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발전 과정(장하성,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플라톤아카데미.내용요약)
--------------------------------------------------
1948 경제복구
--------------------------------------------------
1962부터 계획경제 경제개발5개년계획(박정희정부-경제기획원)
1921 경제개발계획(레닌)-공산국가→성공적
시장경제×, 모든 가격·분배(임금)-국가결정
--------------------------------------------------
1990초 경제성장+불평등 완화(공정분배-경제↑=임금↑)
한국·대만 유일
1995부터 시장경제 자율화·개방화
시장경제판단기준→공정성·정당성(소유·경쟁·분배)
1997 IMF이후 불평등심화(불공정분배)
공정분배→기여만큼, 열악 위치 사람-최대수혜
임금불평등 - OECD 1위 미국, 4위 한국
2007 국내총생산GDP 24.5%↑(부가가치↑·소득↑)
-14 임금인상 4.8↑
--------------------------------------------------
한국 소득불평등 원인
1. 대기업(종업원 300인↑)·중소기업 임금격차
------------------------------------
1980년대 중소기업 임금(대기업대비) 90%↑
1990년대 75∼80%
현재 50%
------------------------------------
2.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 비중(80%→20%의 절반 임금)
--------------------------------------
1980년대 중소기업 60% 대기업 40%
2015 중소기업 80% 대기업 20%
--------------------------------------
대기업(제조업)·중소기업·100대기업의 매출과 고용
---------------------------------------
기업구분 매출액(%) 순이익(%) 고용(%)
---------------------------------------
대기업 36 67 7.6
중소기업 32∼33 70∼80
---------------------------------------
100대기업 28.8 59.6 4.1
--------------------------------------
초대기업 편중
낙수효과
-대기업 부자 잘살아야 국민이 잘산다
-부유층 투자·소비증가가 저소득층 소득증가에 영향을 미쳐
국가적인 경기부양효과로 나타나는 현상
-어느나라도 현실화된 나라 없슴(허구)
3. 대기업·하청기업 임금격차(대기업 임금대비)
-------------------------------
1차 하청업체 60%
2차 하청업체 1/3
3차 하청업체 1/4
-------------------------------
4. 고용의 형태
----------------------------------------------
1990년대 초 비정규직비율(정부주장 1/3, 노동계 1/2)
불안정고용, 절반임금
저임금노동자비율(24.7%) 가장 높은국가-OECD국가대비, 2013
정규직 전환비율
1년근무 외국(30∼40%) 한국(10%)
3년근무 외국(60∼70%) 한국(20%)
고용기간 가장 짧은 나라 근로자 1/3 →매년 새직장 구해야됨
자영업자 비율↑(세계추세↓), 규모 영세
2000-2014 자영업자 이익 18%↓
창업성공율 1∼2%(젊은이 창업성공?)
-----------------------------------------------
5. 국가별 년간 근로자 노동시간
-----------------------------------------
한국 2012년 2,163 시간/년
일본 1974년 2,137 시간/년 38년전
프랑스 1965 2,156 47년전
미국 1950 1,963 62년전
스웨덴 1950 2,016 62년전
독일 1976 1,819 36년전
------------------------------------------
근로자 노동시간 - 세계 두번째 긺
노동생산성↓(투입대비 성과) ←시간↑, 성과↓ 현상초래
6. 한국자본주의 현실(불평등=성장누리는 20%, 소외된 80%)
성장 VS 분배(임금↓)
정규직 VS 비정규직
대기업 VS 중소기업
원청기업 VS 하청기업
7. 국민총 소득중 기업과 가계소득 비중(한국은행)
-------------------------------------
1990년도 기업소득 17% 가계소득 70.1%
1997년도 16.7% 69.3%
2005년도 21.3% 64.8%
2010년도 25.7% 60.4%
2014년도 25.1% 61.9%
-------------------------------------
과거 기업부채시대→가계부채시대(은행 가계대출 50%)
국민소득 ↓ → 기업소득 ↑
경제성장목적 → 국민이 잘 사는 것
부자기업 - 재투자 → 성장 → 분배 -국내투자 정체
- 해외투자↑(국내고용×, 세금창출×)
중산층 2/3 빈곤층 추락
8. 우리나라 부채
-----------------------------------------------
IMF 30대 재벌중 16개 부채 파산 세금보전-150조, 은행파산
신용카드사태(2003) 400만명-저소득층 세금보전
중산층가계부채 주택자금1,400조원 국민절대다수←정부해결 난망
------------------------------------------------
발전방향
1. 소득격차 해소
------------------------------------------------
-현재 재분배 불가능 사회
사회복지지출↑, 더욱 커지는 임금격차=소득불평등 완화효과×
-GDP대비 사회복지 지출 (OECD 최하위권) 2011 9.6%, 2014 10.4%
-경제성장율(3∼4%↑)에 못미치는 정부소득증가율(1%↑)
-기업간불평등-고용불평등-소득불평등(노동·기업·재벌개혁필요)
------------------------------------------------
2. 미국의 소득불평등(21세기 자본-토마스타케티)
-----------------------------------------------
1901-1930 소득불평등
1940-1980 소득불평등 좁혀짐
(아메리카 드림시대, 중산층의 나라, 대압축의 시대)
루스벨트(4선) 임금통제(개혁) → 최저임금↑, 고임금 동결
1990-2010 일방적인 소득불평등
2011.09 오큐파이운동
(빈부격차심화, 금융기관부도덕성→미국 월가 시위)
------------------------------------------------
3. 한국 경제구조
------------------------------------------------
-개천용×
-미국 잔인한 시장경제 → 100대부자 80% 당대부자
-100대부자 (Forbes 조선일보 2014)
미국 창업부자(당대부자) 78명 상속부자 22명
한국 16명 84명
-한국 창업부자 웅진 윤석금 팬택 박병엽 ←재벌위주 시장에서 실패
-소수 그룹들의 시장지배 한국 3위(OECD회원국 2014)
------------------------------------------------
4. 기업 투명성(감사와 회계관행 2014)
---------------------------------
순위 국가명 투명정도(약, %)
---------------------------------
1 핀랜드 90
2 노르웨이 89
3 덴마크 83
4 독일 82
최하위 한국 48
----------------------------------
삼성전자,현대차,포스코··· 1대 주주 국민연금↔사기업
불평등 원인
-기업(시작점), 정치권(제어, 바로잡기×), 학자(연구, 문제제기×)
-국민
60대↑ (방치, 산업화의 주역)
50대 ( 투쟁→민주화 쟁취)
30대 (3포-연애결혼출산-세대→n포세대)
20대 (위로와 힐링-자기개발, 포기의행복-단기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