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리더십의 종합결과 - 다섯가지 리더십역량CPCP
---------------------------------------------
1. 체크자 - 자신의 책임과 상호책임(1:1, 1:다수)을 체크한다
2. 영향력 - 리더십과 감동의 영향력을 준다
3. 존경(보호) - 다양성과 하나됨을 존중한다
4. 무→유 창조 - 변화(혁신)와 협동을 창조한다
(저항해소, 에너지↑)
5. 올려줌 - 비젼과 가치를 올려준다
(회사, 고객 ← 나를 만나 이익↑)
-----------------------------------------------
리더가 되기위한 3가지 덕목----------------------------------------------1. 자신의 스케쥴과 활동을 한눈에 파악하는 시스템 -달력을 자주본다 → 자신과 조직이 어찌 움직여야 할지 결정해야하므로2. 경계를 넘어 다양한 사람들과 연결하는 능력 - 학연 지연 혈연, 비슷한 아이디어 → 협업 마찰 적어 - 자신의 경계 넘어야 발전하는 리더 → 새로운 패턴, 아이디어 사회문화적, 생물학적, 성격적, 능력적3. 스스로 정한 규칙을 깨는 용기 - 과거 성공방법 → 게속 성공 보장× - 조직, 상황따라 전략, 규칙 유동적으로 바뀌어야
어찌하면 유능한 리더가 되나? - 대부분 일반사람들의 생각 → 재능, 리더십 프로그램이수 - 통솔력 타고난 사람도 일부 있으니 선천적×, 교육으로 길러짐× - 끊임없이 분석, 연결, 변화 두려움× ←누구나 리더 될수 있슴 -What it takes great leader-------------------------------------------------
1. 정공(왕)과 공자와의 대화
- 신하를 어떻게 부리고, 신하는 임금을 어떻게 섬겨야하는가?
君使臣臣事君如之何 군사신신사군여지하
- 신하는 예의로서(매너있게) 부리고 君使臣以禮군사신의례
① 모범(여러면에서)model
② 실적(열심히)output
③ 말(잘해야-말하기 공부해야)speech
임금을 충으로서(충심으로) 섬겨야 한다 臣事君以忠신사군이충
① 따름 followership
② 성과 performance
③ 협업 collaboration
2. 자하(읍성의 책임자로 가면서) 공자에게 물음-정치란 무엇인가?
- 서두르지 말고, 작은이익에 연연하지마라
無慾速 無見小利 무욕속 무견소리
너무 속도내면 이루기어렵고, 慾速卽不達 욕속즉부달
작은것에 연연하면 큰일을 이루기 어렵다
見小利卽大事不成 견소리대사불성
- 정치란? 논어 안연 顔淵
政者, 正也. 子帥以正, 孰敢不正? 정자, 정야. 자솔이정, 숙감부정?
정치란 바로잡는다는 뜻이니,
그대가 솔선해서 바르게 한다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게 하겠는가?
잘못된 이름과 개념을 바로잡고, 굽은 것을 곧게 펴고,
부패한 인사를 몰아내고 바른 사람을 등용하며,
지도자 스스로가 공명정대한 길을 간다면
누가 감히 부정한 짓을 할 수 있을까?.
3. 군자의 언행 (자공 물음 군자란?=리더란?)
- 자신의 말을 스스로 실행하고, 그 다음에 따르게 하는 것이다
선행기언이후종지 先行其言而後從之
- '나를 따르라' 보병학교
- 간디 설탕 너무먹는 아이 엄마 부탁 →설탕 먹지마라(아이 신뢰)
2주후 오라 →좋아하는 설탕 - 2주 끊어보고
설탕 해로우니 먹지마라
4. 리더의 말
- 기신정 불령이행 其身正不令而行
기신불정 수령불종 其身不正 雖비록수 令不從
자신이 바르면 명하지않아도 행해지고
자신이 바르지못하면 명하더라도 따르지않는다
- 명령은 우선 이치에 근거해야 복종의 의무가 생긴다
어린왕자-생땍쥐페리
-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은 저절로 맑다
5. 리더의 인성
- 인 仁 어질다는 것은 내가 서고싶으면 다른사람을 먼저세우고
己欲立而立人 기욕립이립인
성공하고싶으면 다른 이를 먼저 성공시켜라
기욕달이달인 己欲達而達人
· 좋은 일은 남을 앞세우고, 궂은 일은 자신을 앞세우는
인자(仁者)가 결국 많은 것을 성취한다?
- 다섯가지(공·관·신·민·혜)를 실행할 수 있다면
인자仁者라 할 수 있다. 논어양화편
① 공손하면 모욕받지 않고(업신여김×) 恭則不侮 공즉불모
② 관대하면 많은 사람이 따르고 寬則得衆 관즉득중
③ 신용이 있으면 남이 일을 맡겨주고(남들이 의지하고)
信則人任焉 신즉인임언
④ 부지런하면 능률이 오르고(모든 일 성취, 공을 세우고)
敏則有功 민즉유공
⑤ 은혜로우면 남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
惠則足以使人 혜즉족이사인
- 종신토록 실천할 만할 한마다 말?(논어 위령공편)
그것은 서恕(용서와 사랑)다(공자 핵심사상) 기여호 其恕乎
내가 하고 싶지않는 일은 다른이에게도 시키지마라
기소불욕물시어인 己所不欲勿施於人
· 욕먹는게 싫으면 남을 욕하지마라?
- 속과 겉이 같이 빛나야 한다
질승문즉야 문승질즉사質勝文即野文勝質即史 속이 꽉차나 겉이 허술하면 야하다
문질빈빈연후군자 文質彬彬然後君子
6. 배우는 자세 증자(공자의 제자 중 으뜸, 논어 학이)
- 자신에 대하여 매일 세가지 성찰을 한다 오일삼성오신 吾日三省吾身
① 사람들과 일을할때 충심으로 했는가?
위인모이불충호 爲人謀而不忠乎
② 친구(동료, 상사, 고객)와 사귐에 신의를 다했는가?
여붕우교이불신호 與朋友交而不信乎
③ 배운바를 제대로 익혔는가? 전불습호 傳不習乎
· 스승으로부터 전수받은 가르침을 내가 익히지 않는것이 아닌가
· 다른사람에게 가르쳐준것을 내가 집에와서
익히지(공부)않은것이 아닌가
7. 군자와 소인
- 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 군자 주이불비 논어위정편
군자는 두루 사랑하고 편당하지 않고
(자유·평화·정의·생명 ← 보편적 가치 추구)
소인은 편당하며(학연·지연·혈연 얽매여 파당적)
두루 사랑하지 않는다
-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 군자 유어의 논어이인편
군자는 의에서 깨우치고(양심에 어긋나지않음, 이타적)
소인은 이익(재물, 명예, 자신의욕구, 이기적)에서 깨우친다.
- 君子坦蕩蕩, 小人長戚戚 군자탄탕탕 술이
군자는 평탄하여 여유가 있고(마음 넓어 항상 평정심 유지)
소인은 늘 근심(욕심으로 안달, 걱정)한다.
-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군자 화이부동 논어자로
군자는 조화를 추구하고 획일적이지 않으며(서로다름인정, 조화)
소인은 획일적이고, 조화를 추구하지 않는다
(어울림×, 똑같기만 요구).
- 君子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 군자 태이불교 논어자로
군자는 태연하면서 교만하지 않고(부끄러움× → 늘 떳떳),
소인은 교만하되(내가 제일잘났다), 태연하지 못하다.
- 君子上達, 小人下達 군자상달 논어헌문
군자는 위로 통달하고, 소인은 아래로 통달한다.
위 - 공동체 문제 우선, 보편적 가치 실천
아래 - 개인이익 우선 → 이해관계 통달
-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군자구저기 논어위령공
군자는 자신에게서 찾고 (잘못 - 내탓, 영광 - 남의탓),
소인은 남에게서 찾는다 (잘못 - 남의탓, 영광 - 내탓).
- 反求諸己 반구제기 맹자
행하여도 얻지 못하거든, 자기 자신에게서 잘못을 구할 것이니,
자신의 몸이 바르면 천하가 돌아올 것이다
- 君子有三畏,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군자유삼외 논어계씨
小人不知天命而不畏也, 狎大人, 侮聖人之言.”
군자는 세가지 두려움이 있으니,
천명·대인·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소인은 천명을 알지 못하기에 두려워하지 않고,
대인을 함부로 대하며,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긴다.
- 君子學道則愛人, 小人學道則易使也 군자 학도즉애인 양화
군자가 도를 배우면 사람을 사랑하고,
소인이 도를 배우면 부리기가 쉽다.
8. 국가를 소유한 자는 고르지 못함 · 편안하지 못함을 근심해야 논어계씨편
- 有國有家者, 不患寡而患不均, 不患貧而患不安. 유국유가자, 불환과이환불균, 불환빈이환불안. 蓋均無貧, 和無寡, 安無傾. 개균무빈, 화무과, 안무경.
국가를 소유한 자는 적음을 근심하지 않고
고르지 못함을 근심하며(불평등 · 차별),
가난함을 근심하지 않고
편안하지 못함을 근심하는 법이다.
고르게 분배되면 가난함이 없고, 조화롭게 하면 적음이 없고,
편안하면 기울어짐이 없는 것이다.
9. 군자의 생각(자세) 아홉가지
君子有九思 군자유구사 논어계씨편
- 視思明 시사명
· (가능하면)밝고 바르게 보겠다 생각하고,
· 가리운게 없어야(한번을 봐도 분명하게), 선입견×, 왜곡×, 보는 관점의 차이
- 聽思聰 청사총 상대방의 입장에서 듣으라
· 참뜻을 듣겠다 생각하고, 막혀서 안들리는거 없어야
- 色思溫 색사온,
· 얼굴 부드럽게 온화하게(화난얼굴×)
- 貌思恭 모사공,
· 외모, 태도 단정
- 言思忠 언사충,
· 참되고 거짓없이(충성되고, 신의있게)
- 事思敬 사사경,
· 일을 공경하고, 조심하며(하는 일을 소중하게 생각 - 천직, 최선)
- 疑思問 의사문,
· 모름, 의심 → 물어서 완전히 안다(그냥 두기×, 불치하문)
- 忿思難 분사난,
· 화나는 일 있을때는 그 뒤에 일어날수 있는 어려움을 생각해서 억제
(화내면 더 큰일이 벌어진다)
- 見得思義 견득사의.
이득을 보면 그것이 바른 것인가를 생각한다
10. 군자로서 갖춰야할 세가지 조건(지명·지예·지언) 논어 마지막 글 제29편
- 不知命無以爲君子也 부지명무이위군자야(知命)
50세 지천명 知天命
· 자신능력으로 할수있는·없는 일, 모르는 것이 있슴을 안다.
· 하늘뜻 안다×
· 미지명자-천명있슴 알지못하고,
해로움을 보면 반드시 피하며, 이로움을 보면 반드시 쫓는다
·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 예 禮를 알지못하면 설수없다(知禮)
· 습득, 지녀야할 예절 不知禮無以立也 부지예무이립지
· 단체의 유지를 위해 요구되는 질서
- 말을 알지못하면 사람을 알지못한다(知言)
· 상대말을 듣고, 그말이 어떤 심경에서 나왔으며,
·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파악하는 일
不知言 無以知人也 부지언 무이지인야
11. 군주의 다스림 등급 네가지(노자)
---------------------------------------------------
1. 상등군주 말없는 가르침으로
백성이 자기 성정에 따라 편하게 살게한다
不知有之 - 뭘하는지도 모르지만 내 사는게 편하지
2. 차등군주 덕으로 백성을 감화시켜 인의로 백성을 다스린다
- 훌륭하지
3. 삼등군주 정치 + 가르침 → 백성을 다스림
형벌로 백성을 위협해서 - 엄하(무섭)지
4. 등외군주 권모술수로 백성을 우롱하며, 잔꾀로 백성을 속인다
- 백성을 화나게하지
-----------------------------------------------
한비자의 리더쉽 중요한 7가지
------------------------------------------------
1. 리더 - 용의 등에 올라탄다
· 권력핵심을 설득하지 못하면(심장부 장악 못하면)
근본적인 개혁을 이룰 수 없다
2. 리더 -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변명뒤에 숨지 않는다)
3. 리더 - 부하의 충성에 의존하지 않는다
· 충성요구 대신, 문제를 풀 재능있는 인재를 등용하고,
재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격려한다
4. 리더 - 자신과 싸워 이긴다
· 감정에 좌우되지않는다
· 원수와도 웃으며 악수할 수 있어야 한다
· 자기통제에 능해야 한다
5. 리더 - 세상의 모든 지혜를 빌린다
· 자신의 머리와 지혜만 믿어서는 안된다
· 자신의 좁은 한계를 벗어나
열린마음으로 자신을 확장할수 있어야 한다
6. 리더 - 암흑속에서도 길을 잃지 않는다
· 앞이 보이지않는 불확실한 상황속에서
길을 제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길을 개척하는 사람이 리더다
7. 리더 - 마지막까지 책임을 진다
· 리더가 되는 길은 점점 더 고독해지는 길이다
과정중에 동지도 얻고, 믿을 수 있는 부하와 추종자도 얻지만
리더의 책임은 본질적으로 고독한 것이다
· 3류 리더 - 자신의 능력을 이용하고,
2류 리더 - 타인의 능력을 이용하고,
1류 리더 - 타인의 지혜를 이용한다
-------------------------------------------------
도쿠가와이에야스(德川家康-불굴, 인내심의리더쉽-두견새 울때까지 기다린다, 일본통일)아들(나가마쓰?)에게 대장될 사람은 남보다 혹독한 훈련을 받아야하는 이유를 말할때--------------------------------------------------대장은 존경받는것 같지만, 사실 부하들은 계속 대장의 약점을 찾아내려한다.두려워하는 것 같지만 깔보고 있고, 친밀한 척 하지만 경원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또 사랑을 받는 것 같으면서도 미움을 받고있다.그러므로 부하를 녹봉으로 붙들려해도 안되고, 비위를 맞추려해서도 안된다.부하를 멀리하거나, 너무 가가이해서도 안된다.또 화를 내도 안되고, 방심해서도 안된다.부하가 반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다른말로하면 심복(心腹)은 사리를 초월한데서 생겨난다.감탄하고, 또 감탄하게 만들어야 한다.대장이 좋아서 견디지못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일상행동이 가신들과는 달라야한다.그렇지않으면 머지않아 유능한 가신들을 모두 빼앗기게 된다.가신들이 쌀밥을 먹는다면 너는 보리쌀이 많이섞인 보리밥을 먹어야 한다. 가신들이 아침에 일어난다면 너는 새벽에 일어나야 한다. 인내심도 절약도 가신들을 능가해야하고, 인정도 가신들보다 많이 베풀어야 비로소 가신들이 심복하고 너를 따르며 곁에서 떠나지않게 된다. 그러니 대장으로서의 수업은 엄격해야 하는 것이다.--------------------------------------------------
아브라함링컨Abraham lincoln의 리더쉽원리---------------------------------------------------1. 라이벌을 친구로 만들어라 · 슈어드(정적,대통령경선상대) →국무장관 임명(가장 친한 조언자 됨) · 에드워드베이츠(링컨-무능 비난) →법무장관 임명 2. 경청하고 스피치로 이끌어라 · 경청의 5요소 - 비우라(선입견×, 오해가능성) - 인정하라(이해하라, 상대보다 낮은곳에 있어야한다) - 끼어들지마라 (인디언토킹스틱-한사람씩 스틱들고이야기하고 스틱넘기기 -발언중 끼어들기×) - 감정을 살펴라 - 반응을 보여라(헤드 끄덕끄덕○, 데드마스크×)3. 팔로우에 관대하라 · 소년탈영병 - 사형선고 → 사면명령(다시 나가 싸울수 있게) · 전장방문-맥클렐런장군(문제있고, 대통령 피함) "전쟁승리한다면 맥클렐런의 말고삐라도 잡겠네"
· 율리시스그랜트장군-술문제 험담듣고
"먹는 위스키 상표 알아오게 → 사서 보내게"
4. 손해보고 양보해라
5. 인생의 슬픔과 고통을 극복하라
· 인생에서 27번의 실패와 좌절을 경험
부모 문맹, 가난한 농부
15세-집잃고 길거리로 쫓겨남
23세 사업실패
26세 약혼자 사망
30세 주의회의장직 선거 패배
35세 하원의원출마 낙선(낙선 6번이상)
48세 부통령후보지명전 낙선(100표차)
대통령 재임시절 윌리엄(둘째아들) 장티푸스 질병 사망
· 희망을 갖고 도전
박세일(1948-2017) 유고 내용 요약
훌륭한 지도자 4가지 능력과 덕목1. 愛民애민 修己수기 애민-나라,국민보다 자기를 더 사랑 → 지도자 돼선 안돼 수기-사욕(私慾) 소아심(小我心)×, 공심(公心) 천하심(天下心-천하와 내가 둘이 아니라고 보는 마음)○2. 비전과 방략(方略) -최소한의 세계흐름과 국정대강 파악 -안민경세의 꿈과 방략←치열한 준비, ←고민3. 求賢구현과 善聽선청 -구현 현인을 구함 세상경영→지도자 머리×, 천하 최고인재 머리○ →經世경세 -선청 인재와 국민이야기 잘 듣기4. 後史후사와 回向회향 -다음세대 고민, 준비(역사의식) 일의 관계, 준비할 일, 뒤이어 할일 -회향(자기가 닦은 덕을 남에게 돌림-민몸 빈마음)→국민과 역사
공동체가 풀어야할 4가지 기본과제
1. 부민 사람들 생업주기(明君 制民之産-맹자, 制民恒産-율곡)
→ 떳떳해짐
어려운사람-별도의 관심
-환과고독(홀아비, 과부, 고아, 자식없는 노인) 구휼
2. 興敎흥교
-최고의 지식·기술 →시회적 분업체제→생업
-道도 →인륜 가르치기(敎以人倫-맹자)
3. 기강
-법치주의·신상필벌·적재적소(무능무도자 윗자리→기강흐트러짐)
-公平無私공평무사
4. 自强자강
-주권(튼튼한국방+유능한 외교) 동아시아의 고슴도치
자강(의지와 노력), 동맹, 균세
지도자가 부민 흥교 기강 자강 이뤄내려면
1. 자기학습 -천하대략 통찰안목 기르고자 ← 각고의 노력 -참모제안의 당부(當否) 구별 안목 -공부× →지도자×2. 尊賢 존현 -천하는 천하의 머리로 다스림(리더의 머리로 다스림×) 集天下之智집천하지지 決天下之事결천하지사 율곡 -인재의 역할 대강을 아는 리더에게 상세하고 구체적인 것을 보충해주는 것 -스승같은 사람을 아래에 둬야 (아래에 가르쳐야 할 사람? - 조직어려워져)3. 인재찾는 방법 - 정치=사람을 얻는데 있다(爲政在於得人위정재어득인 공자) -사람을 바로알고 판단하는 능력(소인, 군자 판단) · 視시 행동보라 - 말과 행실 · 觀관 - 그렇게 행동하는 이유와 까닭을 살펴라 · 察찰 - 그사람이 편하게 느끼는게 무엇인지 살펴라 (그사람이 좋아하는 것) · 지지자(누가 그를 많이 지지하는지-선자, 불선자)4. 타인 이야기 잘 듣는 법(善聽) - 리더는 말 많으면 안된다 (아랫사람은 리더의 의욕을 읽어 자신을 꾸미는 기회로 활용) - 虛靜허정한 마음으로 듣기 - 건의를 믿어주되 동조금지 - 천하 지혜모으기 → 다양 · 상반 정보 접해야5. 권한위임(公治 協治 → 팀웍작동) - 권력은 나눌수록 커진다 - 믿음없는 인재 → 처음부터 함께하지 말아야
'병원경영과 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행정기법(데밍싸이클,스왓SWOT분석,메트리스분석,ABC분석-80:20) (0) | 2018.05.01 |
---|---|
인간관계와 말 - 붓다의 말씀(전현수 마음세라피) (0) | 2018.04.27 |
잘사는 방법(고전+현재) (0) | 2018.03.26 |
리더쉽(이순신-무신불립) (0) | 2018.02.23 |
배수의진(원앙진) (0) | 201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