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통 circulatory system - 인체내 액체수송
------------------------------------------------------------------------------------
- 혈관계통 + 림프계통
- 허파순환 + 온몸순환 / 태아순환
- 심장heart → 동맥artery(대동맥 → 동맥 → 세동맥¢0.5mm ↓) → 모세혈관capillary
→ 정맥vein(세정맥 → 정맥 → 대정맥)
- 모세림프관 → 림프관 → 림프절 → 림프조직 → 정맥
-------------------------------------------------------------------------------------
다리 · 내장기관으로부터 림프가 유입되는 곳은 → 가슴림프관 팽대23
---------------------------------------------------
동맥 + 정맥 = 동행, 신체부위에 따른 같은 이름
얕은정맥 - 피부밑, 단독 (동맥동행 ×)
문맥 - 모세혈관과 모세혈관사이 정맥
문합 - 인접 동맥끼리, 정맥끼리, 동 · 정맥 연결
------------------------------------------------------
혈액 blood
혈액 량 → 체중에 비례(80ml / 체중 1kg → 남성 5 - 6L, 여성 4 - 5L)
인체 내부 / 외부 → 물질운반(호흡가스 - 산소 · 이산화탄소, 영양물질, 노폐물)
조혈자극물질 - 에리트로포이에틴 ←콩팥 이나 간에서 생성
적혈구 수명 - 120일
-----------------------------------------------
생산 태아초기 - 난황주머니, 간, 지라
-----------------------------------------------
5개월 ∼ 성년 - 긴뼈(위팔뼈, 넙다리뼈)
-----------------------------------------------
성년이후 - 납짝뼈의 적색골수(볼기뼈, 복장뼈, 척추뼈) 원시줄기세포primitive stem cell
-----------------------------------------------
기능 호흡작용 - 산소, 이산화탄소 운반
조절작용 - 호르몬의 운반, 체액량 유지
운반작용 - 영양분 → 세포에 운반
배설작용 - 세포대사과정 노폐물 (허파, 콩팥, 피부)
보호작용 - 포식작용(백혈구), 항체작용(globulin)
혈액응고 - 체액 손실방지(혈소판)
혈액항응고 - 헤파린(thrombin 작용억제)
항상성유지 - pH(7.4) , 체온조절
--------------------------------------------------------
혈액성분 체중의 8∼9%(= 1 / 13) (5 ∼ 6L),
--------------------------------------------
혈구 (45%) 적혈구(RBC) - O2, CO2 수송
------------------------------------ -------
백혈구(WBC) 병균,기생충파괴, 파괴세포제거
중성구 → 세균포식작용(급성염증)-아메바운동
호산구 → 알레르기 반응, 기생충감염, 염증
호염구 → 헤파린heparin, 히스타민histamin합성 방출
---------------------------------
림프구 → 항체생산, 면역작용
단핵구 → 세균포식작용(만성염증)-큰입자포식
------------------------------------
혈소판 →혈액응고(지혈)
---------------------------------------------
혈장 (55%) 알부민 →삼투질 농도 관여
---------------------------
글로불린 → 면역기능(r), 운반(Fe, Cu)
---------------------------
섬유소원 →혈액응고
----------------------------------------------
혈우병 - 혈액 응고인자(대부분 간에서 생성) 결핍
심장heart의 위치
-------------------------------------------
이마면 3∼6번째 갈비연골사이
복장뼈 정중선에서 2/3 가 왼쪽에 위치
------------------------------------
수평면 복장뼈, 갈비연골 / 심장 / 대동맥 / 기관 / 식도 / 척추뼈
-------------------------------------------
심장막액 벽쪽심장막, 내장쪽심장막 사이
박동 → 주위 구조물과 충격완화작용
심장 heart 혈액의 흐름(허파순환)
------------------------------------
오른심방 정맥혈(위대정맥, 아래대정맥, 심장정맥굴) → 오른심방 → 삼첨판막(역류방지)
------------------------------------
오른심실 → 허파동맥 → 허파동맥(판막-역류방지) → 허파(가스교환)
------------------------------------
왼심방 → 허파정맥(가스교환된 동맥혈액, 2개) → 이첨판막(승모판막, 역류방지)23
------------------------------------
왼심실 심장꼭대기, 오른심실보다 3배 더 두꺼워
→ 대동맥판막(역류방지) → 오름대동맥 → 대동맥활(팔머리, 왼온목, 왼빗장밑동맥)
------------------------------------------------------------------
폐동맥 순환 - 고유속/저압력(25/8mmHg) 체계
- 오른심실 총 심박출량 5ℓ/min
- 짧고, 팽창성, 큰단면적 ← 저항 ↓
심장두께 - 심실 > 심방
- 오른심실〈 왼심실(오른심실의 3배)
심방귀auricle (좌우 심방의 일부, 귓바퀴 모양)
- 튀어나옴(벽이 얇음) 모양 다양
- 토끼귀?, 선인장, 닭날개(20%, 뇌졸중위험 ↓), 풍향계, 꽃양배추
심방세동(좌우심방 부정맥 350-600회 / 분) → 좌심방귀 혈전 - 뇌졸중 가능성 ↑
-------------------------------------------------------------------
혈압의 상승요인 → 말초혈관 저항증가23
심장 흥분전도순서
- 근원성박동기전-활동전압발생, 규칙 수축이완 반복 특수섬유다발(신경 아님)
- 굴심방결절(전기생산 60-80회/min)
---------------------------------------------
굴심방결절(SA node, 오른심방 위쪽 위치) - 수축시작, 수축율 조절(박동조율기)
→ 방실결절(AV node)-심근흥분속도 가장 느림-기능장애 가능성↑
→ 방실다발
→ purkinje fiber(심장전도근육섬유)
----------------------------------------------
맥박수 측정(왼심실 수축 → 혈액, 동맥 보내질때 팽창압력. 수, 강도, 규칙성)
--------------------------------------------
노동맥radial artery (손목 엄지손가락쪽), 얼굴, 뒤통수, 얕은관자(어린이),
바깥목(shock), 겨드랑, 위팔자(Allen test), 넙다리shock, 오금(하지 혈압기 사용), 뒤정강, 발등
심첨맥박듣기(영아, 유아 → 왼쪽빗장뼈 중앙, 4,5 갈비뼈 만남부위)
정상 60-80회 / 분, 안정 성인(운동시 최고 180, 어린이 ↑, 운동선수 ↓, 여자 ↑, 서서측정 ↑)
부정맥(3) 선천성, 금연, 금주, 카페인섭취 ↓ 필요
- 빈맥(빠른) 100회 ↑
- 서맥(느린) 50회 ↓ (전기신호 단절) 인공심장박동기 부착가능성
- 불규칙맥
------------------------------------------
발목상완지수 ankle brachial index, ABI 위팔과 다리의 혈압비
-----------------------------------------------------------------------------------------
- 말초동맥 순환검사 ② = 동맥경화 검사
- 발목상완지수 = 발목혈압 / 위팔혈압
- 정상치 0.9 - 1.3
- 발목혈압 높게 나타남 1.3 ↑ (하지동맥 석회화 동맥경화 의심)
- 0.9 ↓ 말초혈관 질환 의심
-----------------------------------------------------------------------------------------
심장의 신경(자율신경)
---------------------------------------------------------------------
숨뇌 심장촉진중추 → 교감신경 - 심장활동 촉진
심장억제중추 → 부교감신경 - 심장활동 억제
--------------------------------------------------------------------
심장 컨트롤센서(?)
------------------------------------
대동맥활(온목동맥) 혈압감수기 - 동맥팽대(관에서 주머니처럼 부푼부위, 앰플)
화학감수기 - 동맥토리(실타래) → O2, CO2 농도감지
------------------------------------
심장의 혈관
-----------------------------------
동맥 오름대동맥 시작부위에서 갈라짐(5%),
왼심장동맥, 오른심장동맥
-----------------------------------
정맥 큰심장정맥, 중간심장정맥, 작은심장정맥, 왼심실뒤정맥
-----------------------------------
심장질환(협심증/심장마비<허혈성심장질환<심장혈관질환)(1)
-----------------------------------------------------------------------------------------------------------------
협심증 angia pectoris
- 심장동맥경화(왼앞 하행지 - 혈행 50%차지), (좁아짐70% ↑→ 혈류부족, 산소↓)
- 가슴통증(운동할때 마다-5분이내, 운동중지 통증환화), 일과성, 심근경색 이행가능성 ↑
- 심근경색보다 6배 발병가능성 ↑
- 고령, 흡연, 고혈압 140/90mmHg ↑, 비만, 운동부족
- 심장초음파(심장기능 확인)
- 심혈관조형술(부위, 정도확인 - 확진, 수술)
- 불안정협심증22 → 휴식시에도 가슴통증
→ 심근경색으로 진행가능성(사망위험성 ↑)
→ 통증은 더 길게 지속되며, 니트로글리세린에 대한 반응이 적다
-------------------------------------------------------------------------------------------------
심근경색
- (동맥 협착 · 경화 · 혈전) 혈관막힘 myocardial - 심장근육 괴사
- 가슴극심통증 · 통증 30분이상지속 infarction 구토 · 실신
- (급성 앞벽 심근경색 판단) 심전도 기록 ST분절 : +3mm ②
- 니트로글리세린 복용(지참자) 2시간이내 병원 이송
- 수술 · 뚫기,
· 뚫기 + 스텐스 삽입
· 우회술(← 심장동맥 협착증) - 4, 5 갈비뼈 사이 절개
잘라다 쓰는 동맥 좌내 가슴동맥(굵기 비슷, 동맥경화 적음), 우내 가슴동맥
요골동맥, 대복제정맥(다리 안쪽)
혈관 석회화 ↑ - 꿰메기 어렵고, 혈전발생 가능성 ↑
------------------------------------------------------------------------------------------
심장재활프로그램의 금기증 → 급성감염 22
협심증 자가진단방법(3개 항목 확실 = 협심증)
---------------------------------
1. 1년사이에 가슴통증 느껴본 적 있다
2. 계단, 언덕 조금만 올라도 숨이 차다
3. 과식 → 가슴 가운데가 답답하고, 뻐근하다
4. 무거운 물건들면 가슴 - 따끔따금 통증있다
5. 추울때 · 식후 · 아침통증 있다
---------------------------------
협심증의 유사질병(심근경색, 식도염)과 차이점
-----------------------------------
1. 심근경색과 구분(통증 차이)
- 통증 1분이내 사라짐(협심증),
- 통증 심하고, 10∼15분 이상지속(심근경색)
-----------------------------------
2. 식도염과의 구분(통증발생 시기)
- 쉴때(과식, 술, 누어있을때) 통증
-----------------------------------
심장질환 (심방 심실세동 / 부정맥) (2)
--------------------------------------------
심방세동
맥박200 ↑, 방실 방방방 과음후, 금방 숨참
40% 정도가 증상 못느끼고 살아
심방혈전 가능성 ↑ - 혈관막힘 가능성 ↑
뇌졸중 20% → 심인성, 그중 50% 심방세동에 의한 혈관막힘
------------------------------
심실세동
맥박200 ↑, 방실 실실실, 심장마비 가능성 ↑
혈액공급 × → 1분내 급사 가능
심전도 검사 - 급사패턴, 심근경색흔적패턴 발견가능
심폐소생술, 전기충격,
제세동기 이식(세동 → 전기충격 → 정상박동)
냉각도자절제술(-70℃ ↓ 부분냉각 굳힘)
전극도자절제술(50℃ ↑ 부분가열 굳힘)
------------------------------------
부정맥
방실방실 방방실실방실, 식은땀, 호흡곤란, 어지럼, 가족력
심장초음파 - 박동관찰(높낮이, 폭 들쭉날쭉, 발현 있다,없다가)
- 심장안의 혈전유무 확인
최대 적 - 스트레스
60∼100bpm / 고루 뛰나(특히 65세 ↑)
서맥성부정맥 - 60bpm / 3초 박동 ×
스포츠심장 - 서맥. 간이측정 - 손목동맥
말린쇠비름밥(항산화 항부정맥 먹거리)
- 잎채소중 오메가3지방산 가장 ↑ 함유, vit D 같이 함유
------------------------------------------------
기립경사 검사
------------------------------------
자율신경(신경성 실신)
------------------------------------
기립성저혈압
------------------------------------
부정맥(서맥성)
------------------------------------
혈관 blood vessel
-------------------------------------------------------------------------------
직경mm 벽두께mm 내압cm2 단면적% 혈액량 특징
--------------------------------------------------------------------------------
대동맥 25 2 100 2.5 6 직경↓(정맥대비)
동맥 4 0.8 90 20 13 탄력성↑
세동맥 0.3 0.02 60 40 2 *혈류조절
--------------------------------------------------------------
모세혈관 0.008 0.001 30 2,500 5 단면적↑(물질교환)
--------------------------------------------------------------
세정맥 0.02 0.002 20 250 5 정맥판막(일부제외)
정맥 5 0.5 15 80 20 혈액저장고
대정맥 30 1.5 10 28 49 탄력성↓
----------------------------------------------------------------------------------
혈관크기 정맥 〉 동맥 > 모세혈관
혈관벽 - 속막 / 중간막 / 바깥막
- 두께 동맥(중간막 두께 ↑- 혈류, 혈압 견딤)
〉 정맥(판막 - 중력반대방향 흐름 - 주로 다리혈관)
〉 모세혈관(7 - 10㎛, 속막 - 단층 (호흡가스, 영양분, 노폐물 교환)
정맥판막venous valve
- 역류 방지(중력)
- 장딴지근(근육, 조직) 수축 → 열림, 이완 → 닫힘
- (정맥판막 기능저하) 하지정맥류
모세혈관앞조임근 - 세동맥 끝부분
- 열리고 닫힘 → (모세혈관) 혈액흐름량 조절
모세혈관에서의 물질 이동방식(4)
------------------------------------------------------------------------
1-1. 직접확산
- 용액(용질-덩어리 / 용매-물) 끊임없는 불규칙운동 ← 브라운운동(brown movement)
- 높은농도 → 낮은 농도로 용질 이동
- 가스 / 액체 (허파꽈리 가스교환, 태반 물질교환)
1-2. 촉진확산(고농도 → 저농도로 분자 이동)
- '운반단백질'에 의한 확산(물질 - 수동적 이동)
- 이동물질 - 포도당, 아미노산, 핵산
2. 세포사이 틈새를 이용한 여과filteration
- 정수압 압력차 → 용매 · 용질 이동
- 정수압
① 물과 접촉하는 면에 항상 수직으로 작용.
② 한 점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크기는 모든 방향에서 일정.
③ 밀폐된 공간 속의 유체에 가한 압력은 균일한 강도로 전달(Pascal, 1653).
- 모세혈관(압력차) 림프생산, 콩팥(토리)의 오줌 생산
- 막 면적에 비례, 틈새의 크기 영향 ← 확산과 다른 점
생리학/이한기외/수문사2013
3. 삼투(반투막-세포막으로 저농도 용매 → 용질농도 높은 곳으로 이동)
- 반투막에 가해지는 압력 = 삼투압(용액 농도 ↑, 온도 ↑ → 삼투압 ↑)
- hypertonic = 축혈(짜부러짐), 원형질분리 hypotonic = 용혈 팽윤
- 역삼투압(삼투압보다 큰 에너지 필요) = 고농도 용매 → 낮은쪽으로 이동
- 혈장의 단백질 농도가 조직액의 단백질 농도보다 높아
조직에 있는 액체가 모세혈관으로 이동하는 물질이동방법은 → 삼투23
삼투압(osmotic p)
ⓒ LadyofHats/wikipedia | Public Domain
4. 포액소포의 포음작용(pinocyosis)
- 세포표면에 구덩이를 만들어 물체를 가두고, 세포내(외)로 흡인(배출)
- 작은분자
--------------------------------------------------------------------
대동맥Aorta
------------------------------------
1. 오름대동맥 Ascending Aorta
왼심실 → 왼 / 오른 심장동맥 → 대동맥활
2. 대동맥활 Aortic Arch
팔머리동맥(오른빗장밑동맥 → 오른겨드랑동맥, 오른온목동맥)
왼온목동맥(왼바깥목동맥, 왼속목동맥)
왼빗장밑동맥(왼척추동맥, 왼겨드랑동맥)
3. 내림대동맥(T4 부터)
가슴대동맥(T4 - T12 가로막) → 배대동맥(T12 - L4)
---------------------------------
머리와 목의 동맥
---------------------------------
온목동맥 common carotid artery 목 / 머리 혈액공급, 1쌍
1쌍(오른, 왼) (팔머리동맥) → 오른온목동맥 / (대동맥활) → 왼온목동맥
온목동맥 → 방패연골 위 →바깥목동맥/(목동맥토리)/속목동맥
바깥목동맥(8) p316
위갑상동맥 오름인두동맥 혀동맥 얼굴동맥
뒤통수동맥 뒤귓바퀴동맥 위턱동맥 얕은관자동맥
속목동맥 p317
눈동맥
앞대뇌동맥 anteror cerebral artery ACA - 앞교통동맥과 연결
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MCA - 가장 큰 대뇌동맥, 뇌출혈 빈번
- 대뇌반구의 가쪽 대부분에 혈액을 공급 → 중간대뇌동맥23
뒤교통동맥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척추동맥 (빗장밑동맥) → 뇌바닥동맥 → 뒤대뇌동맥 PCA
--------------------------------------
대뇌동맥고리cerebral arterial circle (= 윌리스환 willis' circle - 혈류량 일정유지 목적 → 서로 연결)
---------------------------------------------
- 속목동맥 → 대뇌 앞쪽, 척추동맥 → 소뇌 · 뇌줄기 · 척수 혈액공급
→ 뇌혈관 촬영 카테터-속목동맥 들어감 확인
1. 앞대뇌동맥 anteror cerebral artery,ACA - 앞교통동맥으로 연결
2. 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MCA - 뇌출혈 빈번
3. 뒤대뇌동맥 posterior cerebral artery,PCA - 뇌바닥동맥이 됨
4.5. 앞/뒤교통동맥 anteror/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
- 뇌혈관질환(입원기간 ↑), 혈압약 복용 → 뇌출혈 발병율 적어져
뇌경색 - 뇌출혈보다 4배 정도 발생가능성 ↑
- 중간대뇌동맥 손상시 임상양상 22
손상부위와 같은쪽의 반맹증
수용성 언어손상 및 운동 언어 손상
손상부위 반대쪽 팔과 얼굴에 운동 및 감각마비
- 뇌졸중환자의 마비쪽 팔기능을 증진하기 위한 강제유도 운동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비마비쪽 팔을 못 쓰게 고정허고 마비쪽 팔을 집중 사용하게 한다 23
팔의 동맥
-----------------------------------
대동맥 →대동맥활 → 빗장밑동맥 → 겨드랑동맥 → 위팔동맥 → 노동맥 / 자동맥
→ 깊(얕)은손바닥동맥활 → 손가락동맥
앞,뒤위팔휘돌이동맥 → 위팔뼈 외과목 앞뒤 돌며 연결, 어깨관절 주위 분포
------------------------------------
팔꿉관절동맥그물cubital artcular network → 위팔동맥 폐쇄시 곁순환로(아래팔)
1. 깊은위팔동맥deep brachial artery
2. 위 / 아래 자쪽곁동맥 superior,inferior,ulnar collateral artery
3. 노 / 자동맥가지
몸통의 동맥
--------------------
가슴대동맥 Thoracic aorta (T4 - T12 가로막) → 가슴장기
배내동맥 abdominal aorta (T12 - L4) → 배안장기
온엉덩동맥 common iliac artery (엉치엉덩관절부위에서 갈라짐)
· 속엉덩동맥 → 골반속 근육장기, 볼기근육, 생식기
· 바깥엉덩동맥 → 아래배벽 근육, 피부
---------------------
다리의 동맥
----------------------
넙다리동맥 → 넙다리 안쪽
오금동맥 → 무릎관절, 넙다리, 종아리 일부
앞정강동맥 → 종아리 앞쪽, 옆쪽 근육, 피부 → 발등동맥
뒤정강동맥 → 근육속 → 종아리동맥 → 발바닥동맥
----------------------
정맥계통
--------------------------------------------
깊은정맥 deep vein → 동맥동반(동맥들과 같은 이름)
얕은정맥 superficial vein → 피부밑 근막 → 표면혈액 회수
정맥판막 venous valve - 역류방지(2mm이하 판막×)
홀정맥 azygos vein 335p
아래대정맥 → (홀정맥-몸통정맥) → 위대정맥 연결
독자정맥 → 배출 우회통로(일반정맥-동맥과 한쌍)
아래대정맥 폐쇄 → 다리-심장 혈류 변경
---------------------------------------------
* 작은두렁정맥small saphenous vein 21 - 다리의 피부정맥
- 가쪽복사 뒤를 지나 종아리 뒷면을 따라 올라감
- 다리 오금에서 오금정맥과 합류
* 탄력압박스타킹의 적용 21
- 장기간 침상안정한 환자의 다리 큰정맥에서 발생
- 종아리 뒤쪽에 통증과 부종, 열감, 발적 발생
- 호만징후 homan's sign 검사 양성
· 심부정맥혈전증 진단기능성(확률 56 - 80%)
· 누운자세 - 한손으로 환자 무릎을 들고(엉덩관절, 무릎 약간 굽힘됨) 한손으로 발등굽힘
→ 종아리, 무릎 뒤 오금쪽에 통증(양성)
(간)문맥순환계통 338p
----------------------------------
일반 혈액순환 - 동맥 → 모세혈관 → 정맥
문맥순환 - 동맥 → 모세혈관 → 모세혈관 → 정맥
- 소화관 흡수 영양분(정맥혈) 운반경로 → 간
- 위, 작은 · 큰창자, 이자, 지라, 쓸개 → 아래대정맥
----------------------------------
간문맥의 곁순환collateral circulation
-------------------------------------
간질환(간경변, 간종양) - 문맥순환장애 → 혈액 우회 흐름
→ 장기 정맥혈, 다른경로로 아래, 위대정맥 유입 → 오른심방
------------------------------------
태아순환
----------------------------------------------
- 배꼽정맥(태반동맥혈 - 탯줄 → 배꼽 → 태아)
- 배꼽동맥(정맥혈 탯줄 → 태반)
- 동맥혈액(산소, 영양분공급) - 나머지는 혼합혈액(동,정맥혈)
- 타원오목oval fossa 오른심방 중앙에(심방사이막에 있다 21) 계란모양웅덩이
- 오른심방→왼심방 연결(폐순환시 막힘)
- 심방중격결손 - 청색아
--------------------------------------------
림프계통 lymphatic system
-------------------------------------------
- 림프 → 조직내 잔류 혈액성분 일부+세포 대사산물
- 조직 액압증가(이동)
- 림프관 림프관 마디 5∼8회 / 분 수축이완, 림프액 이동
- 림프절 이물질, 병원균 여과 ← 식세포에 노출시킴
림프에 림프구 + 항체첨가(면역반응↑)
암세포 통과(약 80%) 전이여부 판단
배(장 주변 가장많음),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가래톳) 많이 분포
- 림프기관 - 지라(비장), 가슴샘, 편도 등
-----------------------------------------
*가슴림프관 22 - 몸에서 가장 큰 림프관
- 왼빗장밑정맥과 왼속목정맥의 합류점에서 순환계로 유입
- 아래쪽에 팽대부위가 위치함
림프부종의 물리치료방법 → 부종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위치 22
림프의 역할
-------------------------------
1. 포식작용과 이물질 제거 → 방어작용
2. 면역작용
3. 조직액을 혈액으로 되돌리는 작용
--------------------------------
림프절 -작은 알갱이 모양 림프조직
---------------------------------
- 파이어판(peyer's patch) → 돌창자 점막의 림프소절 무리
- 세균제거 → 작은창자벽 파괴 방어
----------------------------------
림프기관(지라, 가슴샘, 편도)
-----------------------------------------------
암죽관 - 지방 흡수부위, 유백색 림프(암죽)
지라 spleen(비장, 가장 큰 림프기관)
- 배안 왼쪽 9∼11갈비뼈 밑 위치
- 백색속질 → 림프생산, 항체합성, 포식세포 보유
- 적색속질 → 노쇠적혈구 분해(색소,철-재활용) 제거-그물망혈관
혈소판 제거
----------------------------------------------
왈데이어편도고리(waldeyer's tonsilar ring)
-----------------------------------------
인두 시작부위 고리모양 림프조직
목구멍 편도(양쪽)-염증(비대. 편도절제술, 혀편도, 인두편도-비대 = 아데노이드
공기+음식물 통한 혼입 병원미생물 제거(방어-항체생산)
림프구생산
-------------------------------------------
'해부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학 7장 감각계통 (0) | 2015.09.22 |
---|---|
해부학 제7장 신경계통 (0) | 2015.09.07 |
인체에서 소금의 장점과 단점 (0) | 2015.03.10 |
기관절개술 시술이유, 개념과 기도막힘 응급조치(하임리히요법) (0) | 2014.10.28 |
갑상샘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