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의지학
-------------------------------------
- 체중지지(압력분포) - 보행 가능
- 겉모습↑ - 비교적 단순(손 의지에 비해)
------------------------------------
발가락 및 발 의지-교재 설명
발목관절 이단(사임절단)의지
-----------------------------------
socket 캐나다식 - 뒷부분 분리(잘린 끝 수용)
후면 개방식,
VAPC 내측 개방식
폐쇄형
-----------------------------------
의지발 SACH(solid ankle cushion heel) 발
에너지저장발energy storing foot
-----------------------------------
종아리 의지
의지발 및 발목관절, 정강부 shank, 소켓, 현가장치
종아리 의지용 socket
--------------------------------------------------------
PTB(patellar tendon bearing)
디자인 - 잘린 끝 부위들이 같은 크기 하중에, 견딜 수 없다 → 체중지지 patellar bar
무릎관절 ×
소켓 제작 시 무릎관절 굽힘 각도 15˚? (5 - 15˚ ?)
(벤치정렬bench alignment = 조립정렬
기준 anterior tilting 5˚ flexion and lateral tilting 5˚ adduction)
부가적 현가장치 → 무릎 끈 knee cuff
→ 넙다리 코르셋
------------------------------
무게↓(플라스틱), 내구성↑
보행 양호(정상에 가까운 무릎운동)
------------------------------------
TSB(total surface bearing)
디자인 - 지지 면적 증가 → 압력↓(잘린 끝 전체 - 체중지지)
------------------------------------
VAS(vacuum assist)
잘린끝 부피 변화 문제 해결 장치 부착
-------------------------------------------------------
종아리 의지 현가장치suspension
------------------------------------------------------------------------
strap형 현가장치
- 관절융기위 커프supracondylar cuff (PTB-cuff)
- 허리벨트 - 관절융기위 커프 보조 위한 현가장치
------------------------------------
경첩형hinge
- 넙다리 corset을 이용한 현가장치
- 무릎관절 내외 측 안정성 필요시 적용
- 잘린 끝 짧거나, 노인 절단자 적용
------------------------------------
해부학적 현가장치
무릎뼈위 현가장치 PTB-SC supracondylar or suprapatellar suspension
= KBM(Kondylen Buttung Munster)
- 소켓 안, 가쪽면을 높여, 넙다리 위 관절융기를 감싸, 밑으로 미끄러워 내려가지 않게 매담
- (잘린끝이 짧거나 무릎관절이 불안정할 때 사용
/ 무릎뼈와 넙다리뼈 양쪽 관절융기를 완전히 덮음
/ 커프, 코르셋없이 사용할 수 있고, 피스톤 작용이 없음21)
- 무릎뼈 완전 덮지 않음
- 안, 가쪽 벽이 앞, 뒤벽보다 높다
- 무릎 폄 조절 기능 미약( → 무릎뼈 감싸져 있지 않음)
- 무릎 꿇기 많은 사람 좋다.
- 넙다리네갈래근 바 압박을 못 견딜 때 사용
---------------------------------
PTB - SC / SP supracondylar/suprapatellar 현가장치
- PTS(patellar tendon supra-patellar-suprakondylen) 또는 PTES 소켓으로도 불림
- 소켓 - 넙다리뼈관절융기 / 무릎뼈 완전 감쌈
- (무릎뼈 위에서 압박을 가하는) 넙다리네갈래근 바 적용
- 잘린 끝 짧은 환자에 추천(지지 면적↑, torsional forces에 저항)
------------------------------------
진공 / 흡입식 현가장치 → 실리콘 흡입식 소켓 silicone suction socket, SSS
------------------------------------
골융합 → 골조직에 하중전달 implant - 부착, 고정
---------------------------------------------------------------------------
의지발
--------------------------------------------------------
필요기능 - 정상관절 기능의 joint simulation - 충격 흡수 shock absorption
- 안정적 체중지지 위한 기저부 - 근육 기능, 외관↑
-----------------------------------
SACH (solid ankle cushion heel) 발
발목관절 운동 제한(관절 ×)
조용하며, 안정적, BK, PTB, syme's 주로 사용
--------------------------------
단축발 1축(발바닥굽힘 15˚, 발등굽힘 5˚허용)
--------------------------------
다축발 2축 (발바닥굽힘 + 발등굽힘 → 가쪽번짐, 안쪽번짐 추가(고무범퍼)
불규칙 지면 걷기 적합
무겁고, 유지↓, 외관↓, 쇠약 환자 ×
평지 걷기 안정성↓
-----------------------------------
에너지저장발 유연성 용골구조 → 활동성↑ (스포츠)
--------------------------------------------------------
무릎관절 이단의지-교재 설명
넙다리 의지
----------------------------------------------------------------------
정상 다리보다 1∼2cm 짧다
(의지 착용 후) 휘 돌림 circumduction보행 발생 이유
- 의지 너무 길 때 - 환자 불안(무릎관절 굽힘 못할 때)
- 스텀프안에서 피스톤 작용 - 소켓이 작아서 궁둥뼈 결절이 궁둥시트 위에 있을 때
- 무릎 펴짐 - 의지 안쪽 벽이 두껍다
-----------------------------------------------------------------
소켓 plug-fit 현재 거의 사용 안함
----------------------------------------------
장사방형quadrilateral
체중지지 - 궁둥뼈둔부근육, 소켓뒷벽 안쪽면 상부 (궁둥뼈시트 ischial seat)
반대 지지력 - 스칼파 삼각부가 위치한 소켓 앞벽의 안쪽 2/3 지점
스칼파삼각부 - 넙다리빗근sartorius, 긴모음근adductor longus,
샅고랑인대inguinal ligament 가 이루는 부분
가장 높이 낮은 벽 - medial wall
---------------------------------------------
궁둥뼈수납형 ICS
궁둥뼈 위치 보강(궁둥뼈 - 소켓 안에 위치)
Bony lock - 반대압 add 하려 함
--------------------------------------------
MAS marlo anatomical
엉덩이 모양 유지 위해 뒷벽을 낮춤, 브림 brim 높이 낮음 ← ICS 대비
→ 엉덩이 외관↑ (큰볼기근의 소켓 외부 노출 - 엉덩이 지지 못함)
---------------------------------------------------------------
넙다리의지의 무릎관절
-----------------------------------------------------------------
단축 힌지 hinge 메커니즘 → 안정성 부족
-----------------------------------
다축 4절 링크구조(4 bar linkage)
관절 굽힘 폄시 순간적으로 회전 중심 바뀜
- 건측하지와 다리 길이 같게 보임 (회전 중심 바뀜)
- 짧은 잘린 끝 환자(50%↓) → 장점 제공
- 엉덩관절 폄근력↓ 환자 적합
-----------------------------------
체중이용 입각기 조절
체중 적용 시 잠금장치 작동 → 관절 굽힘 막음
입각기 조절 어려운 쇠약한 절단자 사용(안정성에 우선)
잠금 후 유각기 시작에 시간이 소요(단점)
-----------------------------------
수동잠금
관절 폄 - 자동 잠김(잠금하고 걷기 - 뻣청다리 - 안정성에 우선),
관절 굽힘 - 수동으로 잠김 품(안거나 일어설때), 쇠약하고, 불안정한 환자 적용
불규칙 지형 보행, 여가활동 적용
-----------------------------------
공압식 / 유압식 (진보된 유각기 조절장치)
특징 · 축 → 다중심
· 입각기 → 잠금기능 없음
· 유압식 댐퍼 → 유각기 자연스럽게
· 보행속도 → 일정(설정치대로)
보행속도에 반응하는 기능 이용가능자 적용, 젊은이에 적합
-----------------------------------
무릎관절 신전장치
유각기 말기에 무릎 신전(스프링)
-----------------------------------
컴퓨터 조절식(다양한 센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무릎) 보행 움직임-능동 대처, 유압실린더, 오토복 C-LEG 가장 유명
입각기, 유각기 모두 제어가능(보행속도 빠르게 · 느리게) → 자연스런 보행 제공
-----------------------------------------------------------------------
넙다리의지의 현가장치
------------------------------------------------------------------
흡입식 공기의 음압 이용(공기 배출밸브 이용)
현가능력 가장 좋고, hip / trunk 움직임 좋음 (젊고, 활동적 절단자에 적용)
체중이나 잘린끝의 부피변화가 심한 경우 사용이 제한적임
금기 → 출혈성 질환, 피부질환, 쇠약한 노인(고령자)
------------------------------------------------
soft belt 골반밴드 부착된 측면 엉덩관절과 벨트 → 골반의 안, 바깥쪽 강력한 안정성 제공
-------------------------------------------
실레지안벨트 넙다리의지 편안한 현가, 의지 회전 방지
------------------------------------------
TES total elastic suspension) 벨트
의지의 가까운 곳 약 20cm, 허리 감싸고, 전면에서 벨크로로 조임 → 의지 회전 방지
------------------------------------------
골융합 현가장치 implant
----------------------------------------------------------------
넙다리의지 기능 증대를 위한 부품
-------------------------------------------------
토오크 torque 흡수장치
가로 돌림 가능 → 잘린 끝 / 소켓 간에 전단력 발생 억제
돌림힘 torsional load 하중 대응 (스포츠 활동)
-----------------------------------
무릎 - 하퇴부 회전장치 knee shank rotator
다리 접고 앉기, 자동차 승 · 하차, 신 신기 편리
------------------------------------------------
양쪽 다리 절단을 위한 의지
------------------------------------------------------------
양쪽 다리 절단
정상 다리 길이보다 2.5cm↓, 의지발 폭↑
의지 정렬 → 안정성에 우선
-----------------------------------
한쪽 다리 절단
넙다리의지가 종아리의지보다
0.6∼1.3mm↓ - 발끝떼기toe off 쉬움
-----------------------------------
양쪽 넙다리절단
stubby 의지 - 5∼7.5cm 짧게 만든 의지(중력 중심 COG - 기저면에 가깝게 유지)
rocker bottom 사용 - 후방 낙상 방지
무릎관절 ×
---------------------------------------------------------
다리의지 훈련 프로그램
--------------------------------------------------------
훈련 목표 - 손상의 치료와 손상 위험방지 - 기능 증진
- 신체적 적합성과 안녕 증진 - 전신적인 건강 향상
----------------------------------------------------
1. 자세유지 supine → 엉덩, 무릎관절 중립 위치
prone → 엉덩, 무릎관절 중립 위치
side lying → 환측 엉덩, 무릎관절 직선 유지(베개사용)
------------------------------------
2. 유연성 운동 뻗침운동(고정 - 이완, 수축 - 이완)
*thomas test 응용(4-90B)
-----------------------------------
3. 근력강화 운동 처방, 조기, 점진적, 질 우선,
심한 통증 - 운동 중지, 강도↓, 횟수↓ / 수월 - 저항↑, 횟수↑
------------------------------
등척성 운동 근육 길이 변화 × → 근육 수축
---------------------------
등장성 운동 근육 길이 늘어남(편심성) / 근육길이 짧아짐(동심성)
---------------------------
등속성 운동 변화하는 저항에 같은 속도 움직임, 발생 운동(편심성, 동심성, 등척성)
-----------------------------------------------------------
*thomas test 응용(4-90B)
-----------------------------------------------
방법 누어, 건축 무릎 몸통 쪽 당겨 굽힘(90˚)
환측 굽힘(양성) 여부
--------------------------
검사항목 큰허리근 + 장골근 iliopsoas 단축
환측 엉덩관절 굽힘(들림)
엉덩관절 굽힘, 외회전, 골반 앞굽음
지나친 lodosis
--------------------------
넙다리근막긴장근 단축
장경인대 과긴장(인대 튀어나옴)
--------------------------
넙다리네갈래근 단축
다리 무게 + 중력 → 무릎 굽힘(음성),
상대적 폄(양성)
----------------------------------------------
절단 후 환자 활동
----------------------------------
초기활동 등척성 운동
이동 → 넓은등근, 위팔세갈래근 강화
에르고미터 ergometer, 침상 가동성
환자 간 교류,
수중치료 (금기 - 개방성 병터, 요실금, 클로라이드 민감)
----------------------------------
보행활동 초기 의지보조기 15분↓ 착용(15분 휴식)
초기 의지 착용 체중부하 11∼18kg 제한
가쪽 체중이동, 앞, 뒤 체중이동
불안정한 지지면
초기 보행(휘 돌림 circumduction, 벌림 지양)
옆으로 걷기(중간볼기근 강화)
걸상 오르기, 균형훈련, 보행 저항훈련
----------------------------------
기능적 보행훈련(건측 체중부하)
----------------------------------
1. 계단 오르고(건측 먼저), 내려오기(환측 먼저)
--------------------------------
2. 경사 오르고(건측 먼저), 내려오기(환측 먼저)
---------------------------------
3. 물건 줍기(건측 체중부하)
---------------------------------
4. 앞, 옆 장애물 넘기(건측 먼저)
---------------------------------
5. 넘어지고, 일어나기(손 짚으며, 건측 볼기 사용)
---------------------------------
6. 바닥에 않기(손 뻗고, 허리 구부리며, 건측 사용)
----------------------------------
기능적 보행 강조 (또 다른 내용)
--------------------------------------------------
1. 한쪽 다리 절단자 의족 착용
올라가기 ; 건측먼저, 내려가기 의족먼저
--------------------------------
2. 편마비환자 지팡이 집고 계단 오르내리기
올라기기 ; 건측다리 → 지팡이 → 환측다리
내려가기 ; 지팡이 → 환측다리 → 건측다리
--------------------------------
3. 절단환자 의자 앉고, 일어나기
건측다리는 뒤로(체중부하 많이, 안정성↑) / 의족다리는 앞에 위치
-------------------------------
4. 양쪽 다리절단자 의족 착용 후 계단 이용
올라가기 ; 긴 절단부 먼저 / 내려가기 ; 짧은 절단부 먼저
-------------------------------------------------
'의지 보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리보조기학(제7장) (0) | 2016.03.29 |
---|---|
보조기 원리와 적용(제5장) / 팔 보조기(제6장) (0) | 2016.03.28 |
팔 의지학 (0) | 2016.03.14 |
의지, 보조기 정의 / 절단 / 절단단 관리 (0) | 2016.03.07 |
발목관절발보조기/무릎발목관절발보조기/엉덩이무릎발목관절발보조기/무릎관절보조기 (0) | 201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