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다리보조기학
다리보조기 착용 목적
------------------------------------------------------------------------
1. 체중 지지 4. 불수의적인 운동의 조절
2. 신체분절의 바른 정렬 5. 손상된 관절의 고정 및 보호
3. 기형의 예방과 교정 6. 약해진 근육을 돕거나, 대신함
------------------------------------------------------------------------
다리보조기 적용원칙
---------------------------------------------------------------------
1. 적응증에 대한 처방 4. 보행, ADL - 기능적이어야
2. 필요 기간에만 사용 5. 착용감 ↑, 미관 ↑
3. 관절운동 가능한한 허용
--------------------------------------------------------------------
발 보조기foot orthosis, FO
구두보조기(=정형화orthopaedic shoes) 일반사항
------------------------------------------------
1. 넓고 튼튼한 발꿈치
2. 갑피(upper)가 너무 딱딱하지 않을 것
3. 매끈한 안가죽
4. 정상보행 일어나는 적당한 경도의 바닥
5. 유연한 신허리(shank)
-----------------------------------------------
보조기학에서 구두착용 목적02
-------------------------------------------------------------------------
1. 과도한 압력제거(압박) 3. 기형교정
2. 발활 지지 4. 다리길이 및 발 크기의 보완
------------------------------------------------------------------------
구두의 명칭 (일부)
------------------------------------------------------------
ball 발허리뼈머리(metatarsal head) - 동일선상
-----------------------------------------------
슈브레이크 발허리발가락관절(MP joint) - 일치
-----------------------------------------------
toe spring 구두코
구름(흔들림)효과(rocker effect)-발끝떼기 도움
-----------------------------------------------
굽 heel 2.5cm 이상적 - COG 약간 전방이동
행군골절 - 제2발허리뼈 선상(실금)골절
-----------------------------------------------
발 체중부하점 제1발허리뼈머리, 제5발허리뼈머리, 발뒤꿈치뼈
------------------------------------------------------------
구두의 제작과정(맞춤화) - 공정별 분업(생산성↑ ), 1인 2켤레 /일
---------------------------------------------------
1. 걸음걸이, 발바닥 체중분포 측정 점검
2. 발모양 금형제작(스티로폼)
3. 깔창제작
· 금형 → 코르크 깔창 - 쿠션, 땀 흡수↑ + 내피 부착
· 두께 조정(덧붙이고 떼어냄), 모양 조정(절단, 갈아냄)
4. 화형 + 구두 어퍼(재단 + 재봉질) 소가죽 고정
· 290번 당기고, 100개 ↑ 못 박고, 1000번 이상 두들겨 가죽 폄
5. 바닥창 붙이기(접착제 코팅 가압-압착기)
6. 바닥창 + 어퍼 재봉질
---------------------------------------------------
구두형 보조기의 적응증 00
------------------------------------------------
1. Pes equinus 첨족변형
다리관절, 저측 굴곡된 상태로 고정된 변형(굽높은 구두)
과신전 발가락으로 걸어, 발뒤꿈치가 지면과 접촉 못함.
2. Splay foot(=flat foot)
편평족. 안쪽세로아치의 무너짐. 선천성, 외상성, 마비성.
아치 유지근이나 인대가 약해 발생.
단단한 바닥 위에서 서서 일을 하면 발생. 통증, 압통.
3. Subtalar joint(st j.) Osteoarthritis
4. Sub talar joint(st j.) ankylosis
ankylosis : 관절굳음증, 강직(증). 제 기능을 못하고 굳은관절
--------------------------------------------------
* 편평발 21 - 발바닥의 세로활 높이 감소
- 용수철인대와 뒤정강이 힘줄 늘어남
구두수정(안쪽 세로발바닥활 지지)
---------------------------------------------------------
안쪽 평발, 엎침(pronated), 가쪽들린휜발(pes valgus)
세로발바닥활 체중 안쪽부하
지지 ------------------------------------
구두 안 수정
- 안쪽발바닥활지지대
- 발배뼈 패드navicular pad (뒤꿈치뼈머리의 압박에 의한 통증에 사용03)
- medial long counter
-------------------------------------
구두 밖 수정
- thomas heel → 구두굽 안쪽, 전방으로 1.5cm 연장
→ 체중 안쪽이동 방지(가쪽들린휜발)
- 바깥굽음스트랩 → 바깥굽음방지
→ 안쪽 부착, 밖에 묶음
---------------------------------------------------------
구두수정(가쪽세로발바닥활 지지)
-------------------------------------------------------------
가쪽 가쪽평발, 뒤침(supinated),
세로발바닥활 안쪽들린휜발(pes varus)
지지 체중 가쪽 부하
------------------------------------
구두 안 수정
-----------------------------------
구두 밖 수정
- reverse thomas heel02
→ 외측이 앞쪽으로 돌출
→ 발꿈치입방관절(calcaneocuboid) 지지발 안쪽굽음, 뒤침방지
→ 안쪽들린휜발증 환자 - 발바닥 안쪽으로 체중이 쏠리도록 하는 신발수정21
- hauser bar → 쉼표모양, 평발 발앞부 뒤침방지
- 안쪽굽음스트랩 안쪽굽음 방지-가쪽부착
----------------------------------------------------------
구두수정(가로 발바닥활 지지)
----------------------------------------------------------
가로 발허리통증(metatarsalgia), 평발, 오목발(pes cavus)
발바닥활 골절, 엄지발가락가쪽휨증(hallux valgus)
지지 morton's 발가락 → 제1발허리뼈 비정상 짧음(디딤기 후부에 통증)
---------------------------------------
구두 안 수정
- 발허리뼈 패드 → 발허리뼈 머리 바로 뒤쪽 지지
- levy type inlay, toe separator → 엄지발가락가쪽휨증
- morton's 발가락 extension → 엄지발가락 부분 연장
----------------------------------------
구두 밖 수정
- metatarsal bar → 발허리뼈 arch 받침
- rocker bar → 발허리뼈 arch 받침
- denver bar → 가로발활 높임효과
---------------------------------------------------------
엄지발가락가쪽휨증22
정상 - 15˚ 미만( 15˚ ↑ 질병진단, Xray)
수술권유 30˚ ↑, 통증(ADL불편)
관절염증 → 관절염으로 진행. 50대 이상 유병율 30%(여성 81%)
볼넓고 · 한치수 큰 신발로 교체, (물리치료)발가락 굽힘, 벌림운동, 발목회전운동
· 앞이 좁은 구두를 지속적으로 착용하는 여자에게 생기는 경우가 많음
· 첫째 발허리발가락관절의 비대와 아탈구가 나타남
구두 높이기
----------------------------------------------
1. 다리길이 측정 = 골반 앞위엉덩뼈가시 → 안쪽 복사뼈 까지 길이
2. 다리길이 차이 1.3cm ↓ - 구두 굽만 높임
(작은 차이 → 발꿈치패드)
3. 다리길이 차이 1.3cm ↑ - 굽 높임 + 구두창 높임(굽높임의 50%)
------------------------------------------------
발목관절 발 보조기ankle foot orthosis, AFO
---------------------------------------------
1. 발목관절 발등 발바닥관절 굽힘 조절
2. 엎침, 뒤침 약간 조절
3. 발목관절의 잘못된 체중지지 조절
4. 말단 체중부하
5. 구두, 스터럽stirrup, insert, 업라이트upright,
보조기 발목관절, 장딴지 밴드calf band, 커프
-------------------------------------------------
스터럽stirrup
---------------------------------------------
고정형 구두에 맞게 U자 모양 부착 - 허리쇠shank에 고정
-------------------------------------------
분리형 L자형 지주 끼웠다 빼기 - 보조기 신고벗기 간편
무겁고, 소음발생, torsional movement ×
--------------------------------------------
caliper 보조기발목관절이 해부학적 발목관절에서 먼쪽 위치
발목관절 기준으로 피스톤 작용 발생 → 사용 거의 ×
--------------------------------------------
insert
--------------------------------------------------------------
shoe insert subtslar j. - 강력한 내외측 안정성 제공. 몰드 제작, 신발크기 ↑.
-----------------------------------------------------------
sandal insert 뇌성마비-장딴지근 단축, 구축 → 뒤꿈치 들림 변형교정
--------------------------------------------------------------
업라이트upright
---------------------------------------------
- 두 개 사용(일반적), 피부와 업라이트 간격 4mm
- 하나 사용 → 안쪽 - varus 바깥쪽 - valgus 뒤쪽 - foot drop
커프 - 종아리신경peroneal n. 압박 유의
(종아리 뼈머리 먼쪽 경계선 밑으로 2.5cm 위치)
---------------------------------------------
보조기 발목관절(자유형, 운동제한, 운동보조)
---------------------------------------------------------------
축 중심 - 안쪽 복사뼈malleolus 바로 아래와 가쪽 복사뼈 첨부 apek 연결선
--------------------------------------------------------------
자유형 발목관절
----------------------------------------------------------
발바닥굽힘, 발등굽힘 만을 허용 → 내외측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 주로 적용
----------------------------------------------------------
운동제한 발목관절
------------------------------------------------------------------
앞정지17 dorsi f. 제한, plantar f. 허용
anterior stop plantar f. m. 약화,
정강신경tibial n. 마비→ calcaneus gait,
평발보행, 아킬레스건 늘어남, 재파열 방지
앉았다 일어나기, 언덕 오르기, 보행 추진 어려움
-----------------------------------------------------
뒤정지 plantar f. 제한, dorsi f. 허용
posterior stop dorsi f. m. 약화
종아리신경peroneal n. 마비 → foot drop
장딴지근 경직에도 사용
foot drop → steppage gait(유각기 발 끌림 보상)
언덕 내려오기 어려움
-----------------------------------------------------
양방향제한 dorsi f., plantar f. 제한(5∼15˚ 허용)
double stop 궁둥신경sciatic n. 마비 → dorsi f.m., plantar f.m. 모두 약할 때
----------------------------------------------------------------
염좌 1단계 인대 늘어남
2단계 인대 일부파열
3단계 인대 완전파열
→ 병원치료 필요 (통증) 3 - 4 발자국 걷기힘듦. 자르고 당겨 고정
보존치료 - 고정(- 다시 붙을 가능성)
발목근력 강화운동 - 까치발,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운동보조 발목관절(클렌작 Klenzak)
-------------------------------------------------------
dorsi flexion 보조(각도, 정도 조절-스프링) → 발처짐 교정
종아리신경peroneal n. 마비 → foot drop → 자연스러운 보행패턴
간대성경련ankle clonus 발생 가능성 - 경직, UMN 병변 → 사용 × 바람직
--------------------------------------------------------
- Klenzak → anterior stop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O ×
- 깊은종아리신경 손상으로 발등굽힘근이 약화된 환자에게
적절한 보조기는? → 클렌작 발목관절 23
발목관절 안·가쪽 조절을 위한 부속품(스트랩 strap, 압력패드)
------------------------------------------------------
바깥굽음valgus스트랩
구두안쪽 부착 → 가쪽업라이트에서 버클로 조임
(안쪽 힘 → 가쪽 전달 - 바깥굽음 교정)
스트랩strap -------------------------------------
안쪽굽음varus스트랩
구두가쪽 부착 → 안쪽업라이트에서 버클 조임
(가쪽 힘 → 안쪽 전달 - 안쪽굽음 교정)
-----------------------------------------------
압력패드 바깥굽음 패드 → 안쪽 내부에 부착, 반대압 제공
안쪽굽음 패드 → 가쪽 내부에 부착, 반대압 제공
-----------------------------------------------------
플라스틱 발목관절 발 보조기
--------------------------------------------------
장점 - 가볍다(↔ 금속), 피부에 밀착되어 외관이 좋다
- 구두를 쉽게 벗고 신을 수 있다(실내 · 외 사용편리)
- 수정 용이하고, 비용 저렴
---------------------------------------------
단점 - 발 내외측 안정성 떨어짐(↔ 금속)
- 저온충격 약함
--------------------------------------------------
플라스틱 발목관절 발 보조기posterior leaf spring(PLS)
--------------------------------------------------------
- 발등굽힘 마비, 약할 때 → 보행 입각 · 유각기 동안 가장 효과적
- 구두 내부에 착용
- 배측굽힘근 힘↑ (plantar f.m. 근력 Fair ↑) → (회복정도에 따라) 중족골두 후방 잘라줌
- plantar f.m. 근력 G 이상이어야 처방(?)
--------------------------------------------------------
플라스틱 발목관절 발 보조기(PLS 이외의 것)
--------------------------------------------------
flanged plastic AFO - 플랜지와 안쪽에 패드 적용
- 발의 과다 supination, pronation 조절
- 가쪽 flange 과다 supination 제한
- 안쪽 flange 과다 pronation 제한
--------------------------------------------
나선형 보조기 - 스프링, 볼트 감기고 풀리는 원리 이용
spiral AFO - 발등굽힘, 발바닥굽힘 마비, 약화
- Varus, Valgus 되려 할 때
- 내반 안쪽 시작 360˚ 감고 안쪽 마무리
- 외반 가쪽 시작 360˚ 감고 가쪽 마무리
- 부종edema 사용 ×
--------------------------------------------
반나선형 보조기 - 발목관절 안쪽들린pes varus 조절
hemispiral AFO - evertor, dorsiflexor 약할때 → 꿈치바깥들린휜발equinovarus 경향
- 180˚ 감아 가쪽 시작 안쪽 마무리
---------------------------------------------------
체중지지 발목관절 발 보조기
----------------------------------------------
PTB AFO 체중지지 patellar tendon, 정강뼈 골절
PTB brim → 체중부하 전체 × → 감소 작용
----------------------------------------------
patten bottom 한쪽 다리 절대 체중지지 ×, 발목관절 ×,
업라이트 2∼4inch 연장, 금속 Ring 부착
건측 구두 굽 높임 필요
PTB + patten bottom = 최상의 체중지지
----------------------------------------------
샤르코억제보조기 당뇨발(체중전달 최소화), 샤르코병
charcot reatraint orthotic walker, CROW 발, 다리 완전 감쌈
----------------------------------------------
샤르코마리투스병(의사 3명 이름, 유전성 진행성 말초신경근육질환, CMT)
- 말초신경 슈반세포의 말이집(절연, 신호속도↑) 단백질 합성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
(PMP 22 유전자 중복 - 50%, 미확인 40% → 수초화 ×
- 3,000명 중 / 1명 발병(유전 신경질환중 가장 흔한 질환),
심각한 (보행)장애, 수명단축 ×, 진행이 느리고, 증상과 정도 다양
- 증상(초기 - 만2세 부터 걷기 서툼, 제발에 걸려 넘어짐)
① 무감각(접촉, 열, 통증) → 감각 · 운동신경 신경전달 ↓ (경미 · 중증)
② 근육 위축(서서히) → peroneal n. · tibial n. 병변 (peroneal m 위축)
새다리처럼 가늘어짐
③ 발의 기형(발 아치 ↑ - 보행장애, 발처짐(foot drop).
- *다리 → 손(clawhand) → 팔 순 진행, distal → proximal)
- 진단 신경전도검사 → 저하된 전도, 혈액검사, 장딴지신경(sural n.) 생검
- 치료
① (대증, 외과 치료보다) 삶의 질 향상에 중점
② 신발보조기, 다리교정기, 기형수술(발처짐 → 근육 일부이식 고정수술)
③ 스트레칭(ROM ↑) · 근력강화 → 수중운동(관절부담 ↓), 유산소 운동
④ 걷기능력 ↓ → 보조기 착용(부목, 보행기, 휠체어, 교정용 신발)
*길랭-바레증후군의 임상양상22 → 근력약화기 먼쪽에서 몸쪽으로 진행
무릎 발목관절 발 보조기 knee ankle foot orthosis, KAFO = long leg brace,LLB
무릎 발목관절 발 보조기 적응증
----------------------------------------
- 넙다리네갈래근 quadriceps femoris 약증, 마비
- 젖힌 무릎 genu recuvatum
- 밖굽이 무릎 genu valgus
- 안굽이 무릎 genu varus
- 불수의 운동 involuntary movement
- 정강뼈 비틀림
* 주로 무릎관절 이상시 적용
----------------------------------------
금속 무릎 발목관절 발 보조기
보조기 무릎관절 피스톤 pistoning 작용
------------------------------------------------
유각기 → 보조기 무게 - 내려가고
입각기 → 착용(체중 가해짐) - 원래 위치로 올라감
단축 무릎관절 → 인체 축과 보조기 축의 불일치(pistoning 작용)
다축 무릎관절 → pistoning 작용 ×, 인체 무릎움직에 가까움
--------------------------------------------------
보조기 무릎관절(5)
--------------------------------------------------------------
drop ring lock 가장 많이 사용, 굽힘시 풀어서 사용
retention button → 보행시 링 아래로 내려 잠금(무릎관절 폄)
----------------------------------------------
spring loaded drop ring lock + 당김 손잡이 추가(잠김해제)
-pull rod 큰 충격, 마모 - 무심코 링 내려와 잠김 ← 대처
엉덩,허리굽힘구축, 체간 운동범위 제한 ← 대처
spring → 옷 끼임 발생-단점
----------------------------------------------
bail lock 손 근력↓, 몸통굽힘 잘 안되는 환자
(pawl lock) bail-위로 당김 → 스프링 오그라듦-올라감(풀림)
(cam lock ) 무릎 펴면 잠김(스프링 펴지며, 내려옴)
축이 없슴(?)
----------------------------------------------
offset 기계적무릎관절 축 → 업라이트보다 뒤에 둠(폄)
체중부하 동안 무릎 폄 되려는 경향
무릎관절 폄근 ↓ - 엉덩관절 폄근 강한 환자적용
----------------------------------------------
fan lock,
dial lock 무릎관절 구축 - 단계적 폄(조절형) → 교정03
----------------------------------------------------------
KAFO와 업라이트upright
---------------------------------------
- 넙다리까지 연장, 주로 알루미늄 재질
- 안쪽 → 샅에서 약 4cm 아래에 위치
- 가쪽 → 안쪽보다 약 4cm 위에 위치(큰돌기 아래)
- 피부와의 간격 약 4mm(3∼6mm)
- 안굽이, 밖굽이 무릎 → 더 많은 간격 필요
---------------------------------------
KAFO에서 교정 / 안정을 위한 부속품
------------------------------------------------------------
무릎캡 (무릎뼈패드) 넙다리네갈래근 약화 무릎관절 굽힘 ← 방지
4개의 스트랩 - 업라이트 고정 조절
---------------------------------------------
안굽이 / 밖굽이무릎 strap 안굽이 - 안쪽으로 당겨 안쪽 upright에 고정
밖굽이 - 가쪽으로 당겨 가쪽 upright에 고정
---------------------------------------------
안굽이 / 밖굽이무릎 pad 쿠션기능, 반대힘 제공
안굽이 - 가쪽 upright에 부착
밖굽이 - 안쪽 upright에 부착
------------------------------------------------------------
체중부하 무릎발목관절발보조기(weight bearing KAFO)
- 넙다리뼈 골절, 관절고정술, 레그칼베페르테스LeggCalvePerthes
- 다리 체중부하 × (궁둥뼈결절 부하)
----------------------------------------------------------
ischial ring (Thomas ring) 반원모양-스트랩과 버클로 고정,
넙다리를 뒤로 밀어줘 체중부하
---------------------------------------------
ischial band ischial ring 에 비해 지지면 넓어-더 편함
---------------------------------------------
장사방형소켓브림 brim 넙다리의지 장사방형 소켓 브림 적용
60% ↑ 체중경감, 보조기가 돌아가는 것 방지
---------------------------------------------
patten bottom 다리 체중부하 절대 ×, 일반적 한쪽에만 사용
신발 아래 5∼10cm 공간두고 업라이트 연결
건측 신발 높임,
rocker bottom 적용
---------------------------------------------------------
입각(디딤)제어 무릎 발목 발 보조기stance control KAFO, SCO
-------------------------------------------------------------------------------------------------
- 입각(디딤)동안 무릎관절 폄상태로 안정 · 유각(흔듦)기동안 굽힘허용 보조
- 넙다리네갈래근 부분 또는 완전마비, 무릎관절 불안정, 가벼운 안굽이 · 밖굽이 무릎
소아마비증후군, 다발경화증 편마비, 외상, 불완전 척수손상 적용
- 다양한 작동방법(케이블 · 중력 · 전기기계장치 · 수동)
- 케이블 방식 - 슈인서트부터 무릎잠금장치까지 케이블로 연결, 디딤기 끝에서
발이 발등굽힘되면서 케이블이 당겨짐에 다라 무릎관절장치가 풀리며 굽힘됨
-------------------------------------------------------------------------------------------------
입각(디딤) 및 유각(흔듦)제어 무릎 발목 발 보조기stance and swing control KAFO, SSCO
--------------------------------------------------------------------------------------------
- (무릎관절장치내 내장)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 방식
- 보행주기 내내 안정성과 기능성 제공
- 무릎관절굽힘각도, 각속도 측정(보행상태 감지)
→ (유압실린더 저항제어) 넙대리네갈래근, 넙다리뒤근 편심수축 대체
→ 적정 무릎관절 움직임 허용
- 불규칙지면, 경사로, 계단 보행속도 변화에 적응하며 보행가능
(자유로운) 의자 앉음, 섬 가능
---------------------------------------------------------------------------------------------
엉덩이무릎발목관절발보조기(HKAFO)와 볼기패드
---------------------------------------------------------
골반 밴드 04와 벨트 pelvic band, belt
엉덩이관절장치와 연결 - 골반안정, 현가
엉덩뼈능선 / 큰돌기 사이 위치(시상면)
외측끝은 큰돌기의 수직선상에 있다
골반밴드의 만곡 → 요추앞굽음 방지
-------------------------------------------
볼기패드 02 gluteal pad (Butterfly)
골반 지지하고 섯을 때 균형제공(골반 후면부착)
엉덩관절 굽힘경직 · 구축 → 볼기 앞으로 밀기(척추 앞굽음 방지)
→ 엉덩관절장치 잠금 편리
척추보조기와도 연결가능
--------------------------------------------------------
무릎관절 보조기(KO)
-------------------------------------------------------
conventional KO 업라이트, 무릎관절장치(주로 drop ring lock)
넙다리 · 장딴지밴드, 커프
무릎패드, 스트랩 더하여 교정력↑
곁인대, 십자인대 손상, 불안정 무릎관절 적용
------------------------------------------------
*Swedish knee cage03 무릎관절장치×, cuff 없음, 약간의 축 작용
젖힌무릎genu recurvatum, back knee교정
역삼점압 원리
------------------------------------------------
Lenox Hill KO (sports knee) 무릎인대손상 적용위해 개발
앞십자인대 손상 사용보조기
---------------------------------------------------------
*스웨덴무릎보조기 21 뇌졸중 환자의 무릎을 안정시키기 위해 적용하는 보조기
- 무릎관절 굽힘은 허용하고 과도한 젖힘은 방지
- 잠금장치가 없고, 비교적 무게가 가벼움
- 넓적다리의 먼쪽과 정강이의 몸쪽은 뒤쪽으로, 다리오금은 앞쪽으로 밀어줌
특수질환보조기
소아 엉덩관절 형성이상증/탈구 CDH(4종)
-----------------------------------------------------------
- 절구(acetabulum)에 넙다리뼈 머리 적정 위치 유지
- 선천성탈구, 불완전탈구, 엉덩관절 형성이상
- 착용후 정기적 X ray - 적정위치 유지여부 확인
- 발달성 엉덩관절 이형성증 소아의 보행은? 21 → 절뚝보행
-----------------------------------------------------------
Pavlik (파브릭) 동적, 엉덩관절 90~110˚ 굽힘 · 30˚ 벌림(이상적)
8개월 이하 소아 - 효과적, 가장많이 사용
--------------------------------------------
Ilfeld (아일휄드) 수동적, 엉덩관절 움직임 불허, 24시간 착용
길이 조절(cross bar)
--------------------------------------------
Von Rosen (본로젠) 아일휄드와 유사
--------------------------------------------
Frejka (프레이카) 주로 엉덩이관절 형성이상 적용,
업힌 자세, 거의 사용안함
---------------------------------------------------------
다리 비틀림 변형 torsional deformity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 휜발(clubfoot), 척수형성이상증 소아 - 발생
----------------------------------------------------------
Denis Browne 안쪽들린휜발(clubfoot) 교정, 가장 흔히사용
안쪽돌림, 가쪽돌림 조절(신발 각도조정)
안쪽굽음, 가쪽굽음 조절(spreader bar-길이 · 휨)
주로 야간착용
목발보행 가능(3점/swing to / swing through)
-----------------------------------------------
twister (torsion shaft) CP-가장 유용, 외관문제(옷 위 착용)
엉덩관절 안쪽돌림, 발목관절 안·가쪽번짐 동시교정
----------------------------------------------------------
LCP(legg calve perthes) 레그칼베페르테스 적용 보조기
- 소아 넙다리뼈 머리 연골증, 엉덩관절 45˚ 벌림 · 20˚ 안쪽 돌림
- 넙다리뼈 머리 적정 위치 유지, 보행 어려워
---------------------------------------------
Toronto 엉덩관절 45도 벌림 · 15도 안쪽돌림, 양쪽적용
넙다리뼈 앞경사 교정(femoralanteversia)
무릎관절 굽힘 가능, 앉았을때 엉덩관절 바깥돌림(외전)유지
---------------------------------------------
Newington Toronto와 비슷
무릎안정 셀 적용 ← 무릎관절 10˚ 굽힘자세 유지
---------------------------------------------
Scottish Rite LCP 가장 많이 사용, cawboy orthosis
착용상태에서 크러치 필요치 않음(활동 가능)
---------------------------------------------
Trilateral patten bottom 응용
---------------------------------------------
하반신마비에 사용되는 보조기
척수손상, 척추갈림증 → 자세유지, 독립적 이동가능
--------------------------------------------
standing frame 독립기립 - 다리관절 중립자세 유지
swing through 보행가능
--------------------------------------------
parapodium 몸통엉덩관절긴다리보조기
앉기 · 서기 교대로 취할 수 있음. 4점압원리
--------------------------------------------
Scott Craig L1 ↑ 척수손상
--------------------------------------------
RGO T10 이하 척추손상
--------------------------------------------
다리 보조기의 점검
- 다리정렬 → 선자세, 발 뒤축 중심간 간격 5∼15cm.
발목, 무릎, 엉덩관절 axis → midsagittal line에 대해 수직
- 구두 - frontal plane에서 지면과 수평
- 각 관절의 기준 → 서로 수평
---------------------------------------------
발목관절 장치 - 안쪽복사뼈 먼쪽 경계에서 가쪽복사 중심 연결선
- 정중선에 대해 수직
- 정강뼈비틀림(약20∼30˚ 가쪽돌림) · toe out(진행선 기준 약15˚) 측정, 착용후 점검
---------------------------------------------
무릎관절 장치 - 이마면 - 정강뼈 고원 tibial plateau 위로 약 1.8cm
- 시상면 - 무릎뼈를 제외한 무릎두께의 중앙부
- 안쪽 약0.6cm, 가쪽 약 0.3∼0.6cm 가격 유지
---------------------------------------------
엉덩관절 - 큰돌기 중심으로 위로 약 0.6cm,앞으로 약0.6cm 장치
---------------------------------------------
업라이트· 밴드 · 커프 - KAFO 업라이트 높이 샅아래 4cm, 안쪽의 4cm 위
무릎관절장치 축기준, 장딴지밴드 위가장자리
↔넙다리밴드 아래가장자리 간격일치(고른 힘 적용)
- AFO 밴드높이 → 종아리뼈머리 먼쪽경계선 2.5cm
밴드둘레 → 장딴지둘레1/2 + 4∼5cm 추가
---------------------------------------------
'의지 보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가들의 세계/포대기 (0) | 2019.04.08 |
---|---|
보조기 원리와 적용(제5장) / 팔 보조기(제6장) (0) | 2016.03.28 |
발 의지학 (0) | 2016.03.16 |
팔 의지학 (0) | 2016.03.14 |
의지, 보조기 정의 / 절단 / 절단단 관리 (0) | 2016.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