, 가쪽 반고리뼈관(관자뼈의 바위부분 속에 위치)
머리의 움직임 및 회전 방향을 감지
빠른 회전자극 → 어지러움과 구토 유발
서로 직각 안뜰에 열림 - 팽대
--------------------------------------
달팽이관 두 바퀴 반 회전(달팽이나선관 - 청각본부)
3회전(바닥 회전turn, 중간 회전, 꼭대기 회전)
-----------------------------------------------------------------------
막미로 mbranous labyrinth - 뼈미로에 들어있는 물렁조직
평형(안뜰복합체) = 정적평형(타원주머니와 둥근주머니의 평형반) + 동적평형(세반고리관)
시각, 고유감각수용기 입력이 더해짐
안뜰복합체 신경세포수 감소 → 현기증 + 균형문제 발생 (55세 ↑ 현기증 동반 ×)
---------------------------------------------------------------------
타원 주머니utricle와 둥근주머니saccule
정적평형 - 신체 움직이지 않을 때 자세 · 안정성 유지 → 중력, 선형가속)
평형반 (털세포 / 평형모래막 - 젤리물질 / 평형모래 - 탄산칼슘 결정, 이석otoliths)
타원주머니 평형반 → 수평가속에 민감
둥근주머니 평형반 → 수직가속에 민감
림프 흐름 압력 → (평형모래 움직임) 털세포자극 흥분 → 안뜰신경
중력 - 몸위치, 머리운동 평형감지 (수직가속도)
평형모래 분리 → 반고리관내 들어가 떠돎, 부착) - *이석증(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
-------------------------------------------
반고리관 3개(세반고리관), 서로 직각으로 연결(3차원), 동적평형 - 머리 · 몸 움직일때
앞반고리관 - 앞 · 뒤 기울음 (끄덕끄덕) 감지
뒤반고리관 - 좌우 기울음 (갸웃갸웃) 감지
가쪽고리관 - 수평회전 (아니오, 도리도리) 감지
반고리관 팽대부 (세반고리관 각각의 입구)
내림프 움직임 → 팽대능선의 팽대마루 (젤라틴 안에 털세포) 밈
→ (팽대마루 휘어지고) 털세포자극-흥분 → 안뜰신경
동적평형 - 몸 / 머리회전(위치변화) - 가속도 크기, 평형
회전운동 반복돌기-멈춤 → 림프액 멈춤전 ← 계속 돎(균형 상실)
---------------------------------------------------------------------
소리 듣기(달팽이관)
------------------------------------------------------------------------------
달팽이관 - (외림프 채워진 안뜰계단과 고실계단 사이에 달팽이관 존재)
청각기 본체. 나선 2 1/2회전
- 바깥 ·안 털세포 → 림프음파 감수(음파 - 소리에너지 → 전기신호 전환)
- 소리구분(다양한 주파수 구분 → 공명현상 )
→ 입력 주파수 hertz (소리 높낮이) - 같은 주파수 세포 진동
→ 소리 강도(볼륨) 데시벨decible
- 달팽이관 기저부(입구) → 진동수↑ 고음 감수, 꼭대기 진동수 ↓ 저음 감수
---------------------------------------------------------------------
멀미 = 시각정보와 평형감각의 부조화
소리 듣는 과정
-------------------------------------------------------------------------------------------
음파 (가청범위 20 ∽ 20,000 Hz) → 고막
→ 귀속뼈(망치뼈 · 모루뼈 · 등자뼈. 진동 증폭 / 감소 ← 반사작용)
→ 타원창(안뜰창) 두드림
→ 안뜰창 림프진동 압력파(바깥림프, 속림프) 발생
→ (전달)달팽이관 바닥막 진동 → 덮개막에 닿아있는 털세포 (바깥, 속털세포) 섬모 휨
→ 달팽이신경 ↗ 전달 → (전달이후 여분의 진동) 달팽이창(제2고막?) 부딪쳐 소멸
→ (반사신경 - 소음원인에 반사적으로 머리와 눈 돌림)
------------------------------------------------------------------------------
난청
---------------------------------------------------------
- 노화성(고음영역부터 손상 → 보청기 필요) 노년난청
- 소음성
- 돌발성
- 유전성(보청기 필요)
- 보청기(수명 5년) 고막형(내이형/외이형), 귓바퀴걸이형
---------------------------------------------------------
이명tinnitus(귀울림 - (라틴어)딸랑딸랑 울린다)
-------------------------------------------------------
- 의미 없는 다양한 소리 차단(정상) → 차단 능력 저하
- 뇌 → 소리 감지 ×, 들릴 소리 예상 - 소리 발생(가짜 소리)
- 이명 종류 · 삐 - 고음성
· 웅 - 저음성
· 혈관 박동성 이명
------------------------------------------------------------
말초성어지럼증의 3대 질병(이석증 · 전정신경염 · 메니에르병)과 증상
-------------------------------------------------------------------------------
1. 이석증(자세 내용 아래 설명)
- 평형기관 → 눈 조절, 이석기관 이석 떨어져 - 반고리관내 떠돎
- 자세 바꿀 때 수초∼1분이내 어지럼(돎)
- 치료 → 이석 반고리관 밖으로 빼냄
- 나이 ↑ 다발(노화 가능성 ↑). 10∼20% 재발
2. 전정신경염
- 24시간이상 며칠간(3∼4일간) 돎
3. 메니에르병
- 평형기관 + 달팽이관 림프액 이상증가 → 압력 ↑ (달팽이관 MRI)
- 가만있을 때 어지러움 20분∼12시간 정도(24시간 이내) 돎
(고염식 → 수분섭취량 ↑ - 압력 증가 → 이뇨제, 혈류개선제 처방)
- 80% 약물치료 → 심하면 전정신경 절단할 가능성
- 수술(내림프낭감압술) 70% 효과(30% 재발)
(절개 안면신경 손상유의 - 내림프낭 T자 필름 끼움)
→ 림프배출 ↑, 림프낭 압력 ↓
---------------------------------------------------------------------------
* 뇌질환 1일 이상 어지러움, 어지러움 점점 심해짐
* 기립성저혈압(혈압 일시 감소)
30 ↑ 떨어짐(수축혈압) - 자율신경 이상
10 ↑ 떨어짐(이완혈압) - 심장, 혈압, 전립선약 복용
이석증(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
(양성 - 심각한 귓병, 뇌질환 없이 어지럼 발생
발작성 - 갑자기 발생, 저절로 좋아짐 반복
체위성 - 증상으로 제세가 영향 받음
현훈 - 어지럼증)
http://www.youtube.com/watch?v=pa6t-Bpg494&feature=player_embedded
----------------------------------------------------------------------------------------------------
- 갑자기 어지럼(회전감) 1분 정도 ↔ 정상 반복(귓병 / 뇌질환 없음) - 체위 영향
- 이석 분리 → 반고리관속 림프액내 떠돎 → 붙음 → 신경 과도자극
- 이석 분리(원인-추정) → 충격(외상), 바이러스감염, 나이↑(50대 이상), 약물부작용, 스트레스
- 경미 - 심함, 1분내 멈춤, 심하면 구토 (옆으로눕기, 천정보기, 고개돌리기)
- 진단 (중이염 유무 검사후) 딕스 홀파이크(Dix-Hallpike)검사 - 어지럼 유발자세
· 눈 움직임 관찰(안구 하방안진-앞반고리관. 상방안진-뒷고리관)
· 안진 - 안구떨림으로 초점 유지 안됨
· 불분명시 청력, 평형기능, MRI 검사
· 어지럼 지속 - 뇌졸중 의심
· 수주내 호전, 후유증 거의 없으나, 재발 특징
- 물리치료(가장 널리 사용 변형 에플리(Epley) 방법)
· 머리 위치를 변화시켜,
→ 부유물(2종. 마루 결석cupulolithiasis, 반고리관 결석canalithiasis)의 반고리관 마루 부착
→ 분리
→ 반고리관의 관 내를 따라,
→ 반고리관공통각(common crus)으로 이동시켜 전정vestibule으로 유도.
· 효과 70~90%,
· 한 번으로 반응이 없으면 몇 차례 반복 실시
--------------------------------------------------------------------------------------------------
1. 앉은자세에서 45도 옆으로 틀고, 그대로 (빠르게) 뉘어서,
머리 뒤로 20도 젖히고 자세유지(30초)
2. 1번 상태에서 그대로 90도 돌려서(반대쪽45˚) 자세유지 (30초)
3. 바닥을 보고 몸을 옆으로 틀어서 자세유지 (30초)
4. 몸을 그대로 세우고 자세를 바로하고, 턱을 당긴 상태로 15분간 그 자세 유지
5. 현훈(어지럼증)이 사라질 때까지 반복
후각 기관
-----------------------------------------------------------------------
코안천장 양쪽 5cm2 면적에 후각수용기 세포 존재 (개 - 70배 정도 더큼)
흡입공기 2% 후각기관 운반 반복 냄새(휘발성) 맡음(수용기 자극강화)
후각상피-후각섬모(위코선반) → 후각신경(벌집뼈) → 후각망울 → 후각로 → 중추신경
후각샘 - 표면적시고, 냄새물질 용매역할
벌집뼈 21 체판, 수직판, 미로 등으로 구성 / 체판구멍을 통해 후각신경이 통과
후각신경세포(나이 ↑) - 감소, 민감도↓
------------------------------------------------------------------------
미각기관
---------------------------------------------------------------------------------------
- 맛 감지 → 혀 - 유두의 (10,000개 이상, 성곽유두 - 대표적) × 맛봉오리(200개 / 유두1개당)
- 후각정보 → 미각인식에 압도적 영향(감기 - 맛 인식 ↓)
- 미각기관, 후각정보외 맛 영향 요소
→ 식품온도, 구강촉감, 씹힘 정도, 시각(맛있어 보임), 주변 분위기, 기분, 공복정도
- 혀 맛지도(4미) 단맛 - 혀 앞부분 쓴맛 - 목구멍 부분(민감 - 생물학적 독소 상당수)
신맛 - 혀 옆부분 짠맛 - 혀끝 옆의 가장자리 부분
‘감미(umami 우마미)’ - 육수, 치즈 풍미 등 제5의 맛을 인정 추세(5미)
물맛 - 수용기 인두에 존재 (수분균형, 혈액량 조절)
매운맛(자극 - 온도 ↑), 떫은 맛(수렴), 담백한 맛?
- "모든 맛은 혀의 어느 부분에서라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에 특정맛 느끼는 부위 편중"
Scientific American USA. 2001"
- 혀끝(단맛) → 짠맛 → 쓴맛 → 신맛 → 우아미(목구멍 부분) → 물맛(인두)
bryan bledsoe(미, 네바다대 교수)외
- 50세 이후 맛봉오리수 극적 감소, 민감도 감소
-------------------------------------------------------------------------------------------------
미각기관과 신경
----------------------------------------------------------
얼굴신경분지 고실끈신경 혀 앞쪽 2/3 지배
-----------------------------------------------
혀인두신경 혀 뒤쪽 1/3 지배
-----------------------------------------------
미주신경 입천장, 인두, 후두
-----------------------------------------------
삼차신경 촉각, 압각, 온도감각
---------------------------------------------------------
'해부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장 비뇨계통 (0) | 2015.11.03 |
---|---|
제9장 호흡계통 (0) | 2015.10.27 |
해부학 제7장 신경계통 (0) | 2015.09.07 |
제8장 심장혈관계통 (0) | 2015.08.24 |
인체에서 소금의 장점과 단점 (0) | 201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