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장 생식계통(종족보존)
남성생식기
------------------------------------------------------------------
- 고환 · 부고환 · 정관 · 정낭 · 전립샘 · 방울요도샘 · 음경
- 정로(정자운반로) · 음경 발기장치 · 부속샘
- 고환
콩팥부근에서 발생 → 고환내림 → 음낭
정자발생 정자발생세포 → 정조세포 → 정모세포(사춘기) → 정자세포(정자)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생성
- 부고환(정자 임시보관 + 분비물 = 정액 + 전립샘 · 망울요도샘 분비물)
- 정관(정자운반)
--------------------------------------------------------------
- 정류고환(고환 - 복강 · 샅굴 내 ← 정자형성 장애)
체온 -2℃↓- 정자형성 원활 ← 음낭안(체외) 이동수술
--------------------------------------------------------------
- 정낭 (정액생산 + 정자임시보관)
- 망울요도샘(점도높은 무색 점액성 분비물 - 귀두 마찰저항 감소)
- 음경(해면체 조직, 신축성 음경다리 + 몸통 음경꺼풀 + 귀두)
음경꺼풀샘 + 탈락상피 = 귀두지(smegma)
- 음낭
(고환 + 부고환 + 정관일부) 싸는 주머니
민무늬근 · 땀샘↑(수축이완 → 온도조절-정자생산 온도유지)
------------------------------------------------------------
전립샘
----------------------------------- ---------------------
- 정액냄새 주체 - 유백색 알카리성 액체 → 뇨도분비(정자 운동성↑)
- 요도윤활, 정자보호( ← 산성뇨), 정자 운동성↑
---------------------------------------------------------
전립샘 비대증
------------------------------------ -------------------------------- ----
- WHO 노인 삶 해치는 가장 큰 장애(배뇨장애)
- 30대 비대시작 → 50대 증상발현(50% 경험), 곧창자에 손가락넣어 앞벽 촉지
- 정상 크기 20g - 밤톨 ∼ 호두
점점 커지며 뇨도압박(밤톨 → 오렌지. 부피 6배↑) ← 방광 기능저하, 신부전증
- 야간빈뇨, 잔뇨감, 소변지연(세뇨), 중단뇨, 급박뇨
- 약 → 수술
- 발병원인 - 서구식생활, 노화(테스토스테론↓), 비만(내장비만)
- 규칙적 운동, 오래 앉아있기 ×, 과로 ×, 소변참기 ×
- 토마토(리코펜) → 동맥 노화진행↓ ?
- 검은콩 ?
----------------------------------------------------------------------------
전립샘 암
----------------------------------------------- -------
- 전립샘 특이항원(PSA) 4ng/ml ↓정상, ↑ 의심)
- 전립샘 전체 제거
- 로봇수술(정밀수술가능) → 밖 3cm움직임 - 안 1cm 움직임
→ 신경, 혈관, 조임근(뇨실금 방지) 보존(손상↓)
-------------------------------------------------------
생식기관 상동기관
--------------------------------------------------------------------------
남 녀
--------------------------------------------------------------------------
고환 정자 + 테스토스테론 생산 난소 난자 +
에스트로겐 (난자성숙 등) 생산,
프로게스테론(임신호르몬) 생산
정관 난관
음경 오줌 + 정액 배출관, 음핵
음경꺼풀(성인 귀두덮이 - 포경)
음낭 대음순
-------------------------------------------------------------------------
정자sperm
-------------------------------------------------------------
- 50 ∼ 60um 머리(DNA 보유) / 중간부분 / 꼬리
- 22개 상동염색체 + 1개 성염색체(X - 여 또는 Y - 남) = 23개 염색체
- 세포발생 정조세포(유사분열) → 성장(1, 2차 정모세포) → 정자
- 전립샘 분비물 + 정자(3억개) + 정액(3ml)
- 사정 총 정자수 4,000만개 이하(남성불임- 뜨거운 사우나, 약물, 납, 비소중독)
-------------------------------------------------------------
여성생식기관(난소, 자궁관, 자궁, 질)
수정
---------------------------------------------------------
난소(난자생산, 성숙, 배란(복강내), 난포호르몬 estrogen 분비
(28일 주기, 일생 - 400개 정도 배란)
→ 자궁관술(복강내 배란 난자의 수송 → 자궁관깔대기)
→ 자궁관(난자 운반, 수정 - 자궁관깔대기=자궁관팽대)
→ 자궁 이동(근육 연동운동, 섬모운동) - 수정난자 착상발육
→ 황체호르몬progesterone 분비( ← 임신지속, 배란억제)
---------------------------------------------------------
자궁, 질
----------------------------------------------
- 서양배 거꾸로 세운 모양(자궁안)
- 방광과 곧창자 사이 길이7, 폭4.5, 두께3cm
- 자궁바닥 + 몸통 + 자궁목 앞굽이 상태
- 질 길이 7cm 처녀막(질구멍 앞 반달모양 막)
질어귀샘( = 남 방울요도샘)
- 음핵 정맥얼기 - 발기장치, 소음순, 대음순
---------------------------------------------
난소주기ovarian cycle
---------------------------------------------------------------------------
- 난자발생 원시난포 → 1차난모세포(사춘기) → 소포난포 → 성숙난포 →
→ 배란(난포파열) → 난자 0.2mm
배란후 난포 적색체(혈액저류 → 혈액흡수) → 황체(황색색소 보유 세포증식) → 백색체
- 난소주기 난포성숙 → 성숙난포 → 배란 → 적색체 → 백색체
- 난자 배란후 남아있는 난포(흔적?) → 수축분화 - 지방질(황체)
① 수정 - 임신황체 6개월 활동후 흡수 → 백색체
황체호르몬progesterone 분비( ← 임신지속, 배란억제) → 체온 약간상승(배란기 판별)
② 미수정 - 월경황체 - 2주후 퇴화
- 백색체(분만후 - 백색의 반흔, 임신횟수 짐작)
--------------------------------------------------------------------------
월경menstruation
-------------------------------------------------
- 자궁속막(바닥층 / 해면층 / 치밀층)
- 28일 주기 해면층 / 치밀층 탈락
- 월경전기 비후, 충혈(수정란 착상 준비, 발육 준비)
- 월경기 출혈, 박리(수정 × → 불필요-박리, 소실)
- 바닥층 → 재생(해면층 / 치밀층)
- 초경 13 - 15세, 폐경 45 - 50세(갱년기)
-------------------------------------------------
불임시술
---------------------------------------------------
- 정관절제술(정관 자르고, 양쪽 끝 묶기) → 정자없는 정액 사출
- 자궁관 결찰(자궁관 자르고, 양쪽 끝 묶기)
---------------------------------------------------
유방암(아직 정확 원인 안밝혀짐)
-----------------------------------------------------------------------------
발생원인 1. 유전(전체 약 5%차지) BRCA유전자 이상 -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생
2. 나이 40대 가장 많음(서유럽 60 - 70대)
3. 출산력(미출산 - 발생가능성 1.4배)
4. 식생활습관 - 서구화
5. 호르몬제제 사용(장기간 피임제 사용)
6. 여성발생(남성의 100배↑, 25명중 1명 발생)
치밀유방 - 20∼30대 유선조직 치밀 1/2 유방암 판단어려워
- 검사 일반유방 → X-ray(40대 이상)
- 치밀유방 → X-ray ← 가림(흰색) → 초음파 검사 필요
자가검사 - 촉진(덩어리 만져짐) → 종양 이미 10mm↑
- 생리후 2 ∼ 3일 후 자가 검진
- 대칭여부( → 비대칭)
- 세손가락(2, 3, 4)으로 4등분하여 눌러보기(통증없는 혹)
-----------------------------------------------------------------------------
'해부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장 내분비계통 (0) | 2015.11.03 |
---|---|
제11장 비뇨계통 (0) | 2015.11.03 |
제9장 호흡계통 (0) | 2015.10.27 |
해부학 7장 감각계통 (0) | 2015.09.22 |
해부학 제7장 신경계통 (0) | 201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