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개발

인성 좋은 사람의 특징

자연치유캠프 2021. 8. 11. 23:38

인성 좋은 사람의 특징(4)                                           출처 - 셀프 컴퍼니(일부 옮긴이 수정)

 

    - 인생에서 가장 조심해야 · 무서워해야 할 것 → 사람

    - 사람 가릴 때(친구 · 결혼 · 취업) 가장 중요한 것 → 인성

    - 인성 ← 유전 50%, 양육환경 50%(부모 영향 가장 큼 - 가정, 5 -6세 까지)

    - 우리나라 교육(공부 + 성적)

            → 부모가 잃는 것 - 돈 ---, 

            → 자식이 잃는 것 - 인성( 말 잘 듣는 자식 → 공부 잘하고, 인성 나름 좋아)

                                    - 노동의 숭고함

                                    - 인간관계 어려움

                                    

    - 인성

           · 타인과 진정성 있는 관계 형성 능력

           · 나와 타인(수평적 측면, 존중감)이 함께 행복해질 줄 아는 능력

           · 좋은 사회성, 인간관계 관리능력, 자신의 행복과 안녕을 지킬 줄 아는 능력

           · 착하면서, 누군가에겐 어려운 사람 , 때론 강한 모습

           · 인성 좋은 것? → 마음까지 좋아야 된다는 아님(그 사람의 자유 영역) → 표현 조절의 문제 

 

 

   ① 자기에게 이익이 안 되는 사람을 대하는 태도(약자를 대하는 태도)

           · 상대가 보일 때, 보이지 않을 때 → 같은 사람○, 다른 사람 ×

              (항상 친절은 어렵고, 거절도 하고, 불만 말할 수도 있어)

           · 다른 사람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

                    사람 비하(험담), 

                    무례한 요청 - (어렵지만 한두 번 들어주면) 권리로 착각

                    이간질 · 편 가르기(패거리 만들기)

 

 

   ② 쓰레기 처리( = 남에게 피해 주지 않기)

           · 지나간 자리 깨끗 / 자기가 먹은 것 자기가 처리○

           · 자기는 깔끔 떨며, 다른 사람의 불쾌함은 안중에 없음 ← 이기적

 

 

   ③ 가장 가까운 사람을 대하는 태도

           · 집 밖(매너 있고 상냥) → 집안(폭군) - 집 밖 억눌림을 집안에서 표출 ×

             ↔ 아내, 남편, 아이에 친절 대하기 ○

           · 부모 대하는 모습( = 평상 모습) 지나친 이기적 모습(버르장머리)?

           · 가장 친한 친구 엿보기 → 인성 추측(유유상종)

 

 

   ④ 자기 이익에 조금이라도 침해가 올 때 돌변 태도

           · 화를 내는 것은 작은 일? (당연?) ×

           · 화냄 강도 → 상황에 비해 너무 지나침(과자 하나 덜 받았다고, 다른 사람 먼저 줬다고 사납게 항의)

           · 돈 빌려달라는 말에 한순간에 찬기운, 얼굴 바꿈

             → 위험한 일(보증 서기, 돈 꿔주기) 단호히 끊야한다는 생각 가능성 → 상대에게 상처

             (화내지 않고, 매너 있게 거절,  슬기롭게 풀려고 노력,  때로는 손해 감수받아줌 ○)

 

 

 

    - 권력을 줘보거나, 돈을 맡겨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 인성은 댓글 이력 조사해보면 정확하다.

 

 

    - 나르시시즘 narcissism(나르시시스트 - 자아도취 self-love 성격장애자)

          ·  자신 성격장애 부인 → 다른 사람 탓 경향.  미국인 0.5 - 5%.  남자 ↑

          ·  가까운 사람들과 많은 갈등 유발

          ·  과대 자존감(성공, 권력, 외모-아름다움 ---) → 다른 사람 낮춰봄

          ·  과도한 찬사 요구

          ·  특권의식(다른 사람 → 순응, 양보해야  ← 안 하면 격분)

          ·  대인관계 → 착취적(이용) - 도구로 생각

 

 

      - 소시오패스(4명/100명)                                  (김경일 교수, 옮긴이 일부 첨삭)

          · 사이코패스(나도 남들도 나쁜 놈),

            소시오패스(나는 나쁜 놈, 남들은 좋은 놈 ←전문가 외는 구분 어려워)

          · 누구나 나쁜일 → 스스로 합리화(못난 행동 - 일말의 양심가책 - 일반인) 

                              ← 자신의 못난 행동 모름(소시오패스 - 고민 × · 애착 × · 사랑 × · 자책 × · 정의 ×)

          · 필요할 때만 움직임 / 쓸모없는 사람과는 단절 → 사람이 곧 도구(다른 사람들의 도구로의 접근 차단)       

          · 똑똑한 집단 → 보통사람으로 위장(자신은 - 솔직한 사람.  착한 사람  ← 싫어함)

 

          · 습관적인 반응으로 알 수 있음(쉽진 않아)

               타인의 권리나 안전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 경제적 손실, 정치적 계산 우선)

               자신만 생각하는 것 - (대표적인 성향)

          · 일반인의 대처법 - 협상 × · 화해 × → 강력, 확실한 메시지 필요(단절 필요)

 

          · 도 넘는 면접관의 질문세례(압박면접) 

                응시자 → 포커페이스

                          → 공감능력 제로

                          → 자기 자신 잘 속이고, 능청스럽게 통과? ← 무서운 사람(감정 메마른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