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2)

제13장 내분비계통

자연치유캠프 2015. 11. 3. 16:41

제13장 내분비계통 endocrine system

 

  인체 성장 + (기관 · 조직) 기능유지

   → 조절 · 통합  - 내분비계통 + 신경계통(자율신경)



 

호르몬의 종류

 -----------------------------------------------

 외분비 호르몬(예, pheromone)

   -------------------------------

 내분비 호르몬 (샘 / 신경조직의 연장-신경 H) 

      내분비샘     - 뇌하수체,  솔방울샘,  갑상샘,  부갑상샘, 가슴샘  

      내분비조직 - 이자,  콩팥,  부신,  난소,  고환

      내분비세포 - 소화관 점막

 -----------------------------------------------

*갑상샘 소포, 난소표면, 침샘 등의 분비샘 표면에서 볼 수 있는 상피조직은?

 → 단층입방상피22  (입방형-사각면체 의 상피가 한층으로 배열한 표면상피)

 

 

내분비 호르몬 hormme, H의 정의와 특징

----------------------------------------------------

- 내분비샘 → (분비 - 혈액-운반 / 저농도) → 표적기관
- 적은 양 - 생리조절작용(량 ↓ - 결핍증,   량 ↑ - 과다증)

- 조절 중추 - 사이뇌 시상 하부.

- 반응속도 느리지만( ↔ 신경) 지속시간 길고, 작용 범위 넓음

- 신체변화(생장, 생식) · 항상성(혈당, 삼투압, 체온, 수분 균형) 유지

- 신체변화-신경 → 체내 상태 / 외부 환경정보 받아샘에 신호 → H 분비

----------------------------------------------------- 

 

 

 

 

 

내분비 H 종류(구분, 3)

 ------------------------------------------------------

1. 뇌에 의한 방출조절 / 그렇지 않은 것

2. 호르몬의 결합 부위(수용체)에 따라(3)

      - G-단백질 수용체

      - 티로신 활성효소와 연결된 수용체

      - 세포 내 수용체

3. 화학적 구분(펩티드 / 스테로이드 / 아민)

-------------------------------------

펩티드 / 단백질계 ← 여러 아미노산-대부분의 H

     소포체(거친면)-polypeptide → 골지체-protein → 분비

     수용성 / 수용체에 결합( → 반응)

    인슐린, 부갑상샘 H

-------------------------------------

*스테로이드 / 콜레스테롤계(소포체(매끈면)-지질합성→분비)

    부신피질-코르티솔

    생식샘-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

-------------------------------------

아민/한 개, 두 개 아미노산의 결합

         카테콜아민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 한분자의 티로신 구성

        --------------------------------

         갑상샘 H     - 티록신, 트리요드티로닌

                          - 두분자 티로신+요드 원자

        --------------------------------

         멜라노사이트자극호르몬(MSH)

                         - melatonin 트립토판 유래,

                           명암(낮/밤) 주기 조절

-------------------------------------

*스테로이드계H

     근력 향상

     부작용 → 조숙, 키 성장장애, 조기탈모 촉진,  콩팥, 간, 심장손상, 죽상동맥경화증 유발

                    남성 유방 → 여성처럼 커짐

                    여성 → 목소리 낮아지고, 체모 ↑ - 남성형 몸

              

 

 

 

 

 

호르몬의 분비 과정(3)

---------------------------------------------

1. 사이뇌(시상하부) → 내분비샘 → 내분비샘 → H → 반응기

      예, 티록신-갑상샘 자극

---------------------------------------------

2. 사이뇌(시상하부) → 내분비샘 → H → 반응기

      예, 성장호르몬. 옥시토신

---------------------------------------------

3. 사이뇌(시상하부) → 자율신경(교, 부교감) → 내분비샘 → H → 반응기

      예, 인슐린, 글루카곤, 아드레날린

---------------------------------------------

 

 

 

 

 

 

 

 

 


호르몬의 표적세포 target cell 작용

------------------------------------ -----

1. 효소작용의 속도조절 

2. 세포막을 통과하는 이온이나 분자의 수송 조절 

3. 유전자의 발현, 단백질 합성의 조절

-----------------------------------------

 

 

 

 

 

호르몬의 작용 기전(피드백=되먹임 원리)(2)

------------------------------------------------------

1. 음성피드백 원리 - 대부분 인용 ←   ↑ ↓ 조절

   - 결과 → 원인에 영향(항상성도 같음)

   - 시상하부(H농도 설정 · 조절.  예, 티록신)

       → TRH(방출명령H) → 뇌하수체전엽 - TSH(감상샘자극H) 방출

         → 갑상샘 - 티록신 생산 → 혈액 → 피드백 - 시상하부(농도 조정)

-------------------------------------------

2. 양성피드백 원리 - 일부 한정 ← 지속 증가

   - 최종 분비호르몬 → 지속적 증가(예, 옥시토신)

   - 시상하부 → TRH(방출명령H) → 뇌하수체 후엽 - 옥시토신 방출

      → 늘어난 자궁수축-진통 → 피드백 - 시상하부(농도 지속 증가) → 출산

----------------------------------------------------

 

 

 

 

 

 

 

 

호르몬의 상호작용(3)

-----------------------------------------------

- 협동 작용 synergism

   글루카곤 - 혈당량 ↑.  코르티솔, 에피네프린 혈당량 ↑

   H 효과는 두 H의 합 보다 크다

   신체 화학물질 clavulanic acid - 페니실린 효과 ↑

----------------------------------------------

- 허용 작용 permissiveness

   한 H 작용 완전 발휘 위해 또 다른 H 필요하다

   갑상샘 H + 생식 H → 생식계 정상발달

   별도 작용 → 갑상샘 - 생식계 발달 ×,  생식계 - 발달 ↓

---------------------------------------------

- 길항(대항)작용 antagonism

   서로에 대해 반대 작용 / 감소 작용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길항제(tamoxifen)

---------------------------------------------------

 

 

 

 

 

 

 

호르몬 주요 생산 부위 

------------------------------------------- ---------------------------------------------   

- 뇌하수체 pituitary gland 앞엽(샘) 5종 (나비뼈 안장 속, 직경 1cm 0.5g 타원형, 가장 복잡)

      ① 성장 H(GH)

                      · 성장, 단백질 합성(동화작용), 지질 동원

                      · 인슐린유사성장인자 insulin -like growth factor IGF 분비 촉진

                      · 성장호르몬 투여 → 뼈아교질 ↑ 뼈대근육 튼튼

      ② 갑상샘자극H  타이로트로핀(TSH)

                      · 성장촉진, 갑상샘 H 분비(신진대사 조절)

                      · 과도 분비 → 갑상샘기능항진증(다음, 다식, 땀 ↑, 몸 마르고, 손떨림)

      ③ 부신겉질자극H(ACTH)

                   · 성장촉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H 분비 촉진

                   · 외부환경 스트레스 → 다량분비

      ④ 생식샘자극H(TRH) (남 15세 전후, 여 12세 전후 분비)

                      · 난포자극H(FSH) → 여 - 난포 발육 촉진 + 에스트로겐 분비 → 난자 성숙

                                                   남 - 정자 형성 촉진

                      · 황체형성H(LH)  →  여 - 배란 유도 + 황체형성 +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분비

                                                   남 - 테스토스테론 분비

      ⑤ 프로락틴 prolactin(PRL) → (임신 말기, 수유기) 젖 분비 촉진

     -------------------------------------------------------------------------------      

  - 뇌하수체 중간엽  

                      ·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SH) 분비→ 표피의 멜라닌 합성 촉진

-----------------------------------------------------------------------------------  

  - 뇌하수체 뒤엽(신경 H)

      ① 바소프레신 vasopressin(항이뇨호르몬) (ADH)

                      · (콩팥, 집합관) 수분 재흡수 · 소변 농축 촉진 → 혈압상승

                      · (수분 재흡수 감소) 요붕증 → 묽은 소변, 갈증) 

      ② 옥시토신 oxytocin

                      · 분만(자궁 민무늬근육 수축),

                      · (젖샘 근육 상피세포 수축) 젖 배출

---------------------------------------------------------------------------------

 - 솔방울샘pineal gland

                    · 세로토닌 serotonin에서 멜라토닌 melatonin 합성 방출

                    ·  성적 발육 억제

                    · 하루주기리듬, 계절주기성 리듬 조절

                    · 약한 수면 작용

---------------------------------------------------------------------------------

- 갑상샘 thyroid gland → 갑상샘 H

                    · 분비 조절 → 뇌하수체 앞엽호르몬

                   · 티록신 · 삼요드티로닌 - 신진대사 ↑, 성장발육 촉진                

                   · 칼시토닌 Calcitonin - 혈중 Ca농도 ↓(뼈에 축적)

                   · ↔ 부갑상샘호르몬(PTH)과 반대 작용 

 

- 부갑상샘 parathyroid gland 

                  · 분비 조절 → Ca+ 농도

                  · 혈중 → 파라토르몬 - 뼈, 콩팥 → 혈중 Ca 농도 ↑                

                  · 칼시토닌 길항 - 뼈 아교질                

                  · ↔ 혈액 · 혈중 Ca 농도 ↑ (신장 → 칼슘, 인산 재흡수 촉진) 

------------------------------------------------------------------------------

- 콩팥 Calcitriol → Ca 흡수 촉진

 

- 부신 adrenal gland(부신겉질H) 아드레노코르티코트로핀(ACTH)

                · 알도스테론 aldosterone

                      - 콩팥세관에서 Na+ · K+ 교환촉진 - 전해질의 균형

                      - 혈중  Na+ · K+ 양의 조절                 

                · 코르티솔 cortisol(=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 스트레스 과다 시 분비(스트레스 호르몬?)

                         → 간에서 지방· 단백질로 포도당생산 → 혈당 상승

                             (혈중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 량↑

                                   → 스트레스에 저항 에너지 제공, 감염 면역반응 억제(염증촉진) 

                      - 과잉분비 → 부신성당뇨병                  

                · 성호르몬

                      - 안드로겐 androgen - 남성호르몬 → 여성분비과잉 - 남성화(수염, 목소리) 분비

                      - 소량의 에스트로겐 estrogen,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 황체호르몬 분비   

 

- 부신(부신속질H - 아민류)

               ·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adrenalin) ·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 noradrenalin)

                      - 교감신경 흥분작용, 혈압 · 혈당 상승작용,

                      - 혈관수축(지혈작용), 털세움근 수축(닭살)                  

               

- 이자 pancreas(랑게르한스샘 islet of langerhans)

              · 인슐린(B세포) insulin  → 혈당저하 

                      - 세포의 포도당 유입 촉진(소비),

                      - 지질, 글리코겐 생성 저장 촉진

                      - B세포 기능저하(혈중 인슐린부족, 세포의 포도당 이용 곤란 → 당뇨병)

              · 글루카곤(A세포) glucagon  → 혈당 상승   

                      - 지방 비축분(동원), 글리코겐(분해) → 간의 포도당 합성 촉진

              · 소마토스타틴(D세포) somatostatin → 인슐린, 글루카곤 분비 억제

------------------------------------------------------------------------------

내분비샘과 분비되는 호르몬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 뇌하수체 앞엽 - 성장호르몬 23

 

 

 

 

 


세로토닌 serotonin과 dopamine/norepinephrine → 정교한 경쟁, 균형 조절 필요

-------------------------------------------------------------

- dopamine          · 쾌락의 정열적 움직임,  긍정 마음,  성 · 식욕 관장                  

                               · 습관성, 중독성의 문제 야기

-------------------------------------------------

- norepinephrine   · 불안,  부정 마음,  스트레스 반응 관장

------------------------------------------------

- serotonin          · 신경전달물질(아민), 혈관 수축(출혈 축소) 역할.                

                              · 독액 성분(말벌, 버섯. 트립토판 유래)                

                              · 도파민(지나친 흥분) / 노르에피네프린(불안, 우울) 억제  → 평온 유지                

                              · 부족 - 사회적, 성격, 강박, 공황장애*

-----------------------------------------------------------

 

 



세로토닌 부족 장애

------------------------------------------------------------------

1. 반사회적 성격장애   - 15세 이전에는 품행장애 → 18세 이후 나타남    

                                          - 사회규범 적응 ×         

                                                  만성,  반복,  충동적,  비이성적 권리침해,  거짓말,

                                                  공격성,  무책임(양심 결여)

2. 경계선성격장애       - 정서, 대인관계 불안정(변동 심함),      

                                          심한 충동성(낭비 · 도박 · 성관계)

3. 공황장애                   - 갑자기, 비정기적 발작      

                                           심장박동 ↑,  질식 기분,  현기증,  통증(가슴 · 배)

4. 우울장애                   - 슬픈 기분,  무력감,  고립감(즐거움 · 흥미 상실)

-------------------------------------------------------------------

 

 

 



세로토닌 분비 촉진 방법

---------------------------------------------- 

- 복근 리듬운동(단전호흡 · 기공 · 요가 · 소리 내기) 

- 걷기, 수영, 큰북 두드리기 

- 햇빛 쬐기(2시간 이상) 

- 유제품 · 바나나 · 콩 섭취 → 세로토닌 합성 필수아미노산(트립토판) 함유 

- 세로토닌 ↑ -  비만

----------------------------------------------

 

 

 

 

 

세로토닌으로 만든 치료제

------------------------------------------------------------------------

 - 조루증 치료제(다폭세린) → 사정중추에 세로토닌 농도 ↑ (사정지연)

 - 우울증 치료제(프로작, 졸로푸트, 레메론 등) → 세로토닌 활성화

 - 비만치료제(시부트라민) → 세로토닌 분비 ↑

 - 금연치료제(웰부트린)     → 노르에피네프린 증가로 간접적으로 세로토닌 증가(식욕, 흡연충동 억제)

 -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제(젤막로트로넥스) → 장내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장운동 개선)

------------------------------------------------------------------------

 

 

 

 

 

 

1. 성장호르몬(growth H, GH)

-----------------------------------

   - 간 ← H 생산 자극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IGF, somatotropin)

   - 뼈, 근육 성장 · 발육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 촉진

   - 분비 ↑ - 거인증 / 말단 비대증(코, 귀, 턱)

   - 분비 ↓ - 난쟁이증

 ------------------------------------

2. 자극 호르몬

    유선 자극 H(프로락틴, PRL) → 젖 생산

   -----------------------------------

   갑상샘자극H(티록신,TSH)

      - 티록신 - 세포호흡 → 에너지 생산, 물질대사 촉진

      - 요드-H 구조 중심 무기물 (해초류 - 다시마, 미역)

   -----------------------------------

부신겉질자극H(ACTH)

      - 알도스테론(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코티졸(당질 코르티코이드)

   ----------------------------------

   난포자극H(FSH)

               난소, 난포 성장

------------------------------------

   (고환 - 정자 발생-테스토스테론) 촉진

 -----------------------------------

   황색체형성H(LH)

               estrogen,  testosterone 분비촉진    

-----------------------------------

 

 

 

 

 

 

 

뇌하수체 중간부 호르몬

----------------------------------------------------------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SH) 분비 →  표피의 멜라닌 합성 촉진

---------------------------------------------------------

 

 

 

 

 

 

뇌하수체 뒤엽 호르몬

---------------------------------------

시상하부(항상성 기능 조절) 세포체에서 합성. 

신경조직의 연장 부위 → 혈액에 방출(신경 분비)

신경호르몬(2종,  vasopressin,  oxytosin)

----------------------------------------

 



 

뇌하수체 뒤엽H 바소프레신 vasopressin(ADH)

----------------------------------------------

 항이뇨 H.  분비 자극 - 취침 중

 세동맥 민무늬근 수축 - 혈압 ↑

 콩팥(집합관) - 수분 재흡수(소변량 ↓) 촉진(신체 수분 균형 조절)

 수분 흡수율 ↑ - 소변 배설 억제 → 혈액량 ↑ - 혈압 ↑

 분비 ↓ - 요붕증(묽은 소변 대량 배출)

------------------------------------------------

술과 ADH  에틸알코올 → ADH 분비 억제 - 탈수 ( → 체액 보충 필요 = 수분 평형유지)

 

 

 

 

뇌하수체 뒤엽H 옥시토신oxytosin(=피투이트린pituitrin)

---------------------------------------------------

 분만-자궁(민무늬근) 선택적 수축(통증-진통) → 출산 분비 자극

 수유기-모유 방출 조절(젖샘 상피세포 수축 → 젖 배출 = 젖 배출 반사)

---------------------------------------------------

 

 

 

 

 

 

솔방울 샘 pineal gland

------------------------------------------------        

 - 멜라(검은)토닌(희게 만들다)melatonin 분비, 솔방울 모양

 - 성적 발육 억제 · 생식기관 활동 억제 역할 → 샘 발육부진(성 조숙)

 - 신경 내분비 기능 - 하루 주기 리듬 조절 관여

     광자극 ↓(망막 정보) - 분비량 ↑ - 활동 둔화, 졸음

     6∼7세 이후 퇴화

------------------------------------------------

멜라(검은)토닌(희게 만들다)melatonin

      수면  +  암 생성(매일 3,000 ∽ 1만개 암세포 발생)방지

           (면역체계 → 암세포 제거,   수면 → 면역체계 관리)

     수면시간(미국권장)  - 성인 7 ∽ 9시간,  노인 9시간)

     수면부족      - 암(36% ↑) · 치매 · 뇌출혈 · 비만 가능성 ↑

                            - 멜라토닌 분비 ↓

    동 · 식물 분비 → 낯 빛,   저녁 ∽ 새벽까지 분비,

                                   60대 → 거의 소멸

    수면  - 대청소 시간(독소제거, 회복, 수선)

               - 멜라토닌 1분자 → 활성산소 10개 제거

                 (활성산소 - 정상세포 짝뺏기 → 정상세포 - 돌연변이)

                 (항산화제 vit C, E)

   멜라토닌 종류

             - 합성 → 처방전 필요함

             - 식물성 → 권장

 

 

 

 

 

갑상샘 thyroid gland

 

  뇌하수체 압엽분비 갑상샘 자극 H(TSH)과 시상하부분비 갑상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모몬(TRH)에

  의해 분비 조절.  방패모양

  질병 - 여자 발병률 4∼5 배 ↑(가족력)

-----------------------------------------------------------------------

  thyroxine 분비(H 제조 → 요드 필요)

     - 신진대사 ↑(체온조절, 심장박동 조절, 에너지 대사)

         간, 근육(반응기) 세포호흡 촉진 → 열에너지 ↑

     - 뼈, 생식샘 발육, 성숙 ↑

     - 갑상샘 특징(TSH 분비량 ↑ ↓  =  크기 변화 ↑ ↓)

         과다(항진) - 크기 ↑ -  너무 크면 갑상샘 비대증

 

     - 기능 항진 갑상샘 중독증 thyrotoxicosis =그레이브스병=basedow's disease

          갑상선 자극 항체 존재(특징) - 과다분비(면역계 질환)

          기초대사랑 증가,  심박동 수 ↑,  체중 ↓,  이상 발한,  안구돌출(가장현저 증상)

     - 기능저하(과소 - 크기 ↓)

         심박동 수 ↓, 체중 ↑, 추위 많이 탐. 정신 육체활동 현저 둔화

         유아기 - 크레틴병(소인증,  지능발달지연)

  -------------------------------------------

  칼시토닌 calcitonin - 혈중 칼슘 농도 저하 시킴(작용 미약)

             뼈 파괴 세포 활동 저하 (뼈의 Ca 유리 억제,  Ca 침착)

             임신(Ca 수요 증가) → 칼시토닌 분비 ↑ (어미 뼈 보호)

----------------------------------------------------------------

 

 

 

 

 

 


갑상샘 결절

-------------------------- ----------------- -

- 4cm ↑ 수술(5% →갑상선암)  - 목 혹 - 딱딱함 ← 촉진 가능

- 초음파 검사

- 반 절제(초기), 모두 절제 추세

--------------------------------------------

 

 

 

 

 

부갑상샘 parathyroid gland

------------------------------------------------------------------

부갑상샘 H(PTH)

   갑상샘 뒷면 4개의 점 모양(쌀알 크기)

   칼슘(뼈 ↔ 혈액 간 농도 조절) 대사 → 혈중농도 ↑ 역할 (혈중 9∼11mg/dl, 일정 농도 유지)

   분비 ↑ → 뼈 파괴 세포 자극(뼈속 Ca 빼서)하여 혈중 Ca 량 증가(뼈의 칼슘 이탈),

             → (먼쪽곱슬세관) 소변 Ca+ 배출 억제(재흡수 촉진)

   칼시트리올 생성 분비(콩팥) 자극

   인(뼈, 치아 발육 영향) 대사 조절

    vit D → (간 · 콩팥 대사) 활성화 → 창자의 칼슘흡수 촉진 → 혈중 칼슘농도 ↑ 역할

------------------------------------------------------------------

 

 

 

 

 

 

부신 adrenal gland=suprarenal gland(콩팥위샘)

-------------------------------------

부신겉질(스테로이드H분비 - 대사, 면역반응 조절)   

     aldosterone(광물부신겉질H) - 전해질, 수분대사

          콩팥 먼쪽곱슬세관, 집합관

          Na+ / K+ 교환 촉진(Na+ 재흡수 촉진)

          혈중 Na+ / K+ 양 조절

          분비과잉 → 콘증후군conn's syndrome(고혈압)

               혈액 Na+ ↑ ( = 수분 증가) → 혈액량 ↑ → 혈압 ↑ 

      ---------------------------------

     cortisol(글루코코르티코이드)    - 당질대사 영향

           간 - 지방 분해 → 포도당 생성 촉진(혈당 ↑)

           단백질 합성 억제, 항체 생산 억제, 염증 억제

           분비과잉 → 부신성 당뇨병

           과다분비 -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

      ---------------------------------

     androgen-남성 H  

           생식기, 겨드랑이 털 성장

           분비과잉(여성) - 수염, 목소리 굵음(남성화)

-------------------------------------

부신속질

      스트레스 대항 - 심장박동, 박출량 ↑, 혈압조절 - 아민류)

      운동 시 분비 

      티로신 Tyrosine → 레보도파 → 도파민

                   → 노르에피네프린 → 에피네프린 

     epinephrine( = adrenalin)

         교감신경 흥분 → 모세혈관 수축(혈압 ↑)

         염산에피레나민®

            교감신경흥분제,  혈당 ↑,  심장 박출력 ↑ - 구급의료 

       ---------------------------------

     noreepinephrine(=noreadrenalin)

          에피네프린과 비슷 역할 ( → 긴장,  순발력 ↑)

          B1,  2,  6 필요(보조 효소)

----------------------------------------------------------

 

 

 

 

 

 

쿠싱증후군

--------------------------------------------------------------------  

 - 부신겉질 당질 코르디코이드 과다분비병

 - 피질에 종양,  피질 과다 증식

 - 여자(10∼20대)

 - 고혈압, 만월상 얼굴(달덩이 얼굴), 다모증, 물소형 체격(목, 상체 이상지방 침착)

    뼈엉성증 초래,  호산구 수치 현저 ↓,  당뇨병성 혈당 곡선

    뇨중 스테로이드 H 대사산물 검출

 - 치료-종양 제거,  X선 조사

------------------------------------------------------------------

 

 

 

 

 

 

 

이자 pancreas - langgerhans 샘

 -------------------------------------------------------------

 - glucagon       α 세포,  혈당↑(간의 글리코겐 분해 촉진)             

 ---------------------------------------------------------

 - insulin           β 세포(대부분),   혈당  ↓(포도당 세포 유입 촉진), 

                           (간) 글리코겐 생성, 저장 촉진.  포도당 이화작용 촉진

                          식사(과다 혈당 ↑)  → 분비 ↑  → 혈당 ↓(정상)  → 분비 멈춤

                          인슐린 부족 → 단백질 형성 정지 · 포도당 생산에 이용 

 ---------------------------------------------------------

 - somatostatin  δ(델타) 세포,  glucagon,  insulin 분비 억제

--------------------------------------------------------------

 

 

 

 

 

소아당뇨(제1형) ↔ 성인형(제2형  - 생활습관,  비만 β세포 감소, 기능 저하)

-----------------------------------------------

- 자가면역 반응 (β세포 파괴)

- insulin 외부 주입(주사)

-----------------------------------------------

 

 

 

 

 

 

 

콩팥 kidney

--------------------------------------------------------------------------

  칼시트리올 calcitriol( → 부갑상샘 호르몬 자극)

           활성화된 비타민D3

           장관 - 칼슘, 인 흡수 촉진(뼈 Ca+ 축적)

      -------------------------------------------------

  적혈구 생성인자 erythropoietin

           콩팥세포 - 산소부족 → (골수) 적혈구 생성 촉진 

      ------------------------------------------------

  레닌 renin

           혈압 저하 → 분비(토리곁세포) - 엔지오텐신계통 - 자극

                              → 혈압상승 유도(알도스테론 분비, ADH분비, 갈증 자극)

----------------------------------------------------------------------

 

 

 

 

세로토닌(Serotonin) - 뇌에서 신경전달물질로 기능한 화학물질 중 하나

----------------------------------------------------------

기억, 판단   아세틸콜린    포도당(뇌 에너지원)

------------------------------------------

행복감 ↑     세로토닌       격앙 감정 ↓,  햇빛 - 분비 촉진,  숙면,   Fe필요

------------------------------------------

의욕 ↑        엔도르핀      운동, 웃을 때,  생리적 마약(통증↓)

                                          도파민전구물질(상승효과)

------------------------------------------

즐거움        도파민         쾌감,  즐거움 ↑ (게임, 놀음)

                                          길항 물질 분비 × → 몰입

---------------------------------------------------------

 

 

 

 

체중 관련 호르몬

---------------------------------------------------------

  1. 랩틴(식욕억제 - 지방조직에서 분비 포만감)과 그렐린(식욕촉진 - 공복시 위장 분비)

       렙틴 불균형 → 배고픔 둔감(식욕조절 ×) → 폭식

  2. 세로토닌  기분 ↓ → 탄수화물 섭취 요구도 ↑

  3. 아디포넥틴(지방분해 역할)  내장지방 ↑ → 분비 저하 

--------------------------------------------------------                

 

 

'해부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장 생식계통  (0) 2015.11.03
제11장 비뇨계통  (0) 2015.11.03
제9장 호흡계통  (0) 2015.10.27
해부학 7장 감각계통  (0) 2015.09.22
해부학 제7장 신경계통  (0) 2015.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