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로 보는 승리하는 조직
----------------------------------------------
1. 상하동욕(상하동욕) 승
위·아래가 같은 꿈 꾼다면-승리 한다
- 상산 솔연(불사의뱀)
- 오월동주(吳越同舟)
원수가 바로 옆에 있으니(와신상담) 당장이라도 나가 싸우고 싶겠지만, 위험에 처한 자신이
강을 건너야 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수와도 협력할 줄 알아야 함
2. 천시 〈 지리〈 인화단결
운(천행)〈 돈 · 인적자원 · 물적자원〈 인화단결
----------------------------------------------
운 → 맹자 천시 - 하늘의 때
- 순풍↔역풍↔무풍 . 지속성×
- 바람○ - 배 나아감
- 바람× , 엔진 성능 ↑ - 배 나아감
- 엔진성능× - 배 못감(사람 - 딴마음 · 갈등 · 반목)
가장 힘든것 → 사람의 마음 얻기
- 인재제일-삼성 이병철회장
- 가화만사성 / 수신제가치국평천하 → 쉽지않아
- 파부침주(솥깨고, 타고온배 침몰, 항우(초)↔진)
- 배수진(손자병법-지형편)
한(漢)장수 한신(韓信) - 조(趙)나라와의 정형구(井陘口) 전투에서 배수진(背水陣)으로 승리.
"군사들은 사지에 투입되어야 죽을 힘을 다해 싸운다."
배수진 이외에도 여러가지 병법 조합되어 승리함
신립장군 배수진 실패(임진왜란 충주 탄금대, 전의상실, 오합지졸, *조총)
제 3 편 모공의 원리( 謀攻의 原理)
1. 知勝有五(지승유오)
故 知勝有五:
고 지승유오
그러므로
승리(勝利)를 알 수 있는 다섯 가지가 있는 것이다.
知可以與戰 不可以與戰者 勝;
지가이여전 불가이여전자 승,
싸움에 참여하는 것이
적합한가, 적합하지 않은가를
아는 것은 승리(勝利)하는 것이다.
識衆寡之用者 勝;
식중과지용자 승,
많고 적음에 따른
모공(謀攻)의 활용법을
아는 것은 승리(勝利)하는 것이다.
上下同欲者 勝;
상하동욕자 승,
상하(上下)가 의욕(意欲)을
동일하게 모으는 것은
승리(勝利)하는 것이다.
以虞待不虞者 勝;
이우대불우자 승
우려(虞慮)스러운 것을 생각함으로써
우려(虞慮)하지 않게 대비(對備)하는 것은
승리(勝利)하는 것이다.
將能而君不御者 勝.
장능이군불어자 승
장수(將帥)가 능력(能力)을 보이되,
군주(君主)가 막지 않는 것은
승리(勝利)하는 것이다.
此五者, 知勝之道也.
차오자, 지승지도야
이 다섯 가지가
승리(勝利)를 알 수 있는 방도(方道)인 것이다.
2. 사상의 이해
'지승유오'라고 하는
손자의 사상은
구체적인 승리의 판단조건을
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여의 적합성, 모공의 활용법,
사기진작, 우완대비, 군주의 지지'와 같은
구체적 판단기준을 통하여
피아의 정세를 파악한다면,
승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손자의 사상은
매우 구체적이면서도 실효성있는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입니다.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부전이굴인지병'은
손자병법 전체에 흐르고 있는 사상인 것입니다.
'부전이굴인지병'에 대한 실천적 방법으로서
'군쟁'인 군사작전경쟁을 모색하고,
군쟁의 일환으로서
'지승유오'와 같은 판단기준을 설정한다면,
장수는 지략으로서
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미래비전 손자철학/오수양 16.知勝有五(지승유오) :블로그집필(17)|작성자 오수양
손자병법 - 시간을 초월한 不敗策略
1. 손자병법을 활용한 성공자들
* 조조 * 나폴레옹 * 이순신 장군
* 모택동 ; 죽을때까지 침상에 있던 손자병법
(16자 전법, 게릴라 전술)
敵進我退(적진아퇴)-적 공격하면 후퇴,
敵退我追(적퇴아추)-적 후퇴하면 추격
(적 대화언급-최후통첩)
敵駐我擾(적주아요)-적 멈추면 교란
(一國兩制-시진핑-적 분열),
敵避我打(적피아타)-적 피로하면 공격
* 빌게이츠 : 손자병법은 오늘날 나를 있게 했다.
* 손정의(Soft Bank) ; 손자병법 + 손정의 = 제곱병법
* 마쓰시타 고노스케(경영의 신-일본 가전그룹)
성공 이유 ; 가난한 것, 허약한 것, 못배운 것
경영자의 마음가짐이란 "직원존중, 인재를 적재적소에, 쉼없이 배우고, 자유로운 의사개진이 가능한 환경, 중지를 모아야, 경영의 가치관을 인간중심에 두고, 인재를 육성, 경영은 살아있는 종합예술이다"
2. 손자병법이란 어떤 책인가?
* 손무가 만든 병법으로 죽간(서사재료)으로 만들어 짐
* 孫武(손무) ; 齊나라(강태공의나라) 출생(약 2,500년 전), 吳나라의 장수로 임용
* 오초전쟁 : 손자병법 적용
승리의 주역 ; 손자, 합려, 오자서
3. 손자병법의 3대 특징
* 리더 중심 * 공격적 * 주적을 상대하되, 주변국 고려
4. 손자병법의 구성
* 전체 13편, 6,109자로 구성
* 전략에서 전술까지 총망라
→ 기업경영환경에 최적의 전략과 리더십 제공
* 算(산), 知(지), 先(선), 變(변), 正(정), 善(선), 短(단),
勢(세) → 全(전)
→ 농경사회 농번기를 피해 징집
손자병법(제1편) 시계(始計)
계획, 의사결정 ; 전쟁하기전, 전체적으로 여러가지 요소를 신중히 검토한 후에 전쟁을 시작하는 것
知彼知己,百戰不殆(지피지기 백전불태-위태로울)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모두 지지 않는다
- 전쟁이란 “나라의 중대한 일이고, 죽음과 삶의 문제이며, 존립과 패망의 길
孫子曰 兵者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아군의 전력 분석은 오사(五事 - 道 天 地 將 法)로써 하고 적군과 비교는 칠계(七計 - 主執有道 將執有能 天地執得 法令執行 兵衆執强 士卒執鍊 賞罰執明 )로써 하라’ - 기업경영 SWOT 분석
* 五事(오사) 기업 내부의 강점(S), 약점(W)
도(道)- 올바른 정치
. 공자(제자 백가) ; 사람의 도리(仁, 義, 禮, 智)
. 손무 ;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하나가 되는 것(전쟁 위주의 사고)
@ 通卽不痛 不通卽痛 ; 통하면 아프지 않고, 통하지 않으면 아프다
→ 사회, 조직, 군대등 위아래간의 소통 중요
@ 지식의 저주 ; 교수, ceo처럼 지식이나 정보를 많이 아는 사람의 말일수록 알아듣기 힘든 현상
@ 잭 웰치 ; 기업의 핵심가치는 700번 이상 알아듣게 말하는 것이다.
천(天) - 기후와 기상
소주가 가장 잘팔리는 기온 ; 10도시,
가장 적게 팔리는 기온 ; 20도내외
지(地) - 지리적 이점
싸울 장소가 어디인가?
장(將) - 리더(장수)의 자질(智, 信, 仁, 勇, 嚴)
智 ; 사람의 마음의 변화를 헤아리고
일의 변화방향을 내다보는 지혜
信 ; 친하다고 상을 주지 않고,
귀하다고 벌을 생략하지 않음(상벌)
仁 ; 아래 사람들의 배고픔과 목마름을 알고
그들과 노고를 같이함(사랑, 자비)
勇 ; 기회를 보면 즉시 행하고,
적을 만나면 싸운다.
- 클라우제비츠 ; 육체적 용기보다 정신적 용기가 더 중요 → 책임을 지는 용기
嚴 ; 군을 다스림에 정돈되어 있으며,
호령이 일사불란해야 함.
- 이순신 장군(난중일기) ; 100여차례에 걸쳐 엄격한 군법 적용 (처형 28회, 곤장 44회, 처벌 36회, 구속 15회)
"사랑과 경의를 동시에 받는 지도자가 성공한 지도자"
법(法)- 제도와 질서(명령계통, 편성, 제도, 병참, 보급)
七計(칠계) 기업 외부환경 기회(O), 위협(T)
; 적과 나의 수준 비교 14가지 방법
1. 主執有道 - 최고 리더의 리더쉽(역량)을 비교하라.
2. 將執有能 - 장군의 능력을 비교하라
3. 天地執得 - 외부적인 환경(국제정세, 경제상황)과
내부적인 역량을 비교하라.
4. 法令執行 - 법령과 조직 시스템의 실행력을 비교하라
5. 兵衆執强 - 무기의 위력과 병력의 숫자를 비교하라
6. 士卒執鍊 - 평소 훈련정도를 비교하라.
7. 賞罰執明 - 상벌 체계의 공평한 운영 정도를 비교하라
6. 詭道(궤도) ; 유리한 여건 조성을 위한 14가지 속임수
兵者詭道也 ; 전쟁에는 수많은 속임수가 존재
* 能而示之不能(능이시지불능) ; 능력이 있지만 없는 것처럼 보여라!
* 用而示之不用(용이시지불용) ; 사용하면서도 않하는 것처럼 하라~
* 亂而取之(난이취지) ; 어지러움(혼란)을 틈타 취하라!
* 實而備之(실이비지), 强而避之(강이피지) ; (상대가) 충실하면 대비하고, 강하면 피하라!
* 卑而驕之(비이교지) ; 저자세로 상대의 교만을 부추기라!
* 佚而勞之(일이노지) ; 편안하게 있으면 피곤하게 만들어라!
* 親而離之(친이리지) ; 친하면 이간시켜라!
결과적으로 攻其無備 出其不意(공기무비 출기불의)
준비되지 않은 곳을 치고, 생각지도 않은 곳으로 나아가라!
손자병법(제2편) 作戰(작전)
1. 作戰이란?
* 군에서 말하는 참모들 간의 인사, 군수, 작전, 기획, 직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 손자병법에서의 작전은
기 결전과 적 자원 활용의 중요성,
- 전쟁준비와 수행의 소모성과 폐단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임.
※ 적 자원 ; 적의 식량, 무기류, 장비, 포로나 기술자등을 말함
◈ 전쟁 수행의 핵심 ; 단기속결(졸속, 적개심고취, 포상/분배, 적 병력과 물자 재활용)
- 전쟁준비 소요 : 엄청난 군사력과 비용
- 장기전의 폐단 : 사기 둔화, 민생궁핍/국가피폐, 제3국 침공
2. 拙速(졸속)이란?
* 손자병법에선 정성껏 하지 않고 대충 끝내버리는 것이 아니라, * 전쟁은 미흡하지만 빨리 끝내는게 중요하다."
- 전쟁할때의 해로움을 다 알지 못하면 전쟁할 때의 이로움을 다알수 없다.
◈ 2차대전의 패전 - 일본의 과욕
" 빨리 끝내지 못한게 실수"
- 兵聞拙速(병문졸속)전략을 쓰지 않음을 후회
; 욕심을 버리고 그 앞에서 멈출수 있는것을 말함
* 일본 패전의 자체평가 - 졸속의 실패
; 한국.중국 점령→ 남방 자원지대 확보 → 미국의 개입 → 패전
(시간 경과)
* 부부싸움의 법칙
- 싸우는 이유는 ; 먼곳, 큰 일이 아니라, 작은일 때문에 싸운다
- Stop Stop ; 멈춰라!
Think : 생각하라!
Observe : 관찰하라!
Plan : 계획하라!
3. 적개심(怒)과 재물(貨) - 전쟁을 빨리 끝내는 방법
* 적개심(怒) ; 전쟁의 빠른 진행(사기 진작)
재물(貨) : 전리품(성과급)
4. 勝敵而益强(승적이익강) ; 싸울수록 더욱 강해지기
* 작은 성공의 반복 → 자신감 충만 → 큰 성공
* 작은 승리를 계속 반복시킴으로써 자심감을 주고, 결국 큰 승리를 얻어내는 것!
손자병법(제 3편)謀攻(모공)|
1. 謀攻이란? ; 공격을 위해 꾀를 짜는 것
* 전쟁수행의 4단계(伐謨, 伐交, 伐兵, 攻城)
* 피아 전력비별 부대운용 요령
(10배, 5배이상, 2배이상, 대등, 열세, 열악)
* 승리를 위한 5가지 필요요건
(대세판단, 집중과 절약, 상하단결, 신중/대비, 역할분담)
2. 破全(파전) ; 최악의 싸움과 최선의 싸움
깨어진 상태로 하는 것은 좋지않고,
온전한 상태로 목적을 이루는 것이 가장 좋다.
* 피로스의 승리
- 싸움을 잘했던 그리스 왕, 피로스는 로마군과도 싸워서 승리함.
- 피해가 많은 승리는 좋지 않음.
" 상처뿐인 영광은 의미가 없다."
* 필승과 불패의 차이
- 必勝 : 반드시 이긴다 → 무리수를 두게 됨
- 不敗 : 적어도 지지 않는다.(지향해야 함)
* Win-Win 전략 ; 相生(상생)
; 상대와 내가 함께 사는 것
☞. 현대 기업에서 ( 공급자와 공급받는자 와의 가장 이상적인것이며, 한 공급받는자에게 , 둘 이상의 공급자가 있을 경우 이 공급자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지만, 서로간의 신뢰와 도덕성은 너무 중요함.
뒤통수 치는 경쟁자의 조삼모사에 늘 경계심은 필요하다.
3. 不戰勝(부전승)이란?
* 스포츠 게임시 조 추첨으로 올라갈때 또는 상대팀이 기권했을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부전승은 단순히 그날의 재수가 아닌, 실력이 좌우 한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 是故 百戰百勝 非善之善者也 ;
백번 싸워서 백번 이기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 아님
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者也 ;
싸우지 않고도 적을 굴복시킬수 있는 것이 가장 좋은것.
* 견훤 ; 신라 침략시 많은 사람에게 해악을 끼침(백성들의 원망) → 무력, 힘으로 굴복(진정한 승리가 아님)
왕건 : 어려움을 함께 슬퍼하고, 신라를 받아들여 고려 건국(신라 경애왕) → 마음으로부터의 항복(부전승)
4. 싸움의 4단계 전략
* 伐謀(벌모) - '꾀를 베어 버린다'는 뜻
- 상대방이 나에게 덤빌 생각조차 못하는 단계 →
가장 좋지만 가장 어려운 단계
- 가진 것(돈, 지식, 힘)이 많을때 가능
* 伐交(벌교)
- 상대방 주변(친구, 외교관계)의 동맹을 먼저 끊어버리는 단계
- 주변을 내편으로 포섭(더 바람직한 단계)
* 伐兵(벌병)
- 상대방의 병력을 치는 것
- 파괴, 피해가 생김
* 攻城(공성)
- 상대방의 성을 공격하는 것
- 가장 나쁜 단계(수많은 피해)
" 부전승을 시도하지만 최종적으로는 공성을 염두에 둔 전략 단계 "
5. 미리 승리를 아는 5대 필수조건
* 대세판단 ; 내가 더불어 싸울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
知勝者有五 知可以與戰 不可利與戰者勝
* 집중과 절약(작전적 숙달) ; 집중과 절약, 대소인원 운영이 묘미
識衆寡之用者用勝(식중과지용자용승)
* 상하단결 ; 위와 아래가 하고자 하는 것이 같음
上下同欲者勝(상하동욕자승)
* 신중/대비 ; 신중하게 대비할때 그렇지 못한 적과 싸우면 이길수 있음
以虞待不虞者勝(이우대불우자승)
* 역할분담 ; 장수가 능력이 있고 임금이 간섭하지 않으면 이길수 있음
將能而君不御者勝(장능이군불어자승)
손자병법 중에서 최고의 명구!!
※. 知彼知己 百戰不殆(지피지기 백전불태)
; 적과 나를 알게되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不知彼而知己一勝一負(불지피이지기일승일부)
;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번은 이기고
한번은 진다.
※.不知彼不知己每戰必殆(불지피불지기매전필태)
;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지 못하면 싸울때마다
위태롭다.
손자병법(제4편) : 軍形(군형)
1. 軍形이란? ; 압도적인 우세를 가지는 태세 만들기
* 군사적 태세
- 적이 이기지 못할 태세, 적의 약점을 기다림
- 적이 패할 기회를 놓치지 않음
* 군사적 태세 조성 방법
- 度量數 稱勝(도량수 칭승)
- 先勝而後求戰(선승이후구전)
; 이미 이겨놓고 싸울 압도적 수준
* 태세 활용
- 육성된 힘의 크기에 따라 守攻(수공)결정
- 가장 바람직한 형 ; 천길 계곡에서 물 흐뜨리기
※ Win-Win이 최고다!
善守者藏於九地之下, 善攻者 動於九天之上, 故能 自保而全勝也
→ 내가 보전하고 온전한 승리를 거두는 것!
" 잘 지키는 자는 땅끝아래에 숨으며, 잘 공격하는 자는 하늘의 위에서 움직이니 스스로를 보존하여 온전히 승리를 거둘수 있다."
2. 진정한 성공이란?
* 日月不爲明目(일월부위명목)
; 해와 달이 밝다고 해서 눈이 밝다 하지 않는다.→ 당연한 것
* 聞雷霆不爲聰耳(문뢰정부위총이)
; 천둥소리를 들었다해서 귀가 밝다하지 않는다 → 당연한 것
"모든사람이 알고 있는 수준이라면 진정한 승리가 아니다!"
* 박수 받는 것이 독이 될수 있다.!
見勝不過衆人之所知, 非善之善者也
戰勝而天下曰善, 非善之善者也
"승리를 볼때 많은 사람들이 알 정도에 불과하다면 최선의 것이 아니며, 싸움에서 이기되 천하가 잘했다고 할 정도면 최선의 것이 아니다."
* 소리 소문없이 성공하면 최고다.
善戰者之勝也 無智名無勇攻
"잘 싸우는 자의 승리는 지혜롭다는 명성도 없고,
용감하다는 공적도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진정한 성공이란? 破(파)가 없고 온전(全)하고
나를 보전(自保)하여 이룰때다.
3. 易勝(이승)
古之所謂善戰者 勝於易勝者也
"압도적인 전력의 차이로 이기기 쉬운 상대와 싸워 이김."
* 이순신 장군의 병법
- 불리한 위치에서 열세의 병력으로 싸우지 않음.
- 이승전략(연합)을 펼침
"월등한 태세를 갖추고 쉽게 이길수 있는 것이 가장 좋은 승리"
4. 立於不敗之地 不失敵之敗也(입어불패지지 부실적지패야)
; 패하지 않을 땅(태세)에 서라, 적이 패할 기회를 놓치지 마라!
* 밀티아데스의 마라톤 전투
- BC 490년 페르시아(다리우스 1세)와 그리스의 전쟁
- 밀티아데스는 마라톤 평원의 가장 높은 위치에 병사들을 배치, 양쪽에 병력을 집중 공격하여 승리함.(양익 포획)
- 아테네에 승전보를 전하고 죽은 병사를 기리기 위해 '마라톤 경주'가 생겨남.
* 易勝(이승)
가장 유리한 위치(준비 태세)에서 적의 허점을 놓치지 않고 공격
* 이겨놓고 싸운다
- 勝兵(승병) ; 先勝而後求戰
이기는 군대는 먼저 이기고 난 후에 싸움을 구한다.
- 敗兵(패병) : 先戰而後求勝
지는 군대는 먼저 싸우고 난 이후에 이기기를 구한다.
* 이길수 있는 모든 조건과 태세를 갖춘후 전쟁을 하는 지혜로움이 필요하다.
손자병법(제5편) ; 兵勢(병세)
1. 兵勢란?
; 승리를 위한 태세를 갖춘후에 勢(세)로써 적을 깨뜨리는 것.
* 천길 계곡에 모인물이 4편의 軍形이라면, 이 물이 아래로 떨어질 때 기세는 5편의 兵勢임.
* 병세의 기본 원리 ; 팽이를 돌리기 위한 지속적인 勢가 필요함.
2. 虛實(허실)
* 바위로 계란 치듯하라
兵之所加 如以하投卵者 虛實是也
→ 적의 實(실)을 피해 虛(허)를 친다(쉽게 이기는 것)
3. 奇正(기정)전략
* 凡戰者 以正合 以寄勝
故善出奇者 無窮如天地 不竭如江海
- 창 = 奇(기), 방패 = 正(정)
→ 방패로 막고 창으로 찔러 들어가는 것
* 以正合 以寄勝 ; 正의 힘으로 대치하여 奇로써 승리하는 것
- 정 ; 힘의 원천, 원칙, 규칙
(유형의 정 ; 자금, 인력, 장비등, 무형의 정 ; 원칙, 기준, 규칙등)
* 줄루족의 이산들와나(남아프리카) 전투
- 전설적 리더 샤카(SHAKA)의 전략
. 개인역량 강화 ; 정신력 무장(正의 훈련)
. 조직역량 강화 : 황소의 뿔 전략(병력 배치)
- 1879년 마지막 왕(케츠와요)과 영국군 전투
"창이 총을 이기다." - 영국군 24연대 예하 6개 중대 1,800명 전사, 10명만 도주
* 세계적 판매왕 Joe Girad ; GIRAD 250명 법칙
- 한 사람이 관계하는 사람은 250명!
- 기본이 되는 正을 단련하여 奇로써 승리!
* "일본 전산"의 기본 正을 판단하는 시험
- 큰 소리로 말하기 시험
- 밥 빨리먹기 시험
- 화장실 청소 시험
- 오래 달리기 시험
4. 能擇人而任勢(능택인이임세) - 적재적소
* 무엇이 사람을 미치도록 일하게 하는가?
善戰者 求之於勢 不責之於人 故能擇人而任勢
"잘 싸우는 자는 기세를 찾되 개인에게서 찾지 않음
사람을 잘 택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세를 만듦."
* 칠천량 해전
- 원균장군 ; 바다에 있으면 안 되었던 사람
→ 육지에 있을때는 북방 오랑캐와 맞서 한번도 지지 않음.
* 적재적소 ; 자기가 가장 잘 하는 곳, 제일 좋아하는 곳에 위치!
* 개인의 특성과 환경의 영향
任勢者 其戰人也 如轉木石 木石之性
安則靜 危則動 方則止 圓則行
"개인을 적재적소에 배치한 후 조직의 풍토(勢)를 조성"
"善戰人之勢 如轉圓石於千인之山者 勢也"
둥근 돌(개인)을 천길 산 아래로 굴릴때의 勢(세)!
손자병법(제6편) ; 虛實(허실)
1. 虛實이란? ; 허한 곳을 노리고 실한 것은 피하라!
* 李衛公問對(이위공문대)
; 당 태종(이세민)과 이정 장군이 문대형식으로 손자병법에 대하여 이야기한 벙법서(7대 병서중 하나)
唐太宗曰 十三篇 無出虛實
손자 13편중에서 <허실편>보다 나은 것은 없다!
2. 먼저가서 기다리면 편하다!==>.
사소한 약속도 그 시간보다 먼저 가서 기달려라.
* 先處戰地而待敵者佚(일) ; 먼저 싸움터에 가서 적을 기다리는 자는 편안함.
* 後處戰地而趨戰者勞 ; 늦게 싸움터로 달려가서 급하게 싸움을 하는자는 피곤함.
3. 끌려가지 말고 내가 끌고가라!==>.
모든 생활에 수동적이지 말고, 능동적이어라.
* 善戰者, 致人而不致於人
잘 싸우는 자는 사람을 이끌되, 사람에 의해 끌려가지 않음
* 펭귄 효과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는 과정에서 누군가의 결정을 따라가게 되는 현상
☞.조직의 리더는 결정을 하지못하면, 그 조직은 와해된다. 그 누군가는 한두가지의 의견이 아니다. 무수히 많다. 정확히, 냉정히, 즉시에 결정을 해야한다.
4. 戰勝不復 應形於無窮
전쟁에서 이겼던 방법은 두번 반복하지 않으며,
(환경과 조건에 따라)=> 변화게 된다.
무궁하게 응용해 나가는 것!
* 조직이 유연성 있고 자유롭게 생각을 만들어 발전시켜 나가는 것!
* 성공과 실패는 돌고 돈다!==> 인생사 와 똑 같다.
- 승리가 계속간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자만해선 안됨.
- 실패와 좌절, 패배도 영원하지 않음.
5. 形人而我無形
적은 드러나게 하되, 나는 드러나지 않음.
* <갈관지> ; 편작(위나라)과 그들 삼형제에 대한 이야기
"남을 세우고 나를 낮추는 겸손"
6. 강력한 집중의 위력! - 我專爲一
則我專而敵分, 我專爲一 敵分爲十, 是以十攻其一也
나는 집중하고 적은 분산하여 열로 나누어지니 이것은 열배의 힘으로 하나를 공격하는 것과 같다.
* 란체스터(항공학자) 법칙
3대와 5대가 공중전하면 2대가 남아야 하는데, 4대가 남는다(집중 효과)
* 과감하게 양보하고 결정적인 것을 노려라!
- 한니발의 칸나에 섬멸전
- 에파미논다스의 루크트라 전투
- 알렉산더의 이수스 전투
- 힌덴부르크의 탄넨베르크 섬멸전
7. 내가 어떻게 이겼는지는 알지 못한다! - 制勝之形
因形而措勝於衆, 衆不能知
人皆知我所勝之形
而莫知吾所以制勝之形
- 승지형 ; 이기는 모습이 드러나는 것
- 제승지형 : 이기도록 만든 여러가지 대책, 조치, 단계등
* 한산도의 제승당(운주당) ; 이순신 장군은 모든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종합하여 승리할 수있는 전략을 짬.
8. 물을 닮아라! - 兵形衆水
夫 兵形衆水
-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 순리
- 실한 곳은 피하고 허한 곳을 공략
- 승리와 패배도 이와같이 순환
손자병법(제7편) ; 軍爭(군쟁)
1. 軍爭이란? ; 실제로 싸워서 승리를 쟁취하는 방법들!
2. 迂直之計(우직지계) ; 돌아가는 것을 직행으로 삼는 계략!
* 以迂爲直(이우위직) ; 돌아감으로써 직행을 삼는 것
- 많은 장애물이 있는 직행길 - 더 많은 시간 소요 → 양보, 희생이 더 빠른길
* 以患爲利(이환위리) : 불리한 것(근심, 걱정)을 유리한 것(복)으로 바꿀수 있는 것
- 발상의 전환, 긍정의 힘
- 1991년 일본 아오모리현 ; 태풍으로 사과가 다 떨어지고 얼마 남지않자 그 농장 주인은 남은사과에 "合格"이란 글씨를 새겨 "아무리 거센 태풍에도 절대 떨어지지 않는 사과"라고 홍보, 10배이상 비싼 가격으르 판매하여 위기를 극복한 사례
-.정 주영의 {정 주영공법}=>.
새만금 방조제 공사. 폐 유조선 물막이 공사.
3. 風林火山(풍림화산) ; 바람같이, 숲같이, 불같이, 산같이!
* 故其疾如風, 其徐如林, 侵掠如火, 不動如山, 亂知如陰, 動如雷震
빨리갈 때는 바람같이, 가만히 있을때는 숲과같이
침략할때는 불과 같이, 움직이지 않을때는 산과같이 하라
4. 掠鄕分衆 廓地分利(약향분중 곽지분리)
; 이익이 남으면 나누어 먹어라
* 전리품(성과급) 분배
* 이익을 독식하는 사람이나 기업은 결코 오래갈수 없다.
☞.기업에서 인센티브제도 시행하면, 꼭 지켜라.
말로 (Lip Service)는 하루 아침에 망한다.
5. 士氣(사기) ; 직원 전체는 사기를, 리더는 마음을!
(故三軍可奪氣, 將軍可奪心)
* 아침시간을 최대한 이용하라!(是故 朝氣銳)
☞.기업 경영에 참조 .!!!
- 오전은 주요업무(협상)->.짧고, 명약관화하게 하라.
.회의로 인한 지루함과 Stress는 직원들의 .하루 일과를 망친다 .그것은 곧 오너의 손실이다.
-오후는 잡무처리-.중요한 결정 사항은 오후을 피하라.
.판단력과 결정타에 손해가 갈 수있다.
- 저녘에는 늘어진다 - .모든 결정은 저녁 시간에 하라.
.직원들과 같이 일로 늘어 져라. .중요한 결정 사항은 직원들과 공유하라. 그래야.! 그 직원들은 자기의 존재감과 자존감을 가진다. .다음 날 아침의 회의를 미리 준비하는데
진을 빼서 늘어 져라.
6. 四治(사치) ; 治心, 治氣, 治力, 治變
*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以治待亂, 以靜待譁, 此治心者也
- 나의 마음을 다스리고 적의 마음을 어지럽게 함.
* 사기를 높이라.
晝氣惰 暮氣歸 故善用兵者, 避其銳氣, 擊其惰歸 此治氣者也
- 나의 사기는 높이고, 적의 사기는 빼앗음.
* 체력을 다스려라
以近待遠, 以佚待勞, 以飽待飢, 此治力者也
- 나의 체력은 유지하고, 적의 체력은 계속 고갈시켜야 한다.
* 어떠한 상황변화도 분별하라
無邀正正之旗, 勿擊堂堂之陳, 此治變者也
- 나의 상황변화는 분별하고, 적의 상황은 흐트러지게 함.
7. 圍師必闕 窮寇勿迫(우사필궐 궁구물박)
; 쥐도 몰리면 고양이를 문다!
* 故用兵之法 高陵勿向, 背丘勿逆, 佯北勿從, 銳卒勿攻, 餌兵勿食
歸師勿謁, 圍師必闕 窮寇勿迫 此用兵之法也
- 포위된 적을 향해서는 반드시 도망갈 길을 터주고, 궁지에 몰린 도둑은 끝까지 핍박하지 마라
- 변명의 여지를 주고 후환을 만들지 마라
☞.John F.케네디의 (군쟁) 활용 예.
* 쿠바 미사일 위기(1962. 10. 14)
; 162기 핵탄두 미사일, 90개 전술, 핵탄두 포함 쿠바 도착
- 68세 후루시쵸프와 45세의 케네디의 대결
- 케네디의 3가지 옵션 ; 미사일기지 항공 정밀 타격,
쿠바 본토 공격, 해상봉쇄
- 케네디의 10월 22일 대국민 연설
; 소련은 서반구에 대하여 핵 공격을 가할수 있는
기지를 쿠바에 건설중!
1. 해상봉쇄를 취하겠다.
2. 제3차 세계대전 불안감 촉발!
3. 학교, 직장, 가정에서 대피훈련과 방공호 구축
- 극적 협상타결로 소련은 11월 8일 미사일 철수 시작
"우리는 후루시쵸프에게 참을수 없을 만큼의 굴욕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이길수 있었습니다.
지금부터는 결코 그를 욕되게 해서는 안됩니다. 만약 후루시쵸프가 미국으로부터 커다란 양보를 쟁취했다고 자만하고 싶어하거든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 둡시다. 그것은 패자의 특권입니다."
손자병법(제8편) ; 九變(구변)
1. 九變이란? ; 다양한 상황을 어떻게 분별하고 행동할 것인가?
2. 君命有所不受(군명유소불수)
현재 기업 하시는 분들이 한번쯤은 되새길 병법
; 상사의 명령도 거부해야 할 때가 있다!
* 途有所不由, 軍有所不擊, 城有所不攻, 地有所不爭, 軍命有所不受
- 상사 지시가 불합리하다면 정확한 판단 및 결단력을 위한 이의제기 또는 대안제시
- 실무자의 판단과 능력은 존중되어야 함.
3. 必雜於利害(필잡어리해)
☞.언론을 보는 눈을 키워라.
☞.늘, 이야기되는 이면의 것을 생각하라.
; 양면을 보는 눈을 가져라!
* 智者之慮 必雜於利害 雜於利 而務可信也 雜於害 而患可解也
- 지혜로운 사람의 생각에는 반드시 이로움과 해로움의 양면을 함께 고려해야 함.
- 균형적인 시각(관점)을 가져라
4. 無恃其不攻(무시기불공)
; 적이 공격하지 않을 것을 믿지 말라!
* 無恃其不攻 恃吾有所不可攻也
- 적이 나를 공격하지 못하게 할만한 준비태세(방어태세)가 되어 있음을 믿어야 한다.
5. 將有五危(장유오위) ; 조직을 망치는 위험한 5가지 성격
* 必死可殺(저돌형) ; 반드시 죽고자 하면 죽을수 있음!
* 必生可虜(보신형) ; 반드시 살고자 하면 포로가 될수 있음!
* 忿速可侮(다혈질형) ; 급하게 성을 내면 업신여김을 당할수 있음!
* 廉潔可辱(결벽형) ; 지나치게 깨끗하면 수치심을 당할수 있음!
* 愛民可煩(유약형) ; 백성을 지나치게 사랑함으로써 번민해선 안됨!
☞.한 나라의 대통령은 모든 것을 해 낼 수 없다. 진정한 지도자에게 이러한 유형의 관료는 사족이다. 이런 유형을 구분하는 안목을 가진자가 지도자다. 인사가 만사다. 이런 것을 구분해 내는 자가 진정 리더이다. 기업가도 마찬가지다.
손자병법(제9편) ; 行軍(행군)
1. 行軍이란? ; 다양한 지형에 따른 부대관리와 전술적 운용 요령
- 32개의 징후에 대한 행동추론과 대응방법
2. 징후별 행동추론
* 잔소리가 많으면 신뢰를 읺은 것이다!
諄諄翕翕(순순흡흡), 徐與人言者 失衆也
* 무능할수록 난폭하다!
善暴而後畏其衆者, 不精之至也
卒委謝者, 欲休息也, 兵怒而相迎
久而不合, 又不相去, 必謹察之
* 하인리히(Heinrich) 법칙 ; 1 : 29 : 300법칙
- 하인리히는 1920년대 미국 여행보험회사 직원
- 약 5,000근의 노동재해를 분석중 법칙 발견
대형사고 → 소형사고 → 사소한 징후들
1회 29회 300회
* 토요타의 5Whys
; 모든 일을 확실히 하기위해서는 5번 물으라!
* 숫자가 많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兵非貴益多, 雖(수)無武進
足以幷力料敵 取人而已(이)
夫 唯無慮而易敵者 必擒(금)於人
- 구성원의 질적인 정례화, 핵심중심의 집중화, 질적 집중화
3. 지휘 통솔의 법칙
* 벌을 줄때는 줘야 기강이 선다!
卒未親附而罰之, 則不服
不服則難用, 卒已親附而罰不
行, 則不可用也
- 병사들과 아직 친하지 않은 상태에서 벌을 주면 병사가 복종하지 않게되고, 친한 상태에서 벌을 주지 않으면 이 또한 복종하지 않게 된다.
* 평소에 교육을 잘 시켜야 한다!
令素行以敎其民, 則民服, 令素不行以敎其民
則民不服, 令素行者 與衆相得也
- 평상시 받은 교육이 위기상황에서 그대로 드러남.
☞.안전 사고에 꼭 활용할 병법
※.작금의 {세월호 참사}.
지휘관도 없었고, 참모도 없었고, 이 손자병법의 행군편을 한번만 읽었어도 ,썩어 빠진, 인간 말종의 전투을 본 것입니다.
▶ 카란세베스 전투
; 조셉 2세의 강한남자 컴플렉스(아집과 실패의 전쟁사)
→ 술 때문에 아군끼리 전투로 만여명 사망
; 평상시 교육(술과 여자)의 부족
▶ 리비히 법칙
; 식물이 필요한 영양소 중에서 하나가 부족하면
그에 따라 식물의 성장이 멈춘다는 법칙
→ 조직내 교육수준이 비슷해야 함.
▶ 아폴로 신드롬
; 뛰어난 인재들만 모인 집단에서 오히려 성과가
낮게 나타나는 현상
→ 다양한 수준의 사람들이 공존하는 조직이 오히려 성과가 더 높을수 있음.
☞.IQ - 150 인 집단을 모아서 평가를 하게 되면,
분명히 순위는 1등부터 150등까지 구분 된다.
※.다양성의 집단이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낳는다.
손자병법(제10편) ; 地形(지형)|
1. 地形이란? ; 땅의 형태
2. 6敗兵 ; 망하는 군대 6가지 경우
故兵.!
有走(주)者, 도망가는 군대,
有弛(이)者, 헤이해지는 군대,
有陷(함)者, 무너지는 군대,
有崩(붕)者, 붕괴하는 군대,
有亂(란)者, 혼란스럽게 되는 군대
有北(배)者
凡此六者, 非天地之災, 將之過也(장지과야)
→ 장수의 잘못에 의해 생기는 패배(장지과야)
3. 走兵(주병)
* 너무 큰 부담을 주면 도망간다!
夫勢均, 以一擊十, 曰走
" 능력에 비해 과도한 부담을 주면 안됨."
* 한민족 치욕의 "쌍령전투"
- 1636년 12월, 병자호란때, 영화 '최종병기 활'의 배경이기도 함.
- 남한산성으로 피신한 인조를 구하기 위해 경상좌병사 '허완'과 경상우병사 '민영'이 이끌고 온 백성 4만명을 전략적 식견 부족으로 '쌍령고개' 낮은곳에 배치시킴
. 경상좌병사 "허완"측 ; 적 기병 300명이 지나가는 순간, 놀래서 도망가다 아군끼리 서로 밟혀 죽음(장지과야)
. 경상우병사 "민영"측 ; 조총의 화약 통제를 못해(사정거리 이전에 발사하여 화약고갈 및 화약창고 폭발) 도망가다 아군끼리 밟혀죽음.
→ 결국, 300명 기병에게 4만명이 와해되다!
4. 戰道(전도)
* 소신을 분명히 하라!
故戰道必勝, 主曰無戰, 必戰可也
戰道不勝, 主曰必戰, 無戰可也
" 반드시 이길수 있다면 군주가 싸우지 말라고 해도 싸워야 하고, 싸움의 법칙에 비추어볼때 이기지 못하면 군주가 반드시 싸우라고 해도 싸우지 않아야 한다."
* 전진도 후퇴도 오직 대의를 위하여!
- 정유재란(1597년) - 항명하다가 백의종군하는 이순신
(수륙합동으로 참전해야 승산 있는데 육군이 준비안돼 참전 거부)
進不求名, 退不避罪, 唯民是保而利於主, 國之寶也
" 나아감에 명예를 구하지 아니하고, 물러남에 죄를 피하지 않으며, 오직 백성을 위하고 군주에게 이롭게 한다면 이는 나라의 보배다."
→ 오직 대의를 위한 싸움
* 자식처럼 사랑하라!
視卒如여兒故, 可與之赴深谿, 視卒如愛子故, 可與之俱死
" 병사 보기를 사랑하는 자식같이 하면
그는 나와 더불어 함께 죽을수도 있다."
* 망나니처럼 키우지 마라!
愛而不能令, 厚而不能使, 亂而不能治, 譬(비)如驕子, 不可用也
" 후하게 대한다고 해서 버릇없는 자식 같이 내버려둬선 안됨."
知彼知己, 勝乃不殆, 知天知地, 勝乃可全
" 적과 나를 알면 승리는 가히 위태롭지 않고, 천지를 알면 승리는 가히 온전해 짐."
- 힌덴부르크의 탄넨베르크 섬멸전(1914년)
; 지피지기와 지형에 능했던 힌덴부르크가 적장 레넨캄프와 삼소노프의 경쟁을 이용하여 대승을 거둔 전쟁
"적과 나를 알고, 하늘의 기상과 지형을 알면 승리는 과히 안전하다."
손자병법(제11편) ; 九地(구지)
1. 九地란? * 손자병법에서 "九"란 "아홉"이 아니라,
높다, 깊다, 많다라는 의미임
* 다양한 지리적 상황에서의 심리적 변화
* 점, 미신, 유언비어를 제거하고, 철저한 계산에 의해 움직여라!
- 시계편 ; 도, 천, 지, 장, 법
是故 其兵不修而戒, 不求而得, 不約而親, 不令而信
禁祥去疑, 至死無所之
2. 率然(솔연)
故善用兵者, 臂如率然, 率然者, 恒由之蛇也
擊其首則尾至, 擊其尾則首至, 擊其中身則首尾俱至
* 솔연은 항산(상산)에 사는 뱀으로 그 머리를 치면 꼬리가
덤비고, 그 꼬리를 치면 머리가 덤비며, 그 허리를 치면 머리와 꼬리가 함께 덤빈다.
→ 어떤 상황이든지 각자 위치에서 맡은 일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것
* 아무리 원수라도! - 吳越同舟(오월동주)
敢問 兵可使如率然乎? 曰, 可. 夫 吳人與越人
相惡也. 當其同舟而濟遇風, 其相救也如左右手
-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은 서로 미워하지만,
같은 배를 타고 가다가
갑자기 바람이 불면 비록 원수지간이라도
배가 뒤집히지 않도록 서로 돕게됨.
吳越同舟(오월동주)
" 때에 따라 위기 의식이 중요하다!"
" 위기를 기회로 삼아라!"
* 한산대첩 ; 솔연의 위력
- 조직의 일체감 형성 : 민,관,의병의 일체감.
- 파벌 타파 : 노론.소론,동인,서인의 파벌 타파.
- 소통 : 육군의 권율, 각 지역의 의병장
- 신속한 전시상황 정보공유
- 칭찬과 격려 : 전쟁에서 승리, 사병에서 부터 지휘관까지
칭찬->강강수월래를 통한 사기진작.
- 전략수립과 승리확신 : 새벽, 점심, 오후. 자정의
조수 간만의 차를 연구/연구분석
학익진,
: 생즉사 필생즉.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산다. 승리를 확신하고 ,
자기의 죽음을 알리지마라는 살신 성인.
▶ 학익진
- 일본 陸戰에서 사용된 전법
- 완전히 하나가 되어야 성공함.
- 집중의 위력!
# 기습전의 명수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등장
- 육지의 제왕
- 수원 광교산 전투 ; 1,600명으로 가면을 쓰고, 우리 관군 5만명을 무찌름
- 이제, 해전에 집중하라!
. 이제 육지에서는 문제가 없다. 와키자카 야스하루를 남해안으로 보내 이순신 장군과 싸워라
. 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을 제거하지 않고는 전쟁을 승리로 이끌수 없다.
- 한산 대첩(1592. 7. 8) ; 조선 전선 56척으로 일본 전선 73척(대선 35, 중선 17, 소선 7척) 격파(일본배 14척만 탈출)
- 그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 앞으로 조선수군을 만나면 도망가라!
☞.육지에서 사용한 학익진을 이 순신은 바다에서 활용
대승. 남의 것을 내 것으로 이용한 최대의 전략, 전술.
☞.남의 것을 내 것으로 창조하여, 대승을 거둔
세계 해전사에 최고의 작전.
3. 죽을 땅으로 밀어 넣어라!
投之亡地然後存, 陷之死地然後生
夫衆陷於害然後, 能爲勝敗
* 죽을 땅에 던져 넣으면 살아남을 수 있고, 사지에 빠뜨린 후에야 살아남을 수 있다
* 한신의 정경구 배수진
- B.C 204년 정경구에 배수진을 침으로써 1만명의 군사가 조나라 군사 20만명을 패퇴시키고, 2천명이 조나라 성을 점령함.
4. 처녀처럼, 토끼처럼
是故 始女處女, 敵人開戶, 後如脫兎, 敵不及拒
* 처녀처럼 행동하여 적이 방심하게한 후,
달아나는 토끼처럼 행동하여 공격한다.
손자병법(제12편) ; 火攻(화공)
1. 火攻이란? ; 불로 공격하는 방법
2. 凡火攻有五(범화공유오) ; 화공의 5가지 방법
孫子曰, 凡火攻有五
一曰火人, 二曰火積, 三曰火輜(치), 四曰火庫, 五曰火隊
* 사람을 태우는 것
* 쌓아놓은 식량과 땔감을 태우는 것
* 보급품 수레를 태우는 것
* 창고를 태우는 것
* 적의 교통로와 보급로를 태우는 것
3. 火攻 ; 다양한 상황에 맞춰 공격하라!
凡火攻 必因五火之變而應之
- 화공법에 따라 나타나는 적의 변화에 따라 대응해야 함.
- 조건이 매우 까다로움
* 수공법과 화공법의 차이
故以火佐攻者明, 以水佐攻者强, 水可以絶, 不可以奪(탈)
- 수공법보다 화공법이 더 어려움
- 불로 공격을 도우려면 현명해야하고, 물로 공격을 도우려면 강해야 함.
- 특수 공격으로서는 동일하지만 목적의 차이가 있음.
☞.불은 인간이 만든 전략/전술이면,
물은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전략/전술.
불(가공된 전략/전술)
물(자연을 이용한 전략/전술)
★.이 순신장군의 명량해전, 바다의 빠른 물살을 이용한
세계최고의 해전.
▶.수공법
* 적벽대전
- 화공전의 대표적 전례
- 손권과 유비가 연합해 조조에 대항하여 양자강에서 벌어진 전투(연합군 승)
* 이릉대전(222. 6월)
- 오나라 육손의 화공전 ; 유비 패배
* 왕건의 나주포구 화공전
- 견훤을 무찔러 승리
- 나주를 거점으로 남해안 장악
- 고려를 세우는 기초를 쌓음
* 장개석의 하원구 결제, 수공전
- 1938년 중일전쟁때 일본군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황하를 막고있는 화원구의 제방을 터뜨림
- 일본군 저지 실패, 무한피탈
- 1,250만 이재민, 89만 사망자
- 지도자의 수공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실패
* 火攻 - 費留(비류) ; 돈 날리고, 시간 날리고!
夫戰勝攻取, 而下修其攻者凶, 命曰費留
4. 明主慮之(명주려지), 明主愼之(명주신지)
* 明主慮之 ; 싸움은 신중을 기하라!
故曰 明主慮之, 良將修之, 非利不動, 非得不用, 非危不戰,
主不可以怒而興師, 將不可以온而致戰, 合於利而動, 不合於利而止
<싸움의 3원칙>
- 非利不動 : 유리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마라!
- 非得不用 : 얻는 것이 없을때는 군사를 사용하지 마라!
- 非危不戰 : 위태롭지 않으면 싸우지 말라!
* 明主愼之 : 신중히 생각하라!
故曰 明主愼之, 良將警之, 此安國全軍之道也
현명한 군주는 전쟁을 신중히 하고, 훌륭한 장수는 이를 경계하는 것
→ 나라를 안정되게 하고, 군대를 보전하는 길!
5. 死者不可以復生(사자불가이복생) : 죽은자는 다시 살수 없다!
怒可以復喜, 온可以復悅, 亡國不可以復存, 死者不可以復生
분노와 기쁨은 다시 얻을수 있지만. 망한 나라는 다시 보존할수 없고, 죽은 사람은 다시 살아날수 없다.
손자병법(제13편) ㅣ 用間(용간)|
1. 用間이란? ; 간첩을 활용하는 방법
* 간첩 = 돈
孫子曰 凡興師十萬, 出征千里, 百姓之費, 公家之奉
日費千金, 內外騷動, 怠於道路, 不得操事者, 七十萬家
- 군사 10만명을 일으키려면 70만 가구가 봉사해야 되며,
- 하루에 천금이 소모된다.
* 계산은 크게해야 한다! 멀리 보라
相守數年, 以爭一日之勝, 而愛爵祿百金, 不知敵之情者
不仁之止也, 非人之將也, 非主之左也, 非勝之主也
- 정확한 정보에 의해 전쟁은 바뀔수 있다!
* 딜렌보고서 - 정보에 대한 중요성
- 6.25전쟁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미국에게 팔려고 했던 유럽의 한 보고서 → 중공군이 개입할 것
- 미국은 보고서가 비싸다는 이유로 사지 않음.
2. 用間有五(용간유오) ; 5종류의 정보원!
故用間有五, 有鄕間, 有內間, 有反間, 有死間, 有生間
五間俱起, 莫知其道, 是謂神紀, 人君之寶也
* 鄕間 ; 상대의 주민을 활용하는 것
鄕間者, 因其鄕人而用之
* 內間 : 상대의 관리를 활용하는 것
內間者, 因其官人而用之
- 1994. 2월 : 미국 최대의 간첩사건
(소련담당 CIA 직원이 10년간 소련에 뇌물을 받음)
* 反間 : 상대의 정보원을 역이용 하는 것(이중간첩)
反間者, 因其敵間而用之
- 서로 이용함으로써 고급 정보를 얻을수 있음.
☞※.관료제화의 공무원/
기업에서의 자리지킴이들의 전형적 유형
<적에게 매수되기 쉬운 7종류의 관리>
- 재능은 있으나 직위에서 실직한 자
- 잘못을 저질러 처벌을 받은 자
- 상사의 신임은 받지만 재물욕이 많은 자
- 낮은 지위에 불만을 품고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여기는 자
- 각종 이유로 상사의 신임을 잃은 자
- 평판이 나쁘고 능력을 드러내는데 급한 자
- 변절을 잘하고 간사하며, 회색분자 성향을 지닌 자
* 死間 : 거짓 정보를 유포하다 죽는 사람
死間者, 爲狂事於外, 令吾間知之, 而傳於敵間也
- 잘못된 정보를 적국에 퍼뜨리다가 잡혀 죽는 것
* 生間 : 살아와서 보고한다!
生間者, 反報也
- 살아 돌아와서 보고하는 것
범인은 항상 주변에 있다!
凡軍之所欲擊, 成之所欲攻, 人之所欲殺, 必先知其守將,
左右, 謁者, 門者, 舍人之姓名, 令吾間必索知之
간첩은 측근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측근을 조심하고 탐색해야 함.
간첩이 활동하지 않는 곳은 없다!
無所不用間也
정보를 믿고 자신있게 일을 추진한다!
昔殷之興也, 伊摯(지)在夏, 周之興也, 呂牙在殷
故明君賢將, 能以上智爲間者, 必成大功, 此兵之要, 三軍之所恃(시)而動也
<산업 스파이>
* 멕시코
- 산업정보 위해 매년 5천만 달러 사용
→ 미국의 국회의원, 정부관료 매수
- 1955년 봄, 멕시코 금융위기시 미국의회는
미화 200억달러 차관 통과
* 일본
- 매년 5억달러 사용 → 미국 정계 주요인사 매수
- 미국으로부터 연간 500억 달러의 경제적 이익
손자병법에 통달한다!
孫子千讀達通神
손자를 천번 읽으면 신의 경지에 이름
◈ 손자병법(孫子兵法) ◈
중국 고대 군사학 명저이며 현존하는 중국 최고(最古)의 병서(兵書).
〈손자 孫子〉·〈오손자병법 吳孫子兵法〉·〈손무병법 孫武兵法〉 등으로도 불린다.
춘추시대말 손무(孫武)가 지었다.
〈한서 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82편, 도록 9권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 남아 있는 송본(宋本)에는 계(計)·작전(作戰)·모공(謨攻)·형(形)·세(勢)·허실(虛實)·군쟁(軍爭)·구변(九變)·행군(行軍)·지형(地形)·구지(九地)·화공(火攻)·용간(用間) 등의 13편만이 전해진다.
1972년 산둥 성[山東省] 린이 현[臨沂縣] 인췌 산[銀雀山]에 있는 전한시대 묘에서 죽간(竹簡)으로 된 〈손자병법〉 13편이 출토되었는데 기본적으로 당시 동행되던 송본과 같다.
그밖에 오문(吳問) · 황제벌적제(黃帝伐赤帝) 등의 중요한 유실문이 있다.
이 책은 춘추 말기의 군사학설 및 전쟁경험을 모두 묶은 책이다.
그 가운데 "적을 알고 나를 알면 100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百戰不殆),
우세한 병력의 집중, 민첩한 기동작전 등의 수많은 기본원칙은
세계 각국 군사가들의 높은 평판을 얻었다.
조조(曹操)를 포함한 11명이 주를 달았으며,
영어·일어·프랑스어·독일어·체크어·러시아어·한국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손자 병법에 대하여...
손자병법은 중국 춘추전국 시대 생존을 위한 병법서이다. 손자는 지금 상해지역의 보잘 것 없던 오(吳)나라의 참모총장이 된지 7년 만에 중원의 강대국으로 올려놓았다.
손자는 그가 생각하는 조직이 강해지는 전략을 6천 2백자의 한자로 남겨 놓았다.
손자가 병사들을 이끌고 적과 싸우면서 조직이 어떻게 해야 강해지고 생존하는지 체계적으로 적어 놓은 것이 오늘날 우리가 읽는 손자병법이란 책이다.
손자병법은 13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논어, 노자, 주역과 함께 중국 4대 고전 중의 하나이다.
작자인 손자는 중국 춘추말기시대부터 전국시대 초기 제나라의 장군집안 사람으로 대국에서 충분히 출세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신흥개발국인 오나라에 가서 참모총장을 지내면서 전술서인 손자병법을 왕에게 바치고 출세한 사람이다.
손자병법은 단순히 군사교과서가 아니다.
이 책은 경영학, 의학 등 여러 곳으로 적용이 가능한 고전중의
고전이다.
사람을 움직이고 세상을 움켜쥐는 만고의 비법, 사상 최고의 병서이자 삶의 지혜를 담은 처세의 경전.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게 최고 병법"
북경 중남해의 마오쩌뚱 유물관에 가면 그가 쓰던 침대 위에 책 몇 권이 놓여 있다.
그가 죽을 때까지 손에서 놓지 않았던 책이 바로 ‘손자병법’이다. 이 책은 마오쩌뚱에게 단순한 병서가 아니라 정치학의 보감이요 처세학의 교과서였다.
마이크로 소프트 회장 빌 게이츠나 소프트 뱅크 창업자 손정의씨에게는 기업경영의 지침서 역할 을 하고 있다.
2500년 전 춘추시대의 이 병법서는 서양판 병서인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능가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로부터 비롯된 ‘손자병법’의 전략 전술은 전쟁 뿐 아니라 인간관계에 두루 응용이 가능해 ‘승자를 위한 바이블’로 통한다.
손자병법은 다수의 라이벌을 상대로 살아남는 법을 다룬다.
그러면서도 싸워서 이기는 방법을 가르치는 병서가 아니라 싸우지 않고도 이길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고차원의 철학서다.
특히 공격보다 방어가 우선이며 지지 않는 것, 즉 불패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손자는 지도자가 갖춰야 할 요건을
지(智)=>.자기를 먼저 알자.!
인(仁)=>.타인을 어질게 여겨라.!
용(勇)=>.용기를 가지고, 용기를 주어라.!
신(信)=>.늘 믿음을 주어라.!
엄(嚴)=>.나에게 엄격하고, 타인에게 엄하라.
다섯가지를 꼽는다.
손자병법에서의 이 5가지는 리더중심으로 이야기되었음.
여기서, 우리들이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이 손자병법을 읽는 사람들은 모두가 리더임을 잊지말고 , 내가 리더라는 확신을 가지고 읽기 바람.
智 ; 사람의 마음의 변화를 헤아리고 일의 변화방향을
내다보는 지혜
信 ; 친하다고 상을 주지 않고, 귀하다고 벌을 생략하지 않음
(상벌)
仁 ; 아래 사람들의 배고픔과 목마름을 알고 그들과 노고를
같이함(사랑, 자비)
勇 ; 기회를 보면 즉시 행하고, 적을 만나면 싸운다.
- 클라우제비츠 ; 육체적 용기보다 정신적 용기가 더
중요 → 책임을 지는 용기
嚴 ; 군을 다스림에 정돈되어 있으며, 호령이 일사불란해야 함.
- 이순신 장군(난중일기) ; 100여차례에 걸쳐 엄격한
군법 적용
(처형 28회, 곤장 44회, 처벌 36회, 구속 15회)
본고장인 중국에서는 물론 손자병법는 세계 각국에서 읽혀져 왔으며, 일본에서도 상급 무사의 교양서로서 중시되어 왔다.
나폴레옹이 이 책을 늘 곁에 두고 읽었던 일은 유명한 이야기며,
제 1차 세계대전에 패한 독일의 황제 빌헬름 2세는 만년에 가서, "내가 만약 20년 전에 (손자)를 읽었더라면, 그렇게 무참하게 패하지는 않았을 텐데..." 하고 탄식했다는 것이다.
☞.손자병법 명언
손무가 지은 손자병법은 총 13편으로 구성 되어있는 손자병법은 전쟁에서 승리로 이끌 수있는 방법을 써 놓은 책이다.
이책의 많은 지혜로운 이야기들은 개인의 삶에서도 많은 도움을 줄 수있는 명언을 담고있다.
1. 결단을 내리면 즉시 실천하라. 김은 새어나가기 마련이다.
2. 공부 잘한 사람만이 사회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배운 것을 응용할 줄 알아야 한다
3. 군사란 승리가 보이면, 강해지지만 패기를 보면 약해진다
4. 교묘한 용병(用兵)이란 상산(常山)에 살고 있는 솔연(率然)이라는 뱀을 다루는 것과 같다. 이 뱀은 그 대가리를 치면 꼬리가 나와서 휘감고 꼬리를 치면 대가리가 나와서 문다. 또 중간을 치면 대가리와 꼬리가 모두 나와서 대항해 온다. 전쟁도 이와 같은 전법을 취해야 하는 것이다
5. 기선을 제압하면 주도권을 잡는다.
6.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남도 할 수 있다.
손자병법 36계
36계 줄행랑 친다는 이말은 항상 전진만 할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후퇴가 필요할 때도 있다는 뜻이다.
아무리 명검이라도 갑속에 있으면, 하나의 고철이요! 그 명검을 명검으로 쓰지 않으면, 고기나 채소를 짜르는 식칼보다 못함이요! 그 명검 또한 어느 주인을 만나느냐에 따라 달림이니라!
'병원경영과 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상황 (0) | 2018.02.01 |
---|---|
병원 마케팅 (0) | 2018.01.10 |
병원 인사관리 (0) | 2018.01.10 |
현대병원의 경영목표 (0) | 2018.01.08 |
성공하는 의료조직의 11가지 특성 (0) | 2018.01.08 |