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경영과 행정

의사소통(거절)

자연치유캠프 2018. 2. 22. 18:55

거절(차이나는클라스-조직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김호-요약)





거절=삶의 기본





가장 거절하기 힘든 상황은?

-------------------------------------

 순위      부탁자                             조사결과(%)

-------------------------------------

 1         친구 가족                                32

 2         직장상사, 업무떠넘기기             29

 3         회식 술자리                             19

 4         맘에 안드는 소개팅 상대            13

 5         영업사원 끈질긴 부탁                  6

-------------------------------------

 - 거절 못하는 사람(부탁자 상처걱정)=거절당함도 힘들어해(상처)

 - 호의 계속되면 권리로 인식 (부탁자)

 - 언젠가 수고 알아줄거야! (피부탁자의 착각)




거절민감성(부탁받을때 느끼는 불편감) 체크

----------------------------------

 1. 부탁자에게 미움받을까 거절못함

 2. 거절하면 관계 단절될거라고 느낀다

 3. 주변사람들에게 거절 당할까 두렵다

 4. 거절당할 나를 상상하면 괴롭다

 5. 거절당하면 우울하고, 부정적이게 된다

 6. 다른사람에게 부탁을 잘 못한다

----------------------------------

 결과 2개 이상 - 예민








"거절하면 다른 사람들이 어찌 생각할까?"

----------------------------------------------

  편집증이 있는 사람에게;

      -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극히 소수이며

      - 거절하면 단지 약간만 미워할 뿐이며

      - 거의 대부분 사람들은 나에 대해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라   -아랭드보통-

----------------------------------------------

  - 사실 제 마음이 불편해요(진심전달-거절의 핵심)

  - 정확·솔직(예의있게) 표현





사람의 3 유형

---------------------------------------

 1. 기버giver          받은것보다 더 많이 주려는 사람

 2. 테이커taker       준것보다 더 많이 가져가려는 사람

 3. 매쳐matcher      받은만큼 주는 사람

---------------------------------------

  기버    : 가장 성공한사람 또는 망한사람(기버의 흔한 착각)

  테이커 : ×

  건강한 관계-상호 교환이 가능한 단계







거절하는 방법

-------------------------------------------

 거절할때는 나중에 하는것보다 처음에 하는 것이 훨씬 쉽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

  - 참다 참다 터트리면 많은 부작용 초래

     (왜저래, 이상해, 부탁자 차선 방법 선택·시간지연, 더 서운해함)

  - 처음에 NO 말할 용기 필요

  - 무조건 NO × (나만의 경계선 필요)







거절 잘하려면?-나를 잘 알아야함

-----------------------------------------

 - 내가 정말 원하는게 뭔가(들어줄 수 없다면-거절)

 - 협상도 좋은 방법

 - 거절에 익숙할 필요 있슴

 - 솔직하게 마음 표현 →거절의 출발

 - 거절 못하면 →힘들어짐(옳은선택×)

                     →주변에도 피해(상사, 동료, 부하, 가족)

-----------------------------------------

  - 저사람이 NO하는건 정말 할 수 없는 거야(평판)

  - 저사람은 항상 들어줘(호구)






"거절당할까봐 포기" 하면 삶의 기회↘

---------------------------------------

 - 안들어주면 어쩌지? (부탁전 마음고생×)

 - 10중 8∼9 거절

 - 거절은 기본 (도전필요 →거절당할까봐 불안 사라짐)

---------------------------------------








인간=권위 복종(심리적특성) 실험               -스탠리밀그럼-

-----------------------------------------------

 - 연구자 지시-일반인→실험인 전기충격↑ 15V∼450V

 - 정신과의사 설문결과 450V 까지는 아마도 1% ? ←이상한 사람

     →결과 일반인 65%-450V 까지 전압 올림(권위에 복종)

        지시 따랐을뿐(내책임×),  그때는 그것이 최선,  욕심↑

     →거절 35% (한사람, 두사람 거절→세사람째 거절확률 90%)

- 거절할 수 있는 힘이 우리를 더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결론)

-----------------------------------------------

 - 거절(NO, 생각이 다릅니다-마음속 진실) ←다수의견과는 다름

 - 무력감 학습 → 포기하고 사는 건 아닐까?

    인분교수사건(교수 명령-3명-조교1명 구타 고문사건)

 - "똑바로 사는 것 보더 솔직하게 사는게 중요하다" 심리학자 수잔캄벨

 - 모난돌이 정맞는다(집단주의Collectivism)↔개인주의Individualism






집단주의Collectivism ↔ 개인주의Individualism

---------------------------------------------

집단주의       집단 〉개인   이타적× (집단이기주의)

---------------------------------------------

개인주의       집단〈 개인  개인의 선택·가치 중요, 이기주의×

---------------------------------------------







문화권에 따른 개인주의 정도와 커뮤니티지수   -홉스테이터-

                                                                  네덜란드 문화경영학자

-------------------------------------------

                              한국         일본        독일       미국

-------------------------------------------

개인주의 정도           18*           46          67          91

커뮤니티지수(%)*      76            91          92          90

-------------------------------------------

 * 한국 대표적인 집단주의

 * 커뮤니티지수(%) 

    "필요할때 도움을 요청하고, 의지할수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38개국중 멕시코 다음으로 37위 (OECD 평균 88%)

    








민주주의

------------------------------------------

  - 정치적 이념으로서 민주주의


  - 라이프스타일로서 민주주의

     (거절의사, 다른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자유와 용기)

------------------------------------------

  갈등은 민주주의의 엔진   정치학자 샤츠슈나이더 절반의 인민주권 저자





학습된 무력감 Leared helplessness      -마틴 셀 그리먼-

-----------------------------------------

 - 나 한사람 불매운동한다고 뭐가 바뀌겠어?

 - 그게 우리 현실인데 어쩌겠어?

 - 내가 의견을 말해도 받아들여지지 않을거야

 - 지금까지 그렇게 살아왔는데···

-----------------------------------------

 가습기살균제사건 불매운동(거절의사의 표현) - 한국 성공사례×

  →안하면 호구로 생각(맞고 간다-안아프다, 이 또한 지나간다-먹는다)






보이지않는 폭력

--------------------------------

  - 특정후보 투표강요 (부모·상사)

  - 일하는 며느리 못쉬게 하는 시부모

  - 폭언 폭행 (교사·선배)

  - 무리한 요구 (상사·고객)

  - 휴가 왜 쓰는거야? (눈치주는 상사)

  - 돈과 권력에만 집착하는 기업인, 정치인

--------------------------------





거절하는 방법 3

----------------------------------------------

 1. 자기의 철학을 실현하기(관행×)

      - 3분진료 깨기(임재준 서울대병원 교수, 초진 15분도 적어)

 2. 도움필요한 사람을 도와주는 사람들을 도와주기

      - NGO, 정치인, 사회복지사, 단체-후원

 3. 분노 → 행동으로 옮기기

      - 우리나라 불매운동 성공기억×

----------------------------------------------






비폭력적인 두손 two hands of non-violence   -바바라 데밍-

---------------------------------------------

 닫는 손 - 거절의사 (손바닥 보이기)

 여는 손 - 열림과 기대의 표현 (손내밀기)

---------------------------------------------


'병원경영과 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쉽(이순신-무신불립)  (0) 2018.02.23
배수의진(원앙진)  (0) 2018.02.22
한국경제상황  (0) 2018.02.01
병원 마케팅  (0) 2018.01.10
병원 인사관리  (0) 201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